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역발상적 사고 기법의 가능성 탐색: 대학생들의 아이디어 생성 과정의 특징을 중심으로

The Investigation on the Possibilities of Assumption Reversal Thinking Skill: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dea Generation Process by University Students

  • 투고 : 2013.01.19
  • 심사 : 2013.03.31
  • 발행 : 2013.04.30

초록

창의적 문제 해결 과정의 핵심은 독특하고 다양한 아이디어의 생성이다. 따라서 아이디어의 생성을 어려워하는 학생들에게 이를 도와줄 수 있는 구체적 방안 마련이 요구되며, 이에 역발상적 사고 기법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역발상적 사고 기법을 기반으로 한 아이디어 생성 과정의 특징을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역발상적 사고기법은 학생들의 관점 전환을 유도하며, 새로운 아이디어의 산출을 도왔다. 이에 학생들의 아이디어 산출을 지원해 주는 사고 틀로서 역발상적 사고 기법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역발상적 사고가 좀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산출된 아이디어에 대한 이론적 판단이나 가치 개입, 경험 등으로 인한 편견을 배제할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생들이 역발상적 아이디어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반대나 비판 등을 감수하면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실행시키고자 하는 과제집착력이나 용기 등을 함양할 수 있는 방안 마련도 요구된다.

I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es, the core was to generate unique and various ideas. Thus, an assumption reversal thinking skill needed to be considered as a concrete method that could help students who have difficulties with generating ideas. In this study, we applied the assumption reversal thinking skill to university students and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dea generation proces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we found that the assumption reversal thinking skill helped students generate new ideas, inducing their perspective changes. Therefore, we could ascertain the possibilities of the assumption reversal thinking skill as a thinking frame supporting students' idea generation. However, there is a need to develop methods for students to exclude prejudice by theoretical judgment, intervention of the value, and experience for fostering more effective assumption reversal thinking. Also, ways should be considered so that students would be able to cultivate task commitment and courage of implementing new ideas, bearing criticism from other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성주, 김현주, 이길재 (2011). 과학영재들을 위한 창의적 탐구활동 프로그램 (I). 서울: 북스힐.
  2. 김춘일 (2006). 창의성 교육의 국제 동향: 영∙미∙독∙일의 경우를 중심으로. 아동교육, 15(3), 225-244.
  3. 성태제, 시기자 (2006). 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4. 여준상 (2004). 회사의 운명을 바꾸는 역발상 마케팅.서울: 원앤북스.
  5. 장선애 (2007). 창의성 개발 및 성취 동기 향상을 위한 디자인 아이디어 발상 교육 연구: 실업계 고등학교 디자인과 수업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6. 전경원 (1997). 브레인스토밍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에관한 연구(I): 유아 교사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2(2), 1-23.
  7. 정현철, 한기순, 김병노, 최승언 (2002). 과학 창의성개발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이론과 예시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3(4), 334-348.
  8. 최병연, 강봉남 (2010). 문제중심학습을 통한 창의성신장 방안. 창의력교육연구, 10(2), 27-44.
  9. 최병연, 박민희 (2004).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CPS)을활용한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교육방법연구,16(2), 1-28.
  10. 한아름, 곽대영 (2012). TRIZ 개념을 활용한 디자인아이디어 발상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18(2), 512-525.
  11. Cropley, A. J. (2001). Creativity in education & learning: A guide for teachers and education. London: Kogan Page.
  12. Firestien, R. L. (1990). Effect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training on communication behaviors in small groups. Small Group Research, 21(4), 507-521. https://doi.org/10.1177/1046496490214005
  13. Firestien, R. L., & Lunken, H. P. (1993). Assessment of the long-term effects of the master of science degree in creative studies on its graduates.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27(3), 188-199. https://doi.org/10.1002/j.2162-6057.1993.tb00706.x
  14. Frensch, P. A., & Sternberg, R. J. (1989). Expertise and intelligent thinking: When is it worse to know better? In R. J. Sternberg (Ed.), Advances in the psychology of human intelligence. Vol. 5.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15. Isaksen, S. G., & Deschryver, L. (2000). Making a difference with CPS: A summary of the evidence. In S. G. Isaksen (Ed.). Facilitative leadership: Making a difference with CPS. Dubuque, IA: Kendall-Hunt.
  16. Kohn, N. W., & Smith, S. M. (2011). Collaborative fixation: Effects of others'ideas on brainstorming. Cognitive Psychology, 25(3), 359-371. https://doi.org/10.1002/acp.1699
  17. Lavinsky, D. (2009). The assumption reversal brainstorming technique. http://www.viddler.com/explore /GrowthinkU/videos/6/.
  18. Osborn, A. F. (1953). Applied imagination: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creative thinking.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19. Treffinger, D. J., Isaksen, S. G., & Dorval, K. B. (2000). Creative problem solving: An introduction. (3rd Ed.). Waco, TX: Prufrock Press.

피인용 문헌

  1. RSP(Reverse Science Principle)기반 화학 탐구 프로그램의 효과 및 가능성 탐색 vol.62, pp.4, 2013, https://doi.org/10.5012/jkcs.2018.62.4.2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