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stim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Jangbogo Antarctic Research Station

남극 장보고기지 건설 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 Joo, Jin Chul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Environmental Research Division) ;
  • Yun, Jeongim (Bolt Simulation Co.) ;
  • Lee, Seungeun (Institute for Environment & LOHAS) ;
  • Kim, Yu-Min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Green Building Research Division) ;
  • Chae, Chang-U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Green Building Research Division) ;
  • Kim, YoungSeok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Geotechnical Engineering Research Division)
  • 주진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환경연구실) ;
  • 윤정임 (볼트시뮬레이션) ;
  • 이승은 (환경과 로하스 연구소) ;
  • 김유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그린빌딩연구실) ;
  • 채창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그린빌딩연구실) ;
  • 김영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Geo-인프라연구실)
  • Received : 2012.04.03
  • Accepted : 2012.04.26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In this study, greenhouse gas emissions occurring from the construction of Jangbogo Antarctic research station were estimated in terms of material production stages and building stages, respectively. In detail, greenhouse gas emissions during the building stages were estimated in terms of marine transportation, inland transportation, construction equipment utilization, and construction camp operation, respectively. As a result,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material production stages with life cycle assessment were 8,933 ton (as $CO_{2eq}$), equivalent to the 23.8% of total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the construction of Jangbogo Antarctic research station, an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reenhouse gas emissions occurring from material production stages should not be ignored. During the building stages, greenhouse gas emissions occurring from first year were greater than those from second year due to the increase in fuel consumption of freighter during second year. Additionally, marine transportation compared to inland transportation, construction equipment utilization, and construction camp operation was found to be the greater contributor for greenhouse gas emissions during the building stages. The total greenhouse gas emissions estimated from both material production stages and building stages was 34,486 ton (as $CO_{2eq}$), and greater than those estimated from comprehensive environmental evaluation (CEE) of existing other research stations. This difference is mainly attributed from approximate estim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of existing other research stations without considering material production stages.

본 연구에서는 남극 장보고기지 건설 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자재생산단계와 시공단계로 구분하여 산정하였다. 또한, 시공단계의 배출원은 각각 해양수송과 내륙수송, 건설장비 사용, 건설캠프 운영으로 분류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구체적으로 산정하였다. 전과정평가 개념을 도입해 남극 장보고기지 건설에 투입되는 자재생산을 통해 배출되는 온실가스 배출량은 기지 건설에 따른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23.8%에 해당하는 8,933 ton (as $CO_{2eq}$)으로 산정되었으며, 향후 남극 신규기지의 건설 시 자재생산을 통한 온실가스 배출이 반드시 고려해야 할 대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남극 장보고기지 시공단계(총 2단계)에서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1단계에 비해서 2단계에 비교적 많이 배출되었으며, 이는 2단계 때 수송화물선이 부산까지 회항하여 정박하므로 연료사용량이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시공단계의 온실가스 배출원 가운데 해양수송이 내륙수송, 건설장비 사용 및 건설캠프 운영에 비해 다량의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남극 장보고기지 건설에 따른 자재생산단계와 시공단계를 통합한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은 총 34,486 ton (as $CO_{2eq}$)으로 기존 남극기지 포괄적 환경영향평가(CEE)상에 제시된 온실가스 총배출량과 비교 시 다량의 온실가스가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CEE상에 제시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 건설에 투입되는 자재생산을 통해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이 고려되지 않고, 단순히 자재수송 및 시공단계만을 고려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개략적으로 산정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극지연구소, "남극 제2기지 예비후보지 자체 평가보고서"(2008).
  2. 극지연구소, "남극 제2기지 건설사업 1단계 보고서"(2009).
  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남극 제2기지의 건설후보지 적합성 평가 및 친환경 건설기본 계획 구축"(2010).
  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환경 친화적 남극 제2기지 건설을 위한 성능평가 및 운용프로그램 구축"(2011).
  5. German Federal Environmental Agency, "Final Comprehensive Environmental Evaluation of the proposed activities, Antarctica," Final comprehensive environmental evaluation, COMNPA(2005).
  6. Belgian Federal Science Policy Offic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new Belgian Research Station, Dronning Maud Land, Antarctica," Final comprehensive environmental evaluation, COMNPA(2007).
  7. British Antarctic Survey, "Proposed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Halley VI Research Station, and Demolition and Removal of Halley V Research Station, Brunt Ice shelf, Antarctica," Final comprehensive environmental evaluation, COMNPA(2007).
  8. Chinese Arctic and Antarctic Administration, "Proposed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New Chinese Dome A Station Dome A, Antarctica," Final comprehensive environmental evaluation, COMNPA(2008).
  9. 김종엽, "전과정평가에 의한 공동주택 건설단계에서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평가," 한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2005).
  10. Shirsat, S. V. and Graf, H. F., "An emissions inventory of sulfur from anthropogenic sources in Antarctica," Atmos. Chem. Phys., 9, 3397-3408(2009). https://doi.org/10.5194/acp-9-3397-2009
  11. 강광하, "산업연관분석론," 연암사(2000).
  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공사 생산성 향상을 위한 21세기 표준화 및 정보화 기술개발"(2000).
  13. 현대건설 컨소시움, "남극 장보고과학기지 실시설계 보고서" (2011).
  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물의 LCA를 위한 원단위 작성 및 프로그램 개발연구"(2004).
  15.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온실가스 항목의 효율적 환경 영향평가 방안"(2009).
  16. 환경부․환경관리공단,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작성을 위한 2006 IPCC 가이드라인"(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