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f u-PBL Support System Core Value and Design Strategy based on Field Experience Learning

현장체험에 터한 u-PBL 교수지원시스템의 핵심가치 및 설계전략 연구

  • Received : 2012.02.08
  • Accepted : 2012.03.07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tract an u-PBL support system core value and design strategy based upon field experience learning. To accomplish this the study, first of all, analyzed the core values, design strategy which was selected after needs analysis and literature review of theories and cases regarding the PBL, e-PBL, blended-PBL, Field experience learning based on ubiquitous environment, and learning model based on ubiquitous technology. This study identified the three core values as; systemic support for instructional activity, just in time support for instructional activity and support for interaction facilitation. As further research areas, it might be useful to develop u-PBL instructional support system based upon the model designed from this study. Also, research concerning the verification of the model based upon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case might be necessary.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애 (1999). PBL방식에 의한 과정 개발 및 적용 사례: 삼성전자의 변화 유도형 리더십 개발을 위한 팀 리더과정.
  2. 강인애 (2003). PBL의 이론과 실제, 서울: 문음사
  3. 강인애.정준환.정득년 공저 (2007). PBL의 실천적 이해, 서울: 문음사.
  4. 강한규.김회용.김두규 (2011). 스토리텔링 기반의 교수-학습과정안 구안 및 현장적용 가능성탐색, 수산해양교육연구 23(2), 302-318
  5. 교육과학기술부 (2008a). 초등학교 교수자용 지도서 사회 5-1. 서울: (주) 두산.
  6. 교육과학기술부(2008b).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III). 광주: 한솔사.
  7. 교육인적자원부 (2004a). 인적자원개발 혁신을 위한 유비쿼터스 학습체제 구축방안.
  8. 교육인적자원부(2004b). 초등학교 교수자용 지도서 사회 4-2,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9. 교육학사전 편찬 위원회 (1996). 교육학대사전, 서울: 교육서관.
  10. 권성호(2007). u-러닝 연구학교 실천사례 분석, 한국교육학술정보원, 72-80
  11. 김경희 (2008). PBL(Problem-Based Learning) 에 대한 초등학교 교수자들의 인식 및 실천방안,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2. 김선자 (1998) 구성주의에 의한 초동학교 사회과 수업 설계 및 적용-PBL방법에 의한 사례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김연숙 (2006). 지역사회 현장체힘학습에 대한 유치원교수자의 인식 및 실태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김영진(2006). 웹을 활용한 체험학습 교수설계모형 개발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김희경(2004). e-러닝 기반 PBL 지원 프로세스 (Problem-Based Learning Support process) 의 적용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노무라총합연구소(2003).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와 신사회 시스템, 서울:전자신문사.
  17. 두산동아편집부(1996). 두산세계대백과사전, 서울: 두산동아.
  18. 류달영 (2005). 교육의 유비쿼터스화 국가사회적 영향 NAC CIO REPORT, 화국전산원.
  19. 류영호(2008) 공학설계교육 개선을 위한 캡스톤 디자인 교수활동 지원 모형 개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류지헌(2006). 증강 현실 기반 차세대 체험형 학습 모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 CR2006-18, 19-41.
  21. 민윤정(2006). 유비쿼터스 기반의 현장체험학습 지원시스템 설계 및 구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박수홍.김두규.강문숙 (2010). UCC 프로젝트 학습 모형 개발, 수산해양교육연구 22(3), 402-419.
  23. 박수홍.백은옥.안재순(2002). Usability Evaluation case study of an Educational Electronic Perfonnance Support System (E-EPSS), 교육정보방송연구 8(1), 23-47.
  24. 김두규.박수홍.홍진용.우차섭 (2008). 지식 창출형 e-PBL 지원시스템의 개념적 모형 구안 - 해군 e-PBL 지원시스템을 중심으로, 한국정보교육학회지 12(4), 437-448.
  25. 박인옥(1998). 문제 중심 학습이 경제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박정선 (2001). 구성주의 교육철학에 기초한 사회과 수입설계와 적용,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박정환.우옥희 (1999). PBL이 학습자의 메타인지수준에 따라 문제해결 과정에 미치는 효과, 교육공학연구 15(3), 55-82.
  28. 박지희 (2003). 웹기반 PBL에서 자료 공유여부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초등학교 6학년 사회과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서경선 (2002) 웹을 활용한 PBL 모형이 학습자의 문제 해결력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서정돈.안병헌 (2005). 하워드 배로우스의 PBL법,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31. 손미 (2007). 유비쿼터스 학습 환경에서 체험학습의 가능성파 실현 조건 탐색, 교과교육학연구 11(1), 143-172
  32. 손주원 (1997). 현장학습의 계획 및 실제, 연구 월보 3-4원호, 재인용: 경기도교육정보연구원 (2000). 산 지식을 익히는 체험학습 길라잡이, 경기도교육정보연구원.
  33. 송해덕 (2008). 미래학습응 위한 u-러닝 교수학습 모델 개발, 열린교육연구 16(1), 39-56.
  34. 양윤경 (2007). e-PBL 기반 교수학습모형 개발 및 적용 - Blended Learning 전략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오영태 (1993). 사회과교육론, 서울: 형설출판사.
  36. 오필우(2007). 현장체험학습에서 반성적 사고 증진을 위한 유비쿼터스 모형 E-FEL의 개발 및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원종문(2000). 현장체험학습을 통한 문제해결력 신장방안, 교육연구 12, 53-54.
  38. 유영만 역 (1997). 초학습초직 구축법, Michael Marquardt (1997) Building the Learning Organization, McGraw-Hill Book co. Singapore, 서울: 창현출판사.
  39. 이상수(2006). Blended learning을 위한 수업설계원리, 2006 한국교육공학회 춘계학술대회, 83-98.
  40. 이숙염 (2004). 초등 사회과에서의 문제 중심 교수학습과정안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청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이옥화.주종혁.허희옥.강신천(2005) 신기술의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한국교육 학술정보원연구보고 KR 2005-25.
  42. 임정훈(2007). Blended Leaming 기반 PBL의 초등학교 현장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교육논단 6(2), 15-45.
  43. 임정훈.송상호.이준. 최정임(2005). 초.중등교육에서의 e-러닝 지원전략 연구, 경상북도 교육청 지원 정책 연구 보고서.
  44. 장은영(2005). 체험관광의 이론과 실제, 서울: 백산출판사.
  45. 장경원(2005). 온라인 問題基盤學習 設計模型 開發 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6. 정환상(2007). u-러닝 환경에서 PDA를 이용한 현장학습 지원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진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7. 정병기 외 (1995). 신간 사회과 교육론, 서울: 교육 출판사.
  48. 정주영(2007). 블렌디드 액션러닝 지원시스템 개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9. 조연순(2006). PBL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50. 조일현 외(2006). 유비쿼터스 기반의 차세대 학습 모델 개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 KR 2006-4.
  51. 최정임(1997). 컴퓨터 수행지원 시스템 (EPSS)의 개념 및 설계 원리, 교육공학연구 13(2), 361-377.
  52. 최정임(2006). PBL 효과성에 대한 연구: 성찰일기에서 니타난 학습자의 태도 및 인지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94-109
  53. 하원규.김동환. 최남회 (2002) 유비쿼터스 IT혁명과 제 3공간. 서울: 전자신문사.
  54. 한국교육학숭정보원(2005a). 교육정보화 용어집.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자료 RM 2005-25.
  55.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05b). u-러닝 시작하기.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교육-자료 TM 2005-14.
  56.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05c). 미래교육을 위한 u-러닝 교수-학습 모델 개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 보고 CR 2005-12.
  57. 한면희 외(1998). 사회과교육 서울: 갑을출판사.
  58. 홍경선(1999). PBL 원리를 적용한 웹기반 교육의 사례 연구, 교육공학연구 15(1), 55-68.
  59. 홍선주(1998). EPSS의 기반과 통합방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0. 황주연 (2000). 웹 기반 초등 사회과에서 문제 중심 학습이 아동의 이해력과 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1. Aspy, D. N., Aspy, C. B., & Quinby, P. M. (1993). What doctors can teach teachers about problem-based learning, Educational leadership, 50(7), 22-24.
  62. Banerji, A. (1995). Electronic Performance Support Systems, Proceeding of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in Education, 54-60.
  63. Barrows, H. S.(1994). Practice-based learning: Problem-based learning applied to medical education, Springfield, IL: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64. Barrows, H. S., & Myers, A. (1994). Porblem based Learning in secondary schools, Unpublished monograph. Springfield, IL: Problem Based Learning Institude, Lanphier School, and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Medical School
  65. Barrows, H. S.(1996). Problem-based learning in Medieine and Beyond: A Brief Overview. In L. Wilkerson & W. Gijselaers(Ed.), Bringing Problem-Based Higher Edueation: Theory and Practice: New direc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8(5-6). San Fransiseo: Jossey-Bass.
  66. Barrows, H. S., Tamblyn, R. M.(1980). Problem -bascd Learning: An approach to Medical Edueation, New York: Springer.
  67. Carr. C.(1992). PSS! Help when you need it. Training & Development, 46(6), 31-38.
  68. Evensen, D. H. & Hmelo, C. E.(2000). Problem -based learning: A research perspective on leaming interactions,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ates.
  69. Fogarty, R. (1997). Problem-based learning & other currilum models for the multiple intelligences classroom. Arlington heights. IL: IRI SkyLight.[online], Available: Retrieved july 18, 2009. from http://www.samford.edu/pbl/res_monographs. html.
  70. Gery, G.(1991). Electronic Performance Support Systems: How and Why to Remake the Workplace through the Strategic Application of Technology, Boston: Weingarten Publications.
  71. Jonassen, D. H.(2000). Toward a design theory of problem solving. ETR&D, 48(4), 63-85. https://doi.org/10.1007/BF02300500
  72. Laffcy, J.(1995). Dynamic in Electronic Perfomance Support Systems, Performance Improvement Quarterly, 8(1), 31-46.
  73. Levin, B. B.(2001). Energizing teacher educ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with Problem-based learning, Alexandria, VA :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74. Moore, M, & Kearsley(2005). Distance Education a Systems view(end Ed.), Belmont, CA: Thomson Wadsworth.
  75. Ogata, H., and Yano, Y.(2003). Supporting Knowledge Awareness for a Ubiquitous CSCL, eLearn 2003, 2362-2369, I'hoenix, Arizona, USA, November 7-11, 2003.
  76. Pea, R.(1993). Practice of distributed intelligence and designs for education. In G. W. Sallomon (Ed.), Dislributed cognilion-psychological eduea-tional considerations, (47-87),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77. Raybould, B.(1990). Soving Human Performance Problem with Computers, Performance & Instruction, November/December.
  78. Richards, C.(2001). A Project-Based Learning approach to the intergration of internet resources in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22(2), 62-73.
  79. Rosenberg, Marc(1995). Performance Technology, Performance Support, and the Future of Training. a commentary, Performance Improvement Quarterly, 8(1), 94-99.
  80. Savery, J. R.(2006). Overview of PBL: Definition and Distinctions, The Interdisciplinary Jurnal of Problem dased Learning, 1(1), 57-75.
  81. Savery, J., & Duffy, T.(1994). Probleem-based learning : An instructional model and its constructivist framework, Educational Technology, 34(7), 1-16.
  82. Senge, P. M.(1990). The Fifth Discipline: The art and practice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NewYork: Doubleday.
  83. Stevens, G., & Stevens, F.(1996). The truth about EPSS. Training & Development, 50(6), 59-61.
  84. Weiser, M.(1991). The computer for the 21 century; 94-100.
  85. Woods, D. R.(2000). Problem-based learning: How to Gain the Most from PBL Malden, Ontario: McMaster University.
  86. Zumbach, J., Hillers, A., & Reimann, P.(2004). Supporting Distributed Problem Based Learning: The use of Feedback Mechanisms in Online Learning: Theory & Practice, 86-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