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Analysis of Movie Versions of "Snow White"

동화 "백설 공주"를 영화화한 작품들의 비교분석

  • 이윤희 (동덕여자대학교 미디어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2.11.01
  • Accepted : 2012.12.10
  • Published : 2013.03.31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three feature films that are based on Brothers Grimm's "Snow White": Disney's Snow White and the Seven Dwarfs (1937), Tarsem Singh's Mirror Mirror (2012), and Rupert Sanders' Snow White and the Huntsman (2012). Disney's animation, not the original literature, is the archetype of the later films. Grimm's fairy tail does not include the kiss of Prince Charming that saved Snow White which is, in fact, borrowed from "Sleeping Beauty", nor Snow White's rapport with animals. In Snow White and the Huntsman 's case, the costume of protagonist is similar with Disney's film and some shots are almost identical with Disney's version in terms of composition and angles. Nevertheless, these films show their originality with markedly different visual styles. Mirror Mirror and Snow White and the Huntsman have achieved reasonable success at the box office despite of relatively simple and predictable narratives due to the power of spectacle. While Disney's Snow White displays the model of witch that later becomes prototype of many movies, Mirror Mirror represents the unique magical world, a trompe-l'oell that can only done by director Tarsem, and Snow White and the Huntsman successfully visualizes Freudian concept of 'the uncanny' itself.

영화라는 매체는 크게 내러티브와 스펙터클로 이루어진다. 비슷한 내러티브라도 스펙터클이 달라지거나 혹은 비슷한 스펙터클이라도 내러티브가 달라지면 총체로서의 영화가 관객에게 주는 경험은 완전히 달라진다. 본 논문은 비슷한 내러티브의 영화들이 관객에게 주는 경험의 차이를 논하기 위해 그림 형제의 "백설 공주"이야기에 기반 하여 만들어진 디즈니의 <백설 공주와 일곱 난쟁이>, 타셈 싱의 <거울아 거울아>, 루퍼트 샌더스의 <스노우 화이트 앤 더 헌트맨>, 세 편의 영화들을 내러티브와 스펙터클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디즈니의 <백설 공주>가 내러티브적인 면과 스펙터클적인 면에서 모두 이후에 만들어진 영화들의 원형으로 작용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디즈니의 <백설 공주>가 "잠자는 숲 속의 공주" 이야기에서 차용한 키스신이나 백설 공주가 동물들과 교감한다는 설정, 일곱 난쟁이 각각의 이름과 성격묘사 등은 그림 형제의 원작에는 없는 부분인데 이후의 영화들은 모두 이 변화를 채택했다. 특히 <스노우 화이트 앤 더 헌트맨>의 경우 백설 공주의 의상도 디즈니 버전과 흡사하고, 일부 샷들은 설정과 구도까지도 거의 동일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들은 확연하게 다른 스타일의 스펙터클로 자신의 정체성을 보여준다. 디즈니의 <백설 공주>가 이후 많은 영화들의 원형이된 마녀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면 <거울아 거울아>는 타셈 싱만이 가능한 눈속임 그림과도 같은 독특한 마법의 세계를 보여주고 있으며 <스노우 화이트 앤 더 헌트맨>는 친숙한 것 사이의 섬뜩함이라는 언캐니의 스펙터클로 관객을 압도한다. 즉 비교적 예측 가능한 단순한 내러티브에도 불구하고 세 영화가 박스 오피스에서 비교적 성공을 거둔 것은 많은 부분 스펙터클의 힘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지영, 월트 디즈니, 살림 출판사, 2009.
  2. 앤드류 달리, 김주환 역, 디지털 시대의 영상 문화, 현실문화연구, 2003.
  3. Manovich, Lev, The Language of New Media, MIT Press, 2001.
  4. Walton, Kendall, Mimesis as Make-Believe : on the Foundations of the Represenatational Arts, Harvard, 1990.
  5. Freud, Sigmund. Strachey, Alix(trans)"The 'Uncanny'", http://web.mit.edu/allanmc/www/freud1.pdf
  6. Grimm, Jacob and Wilhelm, Sneewittchen, Kinder- und Hausmarchen, 1st ed., (Berlin: Realschulbuchhandlung, 1812), v. 1, no. 53, Translated by D. L. Ashliman, http://www.pitt.edu/-dash/type0709.html#snowwhite.
  7. Grimm, Jacob and Wilhelm, "Sneewittchen", Kinder- und Hausmarchen, final edition (Berlin, Realschulbuchhandlung, 1857), no. 53, Translated by D. L. Ashliman, http://www.pitt.edu/-dash/grimm053.html.
  8. 위키페디아, http://en.wkipedia.org, 검색어: Snow White and the Seven Dwarfs, 2013.01.25.
  9. <백설 공주와 일곱 난쟁이> (Snow White and the Seven Dwarfs, 1937).
  10. <거울아 거울아> (Mirror Mirror, 2012).
  11. <스노우 화이트 앤 더 헌츠맨> (Snow White and the Huntsman,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