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목재 펠릿 연료전환 사업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 및 경제성 분석

Analyses of GHG Reduction Effectiveness and Economic Feasibility in the Wood Pellet Fuel Switching Project

  • 이진철 (동국대학교 대학원 신재생에너지공학과) ;
  • 강규영 (동국대학교 대학원 신재생에너지공학과)
  • Lee, Jin-Chul (Department of New & Renewable Energy, Graduate School, Dongguk University) ;
  • Kang, Kyu-Young (Department of New & Renewable Energy, Graduate School, Dongguk University)
  • 투고 : 2013.07.23
  • 발행 : 2013.11.25

초록

목질계 바이오매스는 폐기물 다음으로 가장 경제적이고 온실가스 감축 잠재력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신재생에너지원으로서 이를 이용해 개발된 바이오에너지 중에서 수송과 이용이 편리하고 발열량이 높은 목재 펠릿은 아직 가격이 다소 높지만 유럽과 일본에서는 이미 높은 보급률의 신재생에너지로 활용되고 있다. 기존 화석연료의 목재 펠릿 등 목질 바이오매스로의 연료전환을 통하여 온실가스 감축사업으로 활용하는 경우는 일본의 JCDM에서 활성화되어 있으나, 우리나라는 아직 그 기준 및 방법론 등이 정립되어 있지 않아 현재 LNG로 전환되는 사업이 활성화 되어있고 목질바이오매스 전환 사업은 등록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를 통해 JCDM에 등록된 목질 바이오매스 연료전환 사업을 분석하고, 2012년 KVER에 등록된 중소기업의 LNG 연료전환 사업을 기본 데이터로 하여 시나리오로 가정한 목재 펠릿으로의 연료전환 사업과 JCDM 사업, KVER의 LNG 연료전환 사업과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펠릿 연료 전환시 투자비 대비 연간 온실가스 감축효과, 연료 단가 차익으로 인한 수익과 온실가스 감축 이득 등의 수익을 비교 분석함과 동시에 온실가스 감축효과와 경제성을 분석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GHG (Greenhouse gas) reduction effectiveness and economic feasibility in the wood pellet fuel switching project using JCDM (Japan Clean Development Mechanism) and KVER (Korea Voluntary Emission Reduction)data. The major data for the analyses consist of investment costs, annual GHG reductions, fuel prices and GHG credit prices. The wood pellet fuel switching projects are the $CO_2$-zero projects. Therefore, these projects are essential to accomplish the GHG mitigation target, especially in Korea. In order to raise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wood pellet fuel switching proj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reduce the price of wood pellet through the supply on a large scale and raise the KCER price of wood pellet fuel switching project.

키워드

참고문헌

  1. Chau, J., T. Sowlati, S. Sokhansanj, F. Preto, S. Melin, and X. Bi. 2009. Economic sensitivity of wood biomass utilization for greenhouse heating application. Applied Energy 86(5): 616-621. https://doi.org/10.1016/j.apenergy.2008.11.005
  2. Sjolie, H. K., E. Trømborg, B. Solberg, and T. F. Bolkesjo. 2010. Effects and costs of policies to increase bioenergy use and reduce GHG emissions from heating in Norway. Forest Policy and Economics 12(1): 57-66. https://doi.org/10.1016/j.forpol.2009.08.011
  3. UNFCCC. 2005. 교토의정서 제6조, 12조, 17조.
  4. 에너지관리공단. 2012. 온실가스배출감축사업 안내.
  5. 에너지관리공단. 2012. 온실가스배출감축사업 등록.인증 통계.
  6. 에너지관리공단. 2012. 2012 신재생에너지백서.
  7. 이기석. 2011. 유연탄 화력 발전소에서의 목재펠릿 혼소 타당성 연구. 석사학위논문.
  8. 일본 경제산업성. 2008. 국내 온실가스감축사업 운영 규정.
  9. 정남영. 2011. 목재펠릿의 석탄 혼소시 경제성 및 연소 특성 연구. 박사학위논문.
  10. 지식경제부. 2011. 온실가스 배출 감축사업 등록 및 관리에 관한 규정.
  11. 지식경제부. 2012. 온실가스 배출 감축실적 정부구매 및 거래기준.

피인용 문헌

  1. Effects of increased soil fertility and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a inoculation on biomass yield, energy value, and physiological response of poplar in short-rotation coppices in a reclaimed tideland: A case study in the Saemangeum area of Korea vol.107, 2017, https://doi.org/10.1016/j.biombioe.2017.09.005
  2. Comparison on Social Cost by Unit Calorific Value between Wood Pellets and Coals vol.33, pp.4, 2017, https://doi.org/10.5572/KOSAE.2017.33.4.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