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Mentoring Program Model for In-service Science Teacher Education

과학교사교육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모델 개발

  • Received : 2012.11.12
  • Accepted : 2012.12.14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ffective mentoring program model. In order to develop an effective mentoring program, we identified four elements of mentoring program based on the analysis of secondary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in-service science teacher training program and mentoring. For the study,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the authors and it was administrated to 114 secondary science teachers participated in science teacher training program.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4 secondary science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secondary science teachers recognized that in-service science teacher training program, which they had taken, positively affected their teaching. However, there are some aspects needed for improvements in the current teacher training program. They wanted to take the opportunities to interact with their colleagues and researchers, sharing their experiences on teaching within the teachers' community, and reflecting on their own teaching. Based on these analysis we suggest four elements for effective mentoring program. These are 'Communication,' 'Reflection for Mentor,' 'Reflection for Mentee,' and 'Evaluation.' In addition, the mentoring program is proposed to consist of four activities such as 'Feedback on teaching', 'Seminar and Workshop', 'Conference', and 'Self-evaluation'.

이 연구는 현직 과학교사들의 교사교육에 대한 실태 및 멘토링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효과적인 멘토링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요소들을 찾아내어 이를 바탕으로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현직 교사교육에 대한 실태 및 멘토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설문지를 개발하고 중등과학교사 1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교사들의 멘토링에 대한 심층적인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14명의 과학교사들과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 및 인터뷰를 통하여 과학교사들은 현재 실시되고 있는 교사교육에 대하여 대체적으로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교사교육의 구체적인 실행에 있어 일부 요소들에 대한 개선을 요구하고 있었다. 과학교사들은 수업 전문성 향상을 목적으로 현행 교사교육에 참여하고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험이 많은 현직 교사와 과학교육 전문가와의 상호작용을 더욱 필요로 하였다.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사교육 방법으로 '수업 프로그램 개발', '교수이론과 다양한 교수법', '자신의 수업의 평가 및 개선', '교과서 내용 지식'에 대한 요소들을 포함하는 연수를 희망하였다. 멘토링과 관련된 인식 부분에서는 학교 현장에 바탕을 둔 멘토링 프로그램을 선호하였으며, 멘토링 프로그램에는 멘토-멘티 간의 상호작용, 멘토링 구성원들 간의 협력적인 문제 해결 경험, 멘토링으로 부터 생성된 자료의 공유, 그리고 멘토 혹은 멘티 들의 지식공동체 구성과 같은 요소들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호작용을 강조한 멘토링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주된 개념 요소는 '의사소통(Communication)', '멘토의 반성적 사고(Reflection for Mentor)', '멘티의 반성적 사고(Reflection for Mentee)', '평가(Evaluation)'의 4개 요소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들 주요 요소들은 '교수 피드백', '세미나와 워크숍', '자기평가', '협의회' 등의 활동으로 구성된 멘토링 모델을 제안한다.

Keywords

Cited by

  1. 멘토링을 통한 코티칭이 초임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의 교과교육학지식에 미치는 영향 vol.33, pp.5, 2012,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5.1021
  2. 수학교사 연수에서 협력적 멘토링의 실제 -'함께 만들어가는 수학교사 연수'의 사례를 중심으로- vol.54, pp.3, 2012, https://doi.org/10.7468/mathedu.2015.54.3.283
  3. 협력적 멘토링에서 나타나는 멘토의 상호작용 특징 변화 vol.61, pp.5, 2012, https://doi.org/10.5012/jkcs.2017.61.5.251
  4. Novice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n Teacher Mentoring vol.22, pp.1, 2012, https://doi.org/10.24231/rici.2018.22.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