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nceptual Framework for One Source Multi Use Strategy of Culture Content

브랜드 아이덴티티 기반 문화콘텐츠 OSMU 전략 연구

  • 김영재 (한양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 Received : 2012.08.01
  • Accepted : 2012.09.04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This article is to propose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One Source Multi Use (OSMU) strategic model of culture content. In this study, OSMU is defined as a series of marketing activities to increase the value created by culture content. The framework of brand equity strategy is applied to develop the strategic model of OSMU, as both share the same goal - maximization of long term value created by brand or culture content. This article suggests the brand identity-based OSMU strategic model, in which the brand identity of culture content guides, integrates, and coordinates every decision-making of OSMU activities. For the maximization of brand equity value of culture content, the copyright holder of original content should decide the content's brand identity, which should provide the criteria of all decision makings regarding window strategy, adaptation of content to other genre, and merchandising. This brand identity-based OSMU strategic model can not only contribute to the sales of OSMU content, but also the creation of high equity culture content in the long run. Also, the model allows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content's brand equity, which can be used for the strategic adjustment for the sake of long term value of the content.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previous study on OSMU and expected to invigorate the further discussion on OSMU in several points. First, it broadens the scope of OSMU discussion as it views OSMU as a series of process including feedback. Second, this study points out the need for integration and coordination of various OSMU activities. Third, the strategic focus is laid on the value maximization of the original content, not 'multi used' content. Fourth, the suggested model emphasize the strategic role of copyright holder who takes the charge of the content brand management. Fifth, the model requires discussion on the components of marketing communication in addition to the content itself, which means the model includes the prospects, not only the content consumers, as the major future source for value creation.

본 연구는 OSMU를 문화콘텐츠가 창출하는 부가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한 일련의 마케팅 활동으로 파악하고, 브랜드 이론가들이 주장하는 브랜드 자산관리의 전략적 틀을 적용하여, '브랜드 아이덴티티 기반 문화콘텐츠 OSMU 전략'의 개념적 모델을 제시하였다. 문화콘텐츠와 관련하여 소비자가 떠올리는 강력하고 호의적인 연상은 콘텐츠의 높은 브랜드 자산 가치를 구축하는데, 이를 위해 저작권자는 전달하고자 하는 콘텐츠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결정하고, 이를 OSMU 전략의 수립과 집행의 근간으로 삼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전략 모델에 따르면, 콘텐츠 브랜드 아이덴티티는, 1)다양한 창구를 통해 콘텐츠를 노출시킴에 있어서 필요한 창구화 의사결정, 2)원천 콘텐츠를 어떤 장르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장르 전환에 있어서 어떤 요소가 유지, 강화되어야 하는가 등에 관한 장르전환 의사 결정, 3)상품화 대상 선정, 상품화 활용 요소 및 상품화 디자인과 관련한 상품화 의사 결정 등 다양한 OSMU 의사 결정의 기준을 제공한다. 또한, 다양한 경로의 소비자 접촉을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중심으로 조율하고 통합하며, 브랜드 자산의 지속적인 평가를 통해 콘텐츠의 장기적인 부가가치 극대화에 기여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기존의 연구와 차별되는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첫째, OSMU를 일련의 과정으로 파악하여 전체적인 흐름을 조망함으로써 OSMU 논의의 폭을 넓히고 있다. 둘째, 창구화, 장르전환, 상품화 등 다양한 OSMU 활동을 통합하고 조율할 필요성에 주목하였다. 셋째, 전략의 초점을 원천 콘텐츠 (One Source)의 부가가치 극대화에 맞춤으로써, 멀티 유즈 (Multi Use) 결과인 장르 전환된 콘텐츠 또는 관련 상품을 위한 전략과의 혼란을 배제하였다. 넷째, OSMU 실행과정에서 저작권자에게 요구되는 다양한 의사결정을 파악하고, 그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OSMU 주체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다섯째, 콘텐츠의 내용 이외에도,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요소를 논의의 대상에 포함시킴으로써, 콘텐츠 향유자뿐 아니라 미래의 잠재고객을 콘텐츠의 장기적 부가가치 창출원으로 인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데이비드 아커, 이상민역, 데이비드 아커의 브랜드 경영, 비즈니스북스, 2003.
  2. 손일권, 브랜드 아이덴티티, 경영정신, 2003.
  3. 장 노엘 캐퍼러, 윤정구 외 역, 뉴 패러다임 매니지먼트, 김앤김북스, 2009.
  4. 케빈 레인 켈러, 이상민 외 역, 브랜드 매니지먼트, 비즈니스북스, 2007.
  5.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캐릭터가치평가연구,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8.
  6. 김영재, <아기공룡 둘리>의 브랜드아이덴티티에 관한 연구, 애니메이션연구, 통권20호(2012), pp.29-47.
  7. 노준석, OSMU 전략을 통한 한국 문화콘텐츠의 선순환구조 확립방안, 디지털콘텐츠와 문화정책, 제3호(2008), pp.119-150.
  8. 박기수, 서사를 활용한 문화콘텐츠간 One Source Multi Use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언어문화, 제36집(2008), pp.1-23.
  9. 박승현.이윤진, 만화의 영화로의 전환: 영화〈식객〉의 사례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17호(2009), pp.97-115.
  10. 조성룡 외, 사례분석을 통한 방송콘텐츠OSMU의 고찰, 방송공학회논문지, 제12권5호(2007), pp.423-434.
  11. 최성규.이화자, 만화<타짜>와 영화<타짜>의 비교,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19호(2010), pp.89-112.
  12. 한창완.홍난지, 웹툰의 영화화를 위한 스토리텔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2호(2011), pp.186-194.
  13. 김효정, "웹툰에서 영화로의 장르전환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2).
  14. 장효진, "<해리포터> 브랜드 아이덴티티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11.2).
  15. Schultz, Don E., Stanley I. Tannenbaum, & Robert F. Lauterborn,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s, NTC Business Books, 1993.
  16. Upshaw, Lynn B., Buliding brand identity: A strategy for success in a hostile marketplace, John Wiley & Sons, 1995.
  17. Hunt, Shelby D., "On reforming marketing: For marketing systems and brand equity strategy", Does marketing need reform?, Sheth, Jagdish, Rajendra Sisodia(ed.), M. E. Sharpe, 2006, pp.69-77.
  18. Alsem, Karel Jan, Erik Kostelijk, "Identity based marketing: A new balanced marketing paradigm",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Vol.42 No.9/10 (2008), pp.907-914. https://doi.org/10.1108/03090560810891064
  19. Farquhar, Peter, "Managing brand equity", Marketing Research, 1(Sep. 1989), pp.24-33.
  20. Keller, Kevin L.,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Vol.57(1993), p.1-22.
  21. Madhavaram, S., V. Badrinarayanan & R. E. McDonald,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and brand identity as critical component of brand equity strategy", Journal of Advertising, Vol.34, No.4 (Winter, 2005), p.69-80. https://doi.org/10.1080/00913367.2005.10639213
  22. Teinowitz, Ira,"Disney to limit character licensing to 'healthful' foods", Advertising Age, (Oct.10, 2006), http://adage.com/artic le/news/disney-limit-character-licensing-healthful-foods/1125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