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 좋은 청년창업' 창출을 위한 정부의 청년창업육성정책 패러다임 이행방안에 관한 연구

The Study to The Transformation of Government Youth Entrepreneurship Promotion Policy Paradigm to Create 'Good Quality Youth Startup'

  • 앙영석 (한밭대학교 창업경영대학원 창업학과) ;
  • 양수희 (한밭 IS Biz Lab) ;
  • 황보윤 (호서대학교 글로벌창업경영대학원)
  • 투고 : 2012.09.07
  • 심사 : 2012.09.20
  • 발행 : 2012.09.30

초록

본 연구는 정부의 청년창업활성화 정책의 현황을 조사하고 이의 성과를 파악하여 문제점을 진단한 후 정부의 청년창업지원정책에 새로운 변화패러다임 방안과 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 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크게 세 가지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정부의 청년 창업활성화정책을 조사하고 이의 목표 와 현황분석을 통해 지원정책의 구조적 문제점을 진단하는 것이다. 둘째, 선행연구를 통해 정부의 청년창업활성화 정책이 질적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변화해야 하는 업그레이드 방향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셋째, 청년창업활성화 정책이 양적 중심의 Ver1.0 시대로부터 질적 성과를 강조하는 Ver2.0 창업정책 패러다임으로 이행할 수 있게 하는 청년 창업육성정책 이행모형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청년창업육성정책이 "열린(open)" 시스템으로 이행되어야 함을 강조했다. 열린 시스템은 청년창업자들과 시장이 협업할 수 있는 매칭기반 구축, 사업을 실전적으로 경험하고 충분히 검토한 후 시장과 연계한 창업을 실행하거나, 창업을 재고해보거나, 아니면 시장그룹에 참여한 선도벤처기업으로의 취업 가능한 경로를 열어주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창업육성정책 시스템은 청년들이 현재 처한 상황에서 사업역량을 배가해줌은 물론이고 졸업 후 다양한 선택 대안을 마련해주고 있다는 점이 큰 특징이다.

This research is brought to suggest the policy paradigm shift alternative and to show breakthrough by diagnosing the cons of government's current youth entrepreneurship promotion emphasizing a showup performance. More specific points, first, this paper investigate the policy limitations of government's current youth entrepreneurship promotion. Second, this paper develop upgrade model of youth entrepreneurship promotion through benchmarking the foreign successful cases. Third, this paper suggest, the alternative of taking off ver 1.0 of government's current youth entrepreneurship promotion policy paradigm, new paradigm of government policy emphasizing 'Good Quality Youth Startup.' In this research, youth entrepreneurship promotion policy should be emphasiz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open" system. Open systems can collaborate in the young founder of the market building, matching based entrepreneurship run in conjunction with enough experience and the founder of the startup entirely after reviewing the market, or starting to reconsider, and also will open the path be employed in the leading venture firms participating in the group market. Therefore, entrepreneurship promotion policy raising the capabilitie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young people in the business after graduating from a wide selection of alternative plan that is characterized by a large system.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