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사람의 말을 발성하는 개의 사례 연구

Case Study of a Dog Vocalizing Human's Words

  • 투고 : 2012.01.19
  • 심사 : 2012.03.16
  • 발행 : 2012.05.31

초록

본 논문은 사람의 언어를 발성하는 개의 사례를 수동성, 능동성으로 구분하여 음원특징과 발성 원인 등을 연구하였다. 사람의 말을 발성하는 기존 사례들을 분석한 결과, 일부 개는 주인 음성의 음향특성을 이해하고 그것을 자신의 발성기관을 통해 일시적인 소리모방이 가능하다. 이것은 언어적 소통의 기능이 없는 수동적 발성 사례이다. 반면 최근 보고된 /엄마/, /누나야/ 발성을 하는 개는 기존 사례들과 확연히 구별되는 특징을 보인다. 해당 개는 상황에 따라 해당 단어를 능동적으로 반복 발성하며, 주인과 기초적 소통과 교감 기능을 수행한다. 개가 사람의 말을 능동적으로 발성할 수 있는 이유는 두뇌가 우수하고 주인과의 친밀도가 매우 높은 점, 해당 발음에 따른 사람들의 적극적인 반응 등이 원인으로 판단된다. 해당 결과는 동물의 발성 가능 소리와, 언어 학습 가능성 연구에 활용될 수 있다.

This paper studies characteristics and causes of sound, and many others by distinguishing passivity and activity of the cases of a dog vocalizing human's words. As a result of the previous cases of vocalization of human's words, the dog was able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a host's voice and imitate the sound using his own vocal organs. This is the case of passive vocalization accompanied by temporary voice imitation without a function of communication. On the contrary, as a consequence of the recently reported case in which a dog vocalizes such words as "Um-ma" and "Nu-na-ya," it shows the vocalization pattern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prior cases. The given dog repeatedly vocalizes pertaining words in an active manner according to circumstances and plays a role of fundamental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with its host. The reason why the dog can vocalize the man's words actively is determined to be that the dog has a high level of intelligence and intimacy with its host, that people react actively to its pertaining pronunciation, and so forth. The following results can be used for the study that investigates animals' sound with vocalization possibility and language learning feasibil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견두헌, 배명진, "말하는 닭의 발성 특성 분석," 한국음향학회지, 28권, 4호, 125-132쪽, 2010.
  2. 견두헌, 배명진, "말하는 코끼리의 발성 모델 연구," 한국음향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9권, 2호, 610-613쪽, 2010.
  3. Gabriel J. L. Beckers, Brian S. Nelson, and Roderick A. Suthers, "Vocal-tract filtering by lingual articulation in a parrot," Current Biology, vol. 14, pp. 1592-1597, 2004. https://doi.org/10.1016/j.cub.2004.08.057
  4. Joyce H. Poole, Peter L. Tyack, Angela S. Stoeger- Horwath, Stephanie Watwood, "Elephants are capable of vocal learning," Nature, vol. 434, pp. 455-456, 2005. https://doi.org/10.1038/434455a
  5. 정진화, 정찬중, 배명진, "아기울음 소리를 내는 강아 지의 울음소리 특성 연구," 한국음향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9권, 2호, 435-436쪽, 2010.
  6. Haepiaegyeontaun, Gangaji Sori, happytown.kr, 2008.
  7. Gloria J. Borden, Katherine S. Harris, Lawrence F. Raphael, Speech Science Primer,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2.
  8. 양병곤, 프라트를 이용한 음성분석의 이론과 실체, 만수출판사, 2003.
  9. 견두헌, 배명진, "선생님이라 말하는 닭의 발성 특성," 대한전자공학회 하계종합학술대회, 34권, 1호, 806-808쪽, 2010.
  10. 배재연, 고도흥, "음성 발달 모델에 따른 1-18개월 영유아기의 음성특징," 말소리와 음성과학, 2권, 2호, 27-36권,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