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on of Appraisal and Disposal Function of the Standard Records Management System

표준기록관리시스템 평가·폐기 기능 평가

  • 이보람 (한국외국어대학교 정보.기록관리학과)
  • Received : 2013.09.21
  • Accepted : 2013.10.25
  • Published : 2013.10.31

Abstract

Legislative stability of the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electronic records and the enhancement of infrastructure have reached significant levels through relentless efforts of academic and public institutions in the field. In addition, appraisal and disposal of records also have to be done by retention periods, business functions, administrational and historical values, and certain procedures. The law specifies that public institutions must assign record managers. The underlying reason is for record managers to arbitrate the review process when records are to be evaluated and discarded and to prevent unauthorized disuses. It is also for just evaluations with the professionalism. Evaluation and discard of records have significant meanings in record management. Thus, these processes need to be handled properly in the standard record management system. Evaluation should be proceeded by the law enacted under the task functional and social agreement. Since, the record discard is decided through the technical and logical process, the support for evaluation and discard works are important above all things. In this paper, I deducted functional requirements of standard record management system by analyzing methods including the analysis of legislation and standard related to electronic records and the examination of the user's manual of record management system. I researched through the interviews of the record managers in public institutions. Based on this research, I deducted the implications for the evaluation of standard record management system and the estimation of functional requirements for discard. I also discussed future directions of improvements and follow-up studies.

오늘날 공공기관의 기록물 생산 및 관리는 법제적 안정을 이루었고 인프라 고도화를 통해 상당한 수준에 도달했다. 이에 따라 철저한 전자적 행정기록의 생산 관리를 법률로 규정하고 있으며 보존기간, 업무기능에 따라 행정 및 역사적 가치가 매겨지고 일정한 절차에 의해 평가 폐기를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각급 공공기관에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을 배치하도록 명시하고 있는 근본적인 이유 중 하나는 평가 폐기 시 심의과정 중재와 무단폐기 방지 등의 역할을 감당하고 전문성을 통해 올바른 평가가 가능하게 하려는 것이다. 평가 폐기가 기록관리 업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만큼,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은 업무를 기능적으로 적절히 구현하여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이를 지원해주어야 한다. 기록물 폐기 결정은 시스템의 기술적 논리적 프로세스를 거쳐 수행되므로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의 평가 폐기 기능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이 연구는 공공기록물 관련 법제 및 전자기록 관련 표준을 분석하고 기록관리시스템 사용자설명서를 검토하여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이 갖추어야 할 최소한의 기능요건을 도출한다. 또한 공공기관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면담 결과를 바탕으로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지는 평가 폐기 업무를 평가하고 시사점을 제시하며 향후 개선방향 및 후속연구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Keywords

Cited by

  1. 기록시스템의 오픈소스화 전략 연구 vol.52, pp.None, 2013, https://doi.org/10.20923/kjas.2017.52.121
  2. 왜 다시 기록관리 혁신인가? 소통, 기술, 협치를 향해 vol.55, pp.None, 2013, https://doi.org/10.20923/kjas.2018.55.165
  3. 표준기록관리시스템(RMS)의 기능 현황 및 발전방향 10년의 운영 경험과 기능 개선 사항을 중심으로 vol.57, pp.None, 2018, https://doi.org/10.20923/kjas.2018.57.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