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s Affecting Independent Living of Lacunar Infarction Patients

열공성 뇌경색으로 한방병원에 입원한 환자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연구

  • Park, Yu-Ji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Semyung University) ;
  • Lee, Hyung-Kwon (Department of Accountancy, Semyung University) ;
  • Kim, Ki-Ta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Semyung University) ;
  • Ko, He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Semyung University)
  • 박유진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형권 (세명대학교 회계학과) ;
  • 김기태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고흥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Received : 2011.10.05
  • Accepted : 2012.01.10
  • Published : 2012.02.25

Abstract

This study sought a clinical analysis of 43 lacunar infarction patients treated by oriental medical therapies.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independent living group and dependent living group) according to K-MBI independence level. We had analyzed correlation of many factors like past history, several symptoms of lacunar infarction and ect between independent living group and dependent living group. The male to the female ratio of patients diagnosed lacunar infarction was 1:1.39, female(58.1%) was more dominant than male. The most common age group was 8th decade. The most common past history was Heart disease and without heart disease patients are treated well. Without hemiparesis, cognitive disorder, dysphagia patients are treated well. Patients arrived hopital within 72 hours after onset had treated well In regard to K-MBI of lacunar infarction patients, 65.1% improved and no one got worse. After treatment, 74.4% patients were able to independent living. The correlation between herbal medication and improvement was not founded.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사회보건지표. 2009.
  2. Fisher, C.M. lacunar strokes and infarcts. Neurology. 32: 871-876, 1982. https://doi.org/10.1212/WNL.32.8.871
  3. 김민선. 방사선학적으로 진단된 미세심부 뇌경색의 임상적고찰. 서울대학교 대학원. pp 2-3, 1995.
  4. Mohr, J.P. Lacune. Stroke. New York, Churchil Livingstone, pp 539-560, 1992.
  5. 新谷太 著, 최일생 역. Pathophysiology로 이해하는 내과학 Part 10 신경질환. 도서출판 정담, pp 39, 192-193, 2008.
  6. 이형수 외 2인. 척수손상 환자의 보행능력 검사를 위한 평가 도구의 비교.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3(2):5, 2006.
  7. 정한영 외 8인. 한글판 수정바델지수(K-MBI)의 개발 : 뇌졸중 환자 대상의 다기관 연구. 대한재활의학회지 31(3):283-297, 2007.
  8. Shah, S. 외 2인.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the Barthel Index for stroke rehabilitation.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42(8):703-709, 1989. https://doi.org/10.1016/0895-4356(89)90065-6
  9. 세명대학교 부속 제천한방병원 院內處方集. 세명대학교 부속 제천한방병원. p 2, 5, 36, 50, 126, 2009
  10. 경희의료원 한방병원 韓方製劑解說集. 서울, 경희의료원 한방병원. p 288.
  11. 조기현 외 49인. 뇌졸중. 이퍼블릭, pp 3-5, 129-133, 2009.
  12. 뇌졸중 진료지침. 뇌졸중 임상연구센터, pp 33-38, 2009.
  13. 최성민 외 4인. 열공성 뇌경색과 영역성 뇌경색의 위험인자에 대한 비교. 대한뇌졸중학회지 1(1):35-41, 1999.
  14. Brunnstron S. Motor testing procedures in hemiplegia: Based on sequential recovery states. J Am Phys Ther Ass 46: 357-375, 1996.
  15. 차지혜. 중풍 환자의 호전도와 연관성이 있는 인자들에 대한 연구. 세명대학교대학원. p 20, 25, 29, 2009.
  16. 신정빈, 조경자, 심정순. 장애자의 일상생활동작 평가에 대한 검토. 대한재활의학회지 11: 10-21, 1987.
  17. 이양수, 이용범, 김철현. 뇌졸중 환자에서 하지 기능 평가 중 기능적 상태를 잘대변하는 평가. 노인병학회지 10(3):192-196, 2006.
  18. 유 승 외 5인. 열공성 뇌졸중 환자에서 열공성 증후군 분류 의 의의 및 확산강조영상의 유용성. 대한응급의학회지 14(4):360-365, 2003.
  19. 박지욱 외 5인. 열공성 뇌경색의 임상방사선학적 비교분석. 대한신경과학회지 12(3):466-473, 1994.
  20. 권준철 외 2인. 중풍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서울시내 일부 한방병원 입원 환자들을 중심으로-. 서울, 동서의학회지 23(4):1-20, 1995.
  21. 석승한. 뇌졸중의 역학 및 병리기전. 노인병학회지 3(3):5-21, 1999.
  22. 김종성. 고혈압과 뇌졸중. 노인병학회지 6(1):33-34, 2002.
  23. 김소연 외 5인. 급성 뇌경색 환자의 병원 도착 지연의 이유. 가정의학회지 22(10):1511-1516, 2001.
  24. Fogelholm, R., Murros, K., Rissanen, A., Ilmavita, M. Factors delaying hospital admission after acute stroke. Stroke. 27: 398-400, 1996. https://doi.org/10.1161/01.STR.27.3.398
  25. Jogensen, H.S., Nakayama, H., Reith, J., Raaschon, H.O. Factors delaying hospital admission in acute stroke:the Copenhagen stroke study. Neurology. 47: 383-387, 1996. https://doi.org/10.1212/WNL.47.2.383
  26. 김동권 외 2인. 열공성 뇌경색증 : 병변체적, 위치, 위험인자에 관한 연구. 대한신경과학회지 11(3):302-309, 1993.
  27. 박순일 외 1인. 淸心蓮子飮과 星香正氣散이 Streptozotocin 誘發糖尿 흰쥐의 腦虛血損傷에 미치는 影響. 대한한의학회지 28(3):216-231, 2007.
  28. 신우진 외 7인. 地黃陰子를 투여한 중풍 실어증 환자 치험 1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4(4):1014-1020, 2003.
  29. 박은경 외 4인. 淸肺瀉肝湯, 星香正氣散과 凉隔散火湯의 항혈전작용. 한국생약학회 8(4):173-176, 2002.
  30. Kenneth W,. Lindsay․Ian Bone. 이광우 역. 임상신경학 제4판. 이퍼블릭, pp 353-354,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