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Science Academic Emotion of Elementary Students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 정서 분석

  • Received : 2013.01.10
  • Accepted : 2013.03.05
  • Published : 2013.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core situations that can arouse various academic emotions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intensity-frequency of these academic emotions from Korean elementary students in Science classes. To accomplish this study, authors conducted a survey of 642 sixth grade students.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cience academic emotions varied depending on each of the science learning situations. On the whole, positive-emotions were aroused in science experiment situations and negative-emotions were aroused in evaluation, personality of individuals and other people, teaching-learning method and science experiment situations. If teachers want to manage a specific emotion, they should control the core situations that can arouse that specific emotion. Second, positive-emotions appeared more than negative-emotions in intensity and frequency. But boredom, annoyance and stuffiness appeared the most among negative-emotions. Teachers have to reduce students' boredom, annoyance and stuffiness that are aroused in their science classes. Based on the results, authors become assured that introduction of the emotions was a very useful method in enhancing Korean elementary students' affective domain achievement in science classe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 상황에서의 정서를 분석하여 실제 과학 수업 상황에서 다룰 수 있는 정의적 수준의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을 통해 추출한 14개 정서들에 대해 초등학교 6학년 642명에게 설문을 실시했고 각 정서의 핵심 유발 상황 및 강도와 빈도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의 14개 정서에 대한 정서 유발 핵심 상황이 각 정서별로 다양하게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긍정 정서와 부정 정서로 나누어 살펴보면 긍정 정서는 대체로 실험의 상황에서 나타났으며 부정 정서는 평가, 자신, 타인, 교수학습 방법 등 보다 다양한 상황에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각 정서 유발 상황을 분석 및 조절하고 정서의 변화를 목적으로 한 수업 전략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의 14개 정서에 대한 강도와 빈도 분석에서 긍정 정서의 강도와 빈도가 부정 정서보다 높게 나타났다. 부정 정서 중에서 강도와 빈도가 높게 나타난 지루함, 귀찮음, 답답함과 같은 부정 정서에 대해서는 정서 유발 상황을 분석 및 조절하거나 긍정 정서 유발을 통해 이러한 부정정서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과학 학습 상황에서의 정서를 살펴봄으로써 정의적 수준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시사점을 확인했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병연, 오희균(2009). 중학교 학생들의 성격유형과과학 학습 불안 및 학업 성적간의 상관관계. 과학교육연구지, 33(1), 35-53.
  2. 곽영순, 김찬종, 이양락, 정득실(2006). 초, 중등 학생들의 과학 흥미도 조사. 한국지구과학회지, 27(3), 260-268.
  3. 교육과학기술부(2009).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과학6-1. 서울: (주)금성출판사.
  4. 권난주, 복영선(2007). 과학 완구 만들기 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 흥미도 및 개념 이해도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26(3), 243-251.
  5. 권석만(2008). 긍정 심리학 - 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 학지사.
  6. 김경희(1997). 한국 아동의 정서에 관한 심리학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0(1), 43-56.
  7. 김경희, 김수진, 김남희, 박선용, 김지영, 박효희, 정송(2008). 수학∙ 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TIMSS 2007 결과보고서-.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8. 김경희, 김수진, 김미영, 김선희, 강민경, 박효희, 정송(2009). PISA와 TIMSS 상위국과 우리나라의 교육과정및 성취 특성 비교 분석.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9. 김동환, 이주욱, 이병준(2009). 중학교 체육수업의 개별 정서경험 심층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6(4),125-152
  10. 김상달, 이상균, 최성봉(2010). 과학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도 실태 조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3(3),191-197.
  11. 김수연, 김효남(2012). 초, 중, 고 학생의 과학 정의적영역 성취도 비교 분석. 초등교과교육연구, 16, 1-19.
  12. 김은진, 양명희(2011). 우리나라 학생들이 경험하는학업상황의 정서 연구. 교육심리연구, 25(3), 501-521.
  13. 김효남, 정완호, 정진우, 양일호, 김영신(1999).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 정의적 특성 추이 분석을 위한 종단적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2), 194-203.
  14. 박승재, 임성민(2000). 중학생의 물리학습에 대한 흥미의 다차원성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491-504.
  15. 우종옥, 이경훈, 이항로(1994). 과학교육학목표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2), 159-169.
  16. 유경, 민경환(2003). 학령전기 아동의 정서 이해의 발달: 정서 원인과 정서 조절에 대한 이해. 심리과학, 12(1),13-29.
  17. 은혁기(2009). 초등학생들의 정서지능과 학습기술.인문학논총, 14(1), 149-170.
  18. 이미경, 홍미영(2007). 우리나라 중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 추이 분석 및 국제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27(3), 201-211.
  19. 이미란(2002). 초등학교 과학실험에서 안전에 관한초등교사들의 인식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은경, 이양희(2006). 아동용 정서경험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9(4), 93-115.
  21. 이재천(1992). 중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불안도 측정도구개발 및 과학 불안 경향성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이재천, 김범기, 권태형(1997). 초등교사들의 자연과교수지도에 대한 과학 불안도 및 태도 인식조사. 초등과학교육, 16(2), 257-275.
  23. 이재천, 김범기(1999). 과학교사에 의해 조성되는 심리적 학습환경이 학생들의 과학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2), 315-328
  24. 이지영(2011). 정서 조절 코칭북. 서울: 시그마프레스
  25. 정재훈, 김영신(2011). 초등교사의 과학과 교수 유형에 따른 학생의 과학 불안도 분석. 초등과학교육, 30(1),1-9.
  26. 정진우, 김현정, 문병찬, 김진국, 남궁덕, 김형기(2005). 초등학생의 과학 불안 감소를 위한 개념도 수업전략의 효과. 과학교육논문집, 15(1), 42-50.
  27. 조붕환, 임경희(2003). 아동의 정서, 행동문제 자기보고형 평정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및 심리치료, 15(4), 729-746.
  28. 최은실, 방희정(2011). 초등학생의 정서인식 및 표현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4(3), 105-128.
  29.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2. 12. 11). TIMSS 2011 결과.
  30. 허명(1993). 초∙ 중∙고 학생의 과학 및 과학교과에대한 태도 조사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3), 334-340.
  31. Acee, T. W., Kim, H., Kim, H. J., Kim, J. I., Chu, H. N. R., Kim, M. S., Cho, Y. J., Wicker, F. W. (2010). Academic boredom in under-and over-challenging situation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35(1), 17-27. https://doi.org/10.1016/j.cedpsych.2009.08.002
  32. Ainley, M., Corrigan, M., & Richardson, N. (2005). Students, tasks and emotions: Identifying the contribution of emotions to students'reading of popular culture and popular science texts. Learning and Instruction, 15(5), 433-447. https://doi.org/10.1016/j.learninstruc.2005.07.011
  33. Anderson, L. W. (1981). Assessing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the school. Boston, Mass,: Allyn and Bacon, Inc. 변창진, 문수백 공역 (1987). 정의적 특성의 사정-정의적 척도의 개발 절차와 선발 방법. 서울: 교육과학사.
  34. Assor, A., Kaplan, H., Kanat-Maymon, Y., & Roth, G. (2005). Directly controlling teacher behaviors as predictors of poor motivation and engagement in girls and boys : The role of anger and anxiety. Learning and Instruction, 15(5), 397- 413. https://doi.org/10.1016/j.learninstruc.2005.07.008
  35. Baram Tsabari, A., & Yarden, A. (2009). Identifying meta clusters of students'interest in science and their change with a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9), 999-1022. https://doi.org/10.1002/tea.20294
  36. Baron-Cohen, S., Golan, O., Wheelwright, S., Granader,Y., & Hill, J. (2010). Emotion word comprehension from 4 to 16 years old : A developmental survey. Frontiers in Evolutionary Neuroscience, 2, 1-8.
  37. Czerniak, C., & Chiarelott, L. (1985). Science anxiety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 Equity issues. Journal of Educational Equity and Leadership, 5(4), 291-308.
  38. Ekkekakis, P., & Petruzzello, S. J. (2000). Analysis of the affect measurement conundrum in exercise psychology : I. fundamental issues. Psychology of Sportand Exercise, 1(2), 71-88. https://doi.org/10.1016/S1469-0292(00)00010-8
  39. Fredrickson, B. L. (2004). The broaden-and-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359, 1367-1377 https://doi.org/10.1098/rstb.2004.1512
  40. Frijda, N.H. (1988). The laws of emotion. American Psychologist, 43(5), 349-358. https://doi.org/10.1037/0003-066X.43.5.349
  41. Gay, L. R. (1996). Educational research: Competencies for analysis & application. Columbus, OH: A Bell & Howell Company.
  42. Greenberg, L. S. (2002). Integrating an emotion-focused approach to treatment into psychotherapy integration. Journal of Psychotherapy Integration, 12(2), 154.
  43. Gross, J. J., & John, O. P. (2003). Individual differences in two emotion regulation processes : Implications for affect, relationships, and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5(2), 348.
  44. Hoffner, C., & Badzinski, D. M. (1989). Children's integration of facial and situational cues to emotion. Child Development, 60(2), 411-422 https://doi.org/10.2307/1130986
  45. Kagan, J. (2007). What is emotion? : history, measures, and meanings. Yale University Press. 노승영 역 (2009). 정 서란 무엇인가?. 서울: 아카넷.
  46. Krapp, A. (2005). Basic needs and the development of interest and intrinsic motivational orientations. Learning and Instruction, 15(5), 381-395. https://doi.org/10.1016/j.learninstruc.2005.07.007
  47. Lazarus, R. S. (1991). Emotion and adaptation. New York/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48. Lazarus, R. S. (2000). How Emotions Influence Performance in Competitive Sports. The Sport psychologist, 14(3), 229-252.
  49. Linnenbrink, E. A. (2007). The role of affect in student learning: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considering the interaction of affect, motivation, and engagement. In Schutz, P. A. & Pekrun, R. (Eds.) (2007). Emotion in education. Amsterdam: Academic Press.
  50. Mallow, J., Kastrup, H., Bryant, F. B., Hislop, N., Shefner, R., & Udo, M. (2010). Science anxiety, science attitudes, and gender : Interviews from a binational study.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9(4), 356- 369. https://doi.org/10.1007/s10956-010-9205-z
  51. Matyas, M. L. (1984). Science career interests, attitudes, abilities, and anxiety among secondary school students ; the effects of gender, Race/Ethnicity, and school Type/Location.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New Orleans, LA, April 28.
  52. Meyer, D. K., & Turner, J. C. (2006). Re-conceptualizing emotion and motivation to learn in classroom contexts.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8(4), 377-390. https://doi.org/10.1007/s10648-006-9032-1
  53. Parkinson, B., & Totterdell, P. (1999). Classifying affectregulation strategies. Cognition & Emotion, 13(3), 277-303. https://doi.org/10.1080/026999399379285
  54. Pekrun, R. (2006). The control-value theory of achievement emotions: Assumptions, corollaries, and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research and practice.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8(4), 315-341. https://doi.org/10.1007/s10648-006-9029-9
  55. Pekrun, R., Goetz, T., Frenzel, A. C., Barchfeld, P., & Perry, R. P. (2011). Measuring emotions in students'learning and performance: The achievement emotions questionnaire (AEQ).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36(1), 36-48. https://doi.org/10.1016/j.cedpsych.2010.10.002
  56. Reyes, M. R., Brackett, M. A., Rivers, S. E., White, M., & Salovey, P. (2012). Classroom emotional climate, student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4(3), 700-712. https://doi.org/10.1037/a0027268
  57. Richards, J. M., & Gross, J. J. (2000). Emotion regulation and memory : The cognitive costs of keeping one's coo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9(3), 410. https://doi.org/10.1037/0022-3514.79.3.410
  58. Russell, J. A., & Barrett, L. F. (1999). Core affect, prototypical emotional episodes, and other things called emotion: Dissecting the elepha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6(5), 805-819. https://doi.org/10.1037/0022-3514.76.5.805
  59. Swarat, S., Ortony, A., & Revelle, W. (2012). Activity matters: Understanding student interest in school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9(4), 515-537. https://doi.org/10.1002/tea.21010
  60. Thagard, P. (2002). 12 the passionate scientist : Emotion in scientific cognition In Carruthers, P., Stich, S. P., & Siegal, M. (Eds.) (2002). The Cognitive Basis of Science. New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61. Tomas, L., & Ritchie, S. M. (2012). Positive emotional responses to hybridised writing about a socio-scientific issue.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42(1), 25-49. https://doi.org/10.1007/s11165-011-9255-0
  62. Trumper, R. (2006). Factors affecting junior high school students'interest in physic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5(1), 47-58. https://doi.org/10.1007/s10956-006-0355-6
  63. Wynstra, S., & Cummings, C. (1990). Science anxiety: Relation with gender, year in chemistry class, achievement, and test anxiety. Paper presented at the 12th Annual Meeting of the Midwester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Chicago, IL, October 17-19.

Cited by

  1. 초등학생 과학 학습정서 검사 도구 개발 vol.33, pp.7,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7.1367
  2.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motions to Animals and Plants vol.44, pp.1, 2013, https://doi.org/10.15717/bioedu.2016.44.1.127
  3. 초등과학 영재학급 학생과 일반학급 학생의 과학 학습정서와 과학적 상상력 비교 vol.36, pp.2, 2013, https://doi.org/10.15267/keses.2017.36.2.155
  4. 과학적 지식 탐색 과정에서 초등학생들의 인식적 정서와 이를 이끄는 인지적 평가 요인 탐색 vol.38, pp.4, 2013, https://doi.org/10.15267/keses.2019.38.4.4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