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혼여성의 고용지위 결정요인에 관련한 사회변인 분석

Analysis to Determine the Employment Status of Married Women's on the Social Factors Associated

  • 황희숙 (한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김윤재 (한영신학대학교 기독교아동복지학과) ;
  • 박정우 (한북대학교 경영학과)
  • Hwang, Hee-Sook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Han Buk University) ;
  • Kim, Youn-Jae (Christian Children's Welfare, Han Young Theological University) ;
  • Park, Jung-Woo (Business of Administration, Han Buk University)
  • 투고 : 2012.07.06
  • 심사 : 2012.09.24
  • 발행 : 2012.09.30

초록

산업화 이후 여성, 특히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혼여성의 고용지위 결정 시에 고려되어야할 변수들에 대해서 분석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기혼여성의 고용지위를 결정하는 변수들을 개인관련변수, 자녀관련 변수, 가구관련변수, 취업관련변수 등으로 구분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이를 근거로 기혼여성의 고용지위를 결정하는 변수들에 대해서 다항로짓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개인특성변수에 대한 분석결과, 기혼여성은 도심에 거주할수록 그리고 학력이 높을수록 임금근로의 고용지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녀관련 변수에 대한 분석결과, 자녀의 수가 많으며, 6세 미만의 자녀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임금근로의 고용지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구관련특성 변수에 대한 분석결과, 가족이 핵가족일수록 그리고 가족 구성원 중 소득원 수가 적을수록 비임금근로의 형태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취업관련 변수에 대한 분석결과에서는 여성이 혼전에 취업을 하였을 경우와 남편이 취업을 하지 않은 경우, 그리고 남편의 직종이 비전문직일 경우에 임금근로의 고용지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분석을 통해 기혼여성의 고용지위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차이를 보임으로써 기혼여성의 고용지위 향상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기혼여성의 경우 어린 자녀가 있을 경우 고용지위가 낮게 나타나 기본적으로 결혼 및 출산으로 인한 가사 및 자녀양육 부담이 기혼여성의 지속적인 취업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이에 대한 문제해결 방안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선진국의 경우에서와 같이 가사 및 자녀양육과 경제활동을 병행할 수 있는 탄력적인 근무시간제도 활성화가 필요하겠다. 그러나 이러한 탄력근무제도 활성화는 관련된 보호법 제정 등 제도적인 보호가 따라야만 실효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가사와 경제활동을 조화롭게 병행할 수 있는 제도로 가장 대표적으로 논의 되는 제도가 육아휴직제도이다. 현재 육아휴직제도가 법제화되어 있기는 하지만 그 활용도가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

After industrialization, the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s of women, especially married women is drastically increasing. So,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married women's employment status considered. For this, the determinants of married women's employment status were divided into individual-related, children-related, household-related and job-related variables to establish the research models. Based on th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from a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married women's employment status. First, an analysis of individual-related variable showed that married women had the employment status of labor wages with residence in the center of the city and high academic background. Second, an analysis of children-related variable showed that they had the employment status of labor wages with many their children and no their children under the age of six. Third, an analysis of household-related variable showed that they had the self-employment status of labor wages with nuclear family and few income earners of family members. Finally, an analysis of job-related variable showed that they had the employment status of labor wages when they got a job before they got married, their husband didn't get a job, and their husband worked in a professional field. As for findings stated above, a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eterminants of married women's employment status, the ways for improvement in the married women's employment status would be suggested as follows. First, married women with young children have the low employment status, basically, requiring problem-solving ways for this because the housekeeping and child-rearing burden caused by marriage and childbirth are factors that continue to obstruct a job. For this, the flexible working hours system, which housekeeping and child-rearing can harmonize with economic activities like developed countries, needs to be activated. But the activation of such flexible working system will produce actual results under institutional protection, such as a related-protection law. Second, the Leave of Child Care System is debated a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ly systems that housekeeping can harmonize with economic activities. Now, although the System is legislated, the use is very poo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