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Peer Mentoring on Self-Efficacy in the 'Invention Technique and Practical Experience' Unit of the Technology.Home Economics Education

기술.가정과 '발명 기법과 실제' 단원에서 동료 멘토링 수업이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이지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 이용진 (한국교원대학교 기술교육과)
  • Received : 2012.02.03
  • Accepted : 2012.03.23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invention technique and practical experience' unit to observe how the colleague mentoring class has its effect on self-efficacy. For this, we have selected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and proceeded the experiment. For five classroom hours of the 'technique of invention and practical experience' unit, each group was assigned different method to do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al group was applied with the colleague mentoring method and the comparative group was applied with the self study method. To observe the differences of how it effects on one's self-efficacy,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before and after class. Then, it was verified for th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o summariz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r self-efficacy experiment, the questionnaire before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found between two groups. However, the questionnaire collected after the experiment showed great differences. The group with the colleague mentoring showed more meaningful differences at p<.05 significance level than comparative group. Furthermore, by observing the before and after questionnaire, it was found that both groups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at p<.05 significance level, bu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greater self-efficacy improvements than comparative group. Second, when further examining the self-efficacy, the activity start expectation, activity continuation expectation, activity performance expectation, and experience recovery expectation showed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at p<.05 significance level.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t can be stated that the colleague mentoring class has more positive effects on the self-efficacy than self-study class. Summing up, the colleague mentoring class is more effective than self-study for fostering student's self-efficacy.

이 연구는 '발명 기법과 실제' 단원에서 동료 멘토링 수업이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을 선정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발명 기법과 실제 단원의 5차시에 대한 학습을 실험 집단에게는 동료 멘토링 수업을 진행하였고 비교 집단에는 개별 수업을 적용하였다.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자아효능감 검사지를 활용하여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 사이에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날 것인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효능감에 대한 검사 결과는 사전 검사에서 두 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사후 검사에서는 동료 멘토링 수업을 한 실험 집단이 비교 집단보다 통계적으로도 p<.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 집단 내 사전, 사후검사 결과 비교 집단과 실험 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p<.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주었으나 자아효능감이 향상된 정도가 비교 집단에 비해 실험 집단이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자아효능감의 하위요소별로 살펴보면 활동시작 능력기대, 활동지속 능력기대, 활동수행 능력기대, 경험극복 능력기대의 모든 요소에서 통계적으로 p<.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동료 멘토링 수업을 적용한 실험 집단이 개별 수업을 적용한 비교 집단보다 자아효능감의 하위요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동료 멘토링 수업이 개별 수업보다 자아효능감에 더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주는 교수 학습 방법임을 알 수 있다. 즉, 동료 멘토링 수업이 자아효능감의 향상에 더 효과적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인적자원부 (2007).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기술.가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제 2007-79호.
  2. 김진수, 은태욱, 이상혁, 이숭준 (2010). 기술.가정과 운동 물체 만들기 수업에서 동료 멘토링 수업이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에 미치는 효과. 실과교육연구. 16(2), 93-118.
  3. 이경민 (2007). 중학교 '발명품 만들기' 실습 수업에서 집단 크기가 완성된 작품의 질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4. 이소임 (2002). 결손가정 청소년의 멘토링 프로그햄 초기 관계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5. 장수웅 (2002). 기술교육에서 창의적인 문제 해결 수업을 위한 수행평가 도구의 개발. 박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6. 전미진 (2003) 학교부적응 학생의 적응력 향상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햄 효과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7. 정택희(1987). 수업외 학습시간 투입의 동기요인과 효과 분석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8. Bandura. A. (1982).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37(2), 122-147.
  9. Karm, K. E. (1983). Phases of the mentor relationship.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6(4), 608-625. https://doi.org/10.2307/255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