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es of Science Education Theories in the Question Items of the Examination for Appointing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 문항에 나타난 과학교육학 이론의 분석

  • Received : 2013.03.21
  • Accepted : 2013.05.10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at kinds of science education theories are targeted in the "Examination for Appointing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EASST)." For the analyses, we extracted the contents related to the science education theories in the question items of the EASST of 2008 through 2012, and categorized those theories into science curriculum, history of science and philosophy of science, scientific inquiry, theory of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assess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theory of teaching and learning appeared most frequently and there were high proportions of question items related to the following topics: contents in science curriculum, scientific method, contemporary philosophy of science, process of inquiry, Ausubel's theory, learning cycle model by Lawson, cooperative learning, criteria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etc. While we, as science educators, believed that the other categories such as 'history of science' provides important topics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questions items dealing with those were rarely found in the past EASSTs. As EASST has strong influences 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more research should be pursued on how much and what domains of science education theories would be appropriate for the test.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과학교사신규임용후보자선정경쟁시험(이하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의 문항들에서 어떤 과학교육학 이론이 제시되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최근 5년간 시행된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의 과학교육학 관련 문항들을 과학과 교육과정, 과학사 및 과학철학, 과학 탐구, 과학 교수학습이론, 과학 교수학습모형, 과학 평가 등의 6가지 영역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과학 교수학습이론이 다른 영역에 비해 가장 많이 출제되었고, 각 영역 내에서는 '차시별 교육과정의 내용요소', '과학적 방법'과 '현대과학철학', '탐구과정요소', '오수벨의 유의미학습', '로슨의 순환학습'과 '협동학습', '수행평가 준거 개발' 등에서 많은 내용이 출제되었다. 반면에, 과학교육자들 사이에서 '과학사'와 같이 예비 과학교사에게 중요한 주제로 여겨지지만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에서는 출제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영역도 많이 있었다.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이 예비교사들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노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예비교사들이 익혀야 할 과학교육학 이론의 양과 수준에 대해 많은 연구가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희정, 김희백 (2009). 경력 교사의 수업 전문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모형 활용 생물 수업을 중심으로. 생물교육(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7(1), 21-37.
  2. 고미례, 남정희, 임재항 (2009). 신임 과학교사의 교과교육학지식(PCK)의 발달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1), 54-67.
  3. 곽영순 (2006). 중등 과학교사들이 말하는 교과교육학지식의 의미와 교직 전문성 제고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4), 527-536.
  4. 교육과학기술부 (2008). 2007년 개정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해설서. 서울: 대한교과서(주).
  5. 교육과학기술부 (2009). 고교 과학과 교육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
  6. 권재술, 김범기, 우종옥, 정완호, 정진우, 최병순(2006). 과학교육론. 서울: 교육과학사.
  7. 김갑성, 전제상, 김지희 (2007). 국가 수준의 교사 자격기준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R2007-07.
  8. 김갑성, 박영숙, 정광희, 김기수, 김재춘, 김병찬(2009). 교원양성체제 개편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OR 2009-02.
  9. 김경순, 윤지현, 박지애, 노태희 (2011).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의 수업시연 계획 및 실행에서 나타난 교과교육학지식의 요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1), 99-114.
  10. 김영민, 박종원, 박종석, 이효녕, 김영신, 오희진(2009). 한국, 미국, 영국의 과학교사 양성 교육과정 비교분석. 교사교육연구, 48(3), 33-58.
  11. 김영민, 문지선, 박정숙, 임길선 (2010). 과학교사양성과정에 대한 심층면담을 통한 경력과학교사들과 초임과학교사들의 인식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8), 1002-1016.
  12. 김용진, 양혜정, 오경환, 곽대오, 정원준, 김운화, 서정희 (2010). 중등생물교사신규임용후보자선정경쟁시험에 대한 수험생의 인식 조사. 생물교육(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8(3), 516-529.
  13. 김인환, 차정호, 김창만, 김학범 (2010). 예비 과학교사들이 임용시험의 과학교육학 내용 학습에서 겪는 어려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4), 429-436.
  14. 김희경, 윤희숙, 이기영, 조희형 (2010). 2007년 개정과학과 교육과정의'자유탐구'에 대한 중등과학교사의 인식. 중등교육연구, 58(3), 213-235.
  15. 김종희, 이기영 (2006). 사범대학 교사 양성 교육 과정현황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한국지구과학회지, 27(4),390-400.
  16. 박성혜 (2003a). 교사들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과 예측 변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6), 671-683.
  17. 박성혜 (2003b). 교사들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측정도구 개발. 한국교원교육연구, 20(1), 105-134.
  18. 성삼제, 김태형, 이종원 (2012). 2012년도 교원자격검정 실무편람. 교육과학기술부.
  19. 손연아, 신종란, 민병미 (2007). 생물 예비교사의 수업시연에서 나타난 과학 수업 모형 적용 과정 분석. 생물교육(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5(3), 495-507.
  20. 심재호 (2006). 과학교사 전문성과 실험 연수에 대한중등 과학 교사의 인식. 생물교육(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1), 27-37.
  21. 양혜정, 동효관, 권용주, 오경환, 김용진 (2011). 중등생물교사 임용 제3차 시험에 대한 수험생의 인식 조사: 수업능력, 심층면접과 실험능력의 평가를 중심으로. 생물교육(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9(3), 401-412.
  22. 여성희, 강순자, 심규철 (2003). 중등과학교사 교원 연수 실태 및 인식 조사 연구. 생물교육(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1(4), 339-346.
  23. 이봉우, 신동희 (2011). 과학사 활용 과학 교육에 대한 전문가 의견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5), 815-826.
  24. 이선경, 이규호, 최취임, 신명경 (2012). 예비 초등교사의 과학 탐구 글쓰기 활동에서 나타난 이론과 증거의 조정 과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 201-209.
  25. 이송연, 미희정, 원정애, 백성혜 (2011). 멘토링을 통한 예비화학교사들의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4), 621-640.
  26. 임청환 (2003). 초등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의 발달이 과학 교수 실제와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구과학회지, 24(4), 258-272.
  27. 전영석, 김동영, 신영준, 이봉우, 최돈형, 최원호, 홍준의 (2006). 과학 수업에서 학생평가를 잘 하려면.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05-51-5.
  28. 조희형, 고영자 (2008). 과학교사 교수내용지식(PCK)의 재구성과 적용 방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618-632.
  29. 조희형, 박승재 (1993). 과학교직관과 과학교사상에 대한 문헌 연구 및 실태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3),377-388.
  30. 조희형, 김희경, 윤희숙, 이기영 (2011). 과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31. Abd-El-Khalick, F., Bell, R. L., & Lederman, N. G.(1998). The nature of science and instructional practice:Making the unnatural. Science Education, 82, 417-436.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807)82:4<417::AID-SCE1>3.0.CO;2-E
  32.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4). Benchmarks for Scientific Literacy: Project 2061.New York, USA: Oxford University Press.
  33. Bales, B. (2007). Teacher education reform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theoretical constructs of stakeholder medi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 Policy & Leadership, 2(6). (http://www.ijepl.org) Accessed: May 27 2012.
  34. Clark, C., & Peterson, P. (1986). Teachers' thought process. In Wittrock, M. (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pp. 256-296). New York: Macmillan.
  35. Inoue, N. (2009). Rehearsing to teach: content-specific deconstruction of instructional explanations in pre-service teacher training. Journal of Education for Teaching, 35(1),47-60. https://doi.org/10.1080/02607470802587137
  36. Jegede, O., Taplin, M., & Chan, S.-L. (2000). Trainee teachers'perception of their knowledge about expert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 42(3), 287-308. https://doi.org/10.1080/001318800440614
  37. Klopfer, L. (1990). Learning scientific inquiry in the student laboratory. In E. Hegarty-Hazel (Ed.), The student laboratory and the science curriculum (pp. 101). London: Rutledge.
  38. Lin, C. Y., Hu, R., & Changlai, M. L. (2005). Science curriculum components favored by Taiwanese biology teacher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5, 269-280. https://doi.org/10.1007/s11165-004-7038-6
  39. Marks, R. (1990).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rom a mathematical case to a modified concep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1(3), 3-11.
  40. Matthews, R. (1994). The role of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NY: Routledge.
  41.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USA: National Academy Press.
  42.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0).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USA: National Academy Press.
  43. Neiss, M. L. (2005). Preparing teachers to teach science and mathematics with technology: Developing a technolog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1, 509-523. https://doi.org/10.1016/j.tate.2005.03.006
  44. Odom, A. L., Stoddard, E. R., & LaNasa, S. M. (2007). Teacher practices and middle-school science achieve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9, 1329-1346. https://doi.org/10.1080/09500690601001971
  45. Shulman, L. S. (1986). Paradigms and research programs in the study of teaching: A comtemporary perspective. In M.C. Wittrock (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3rd ed., pp.3-36). NY: Macmillan Publishing.
  46. Smith, I., Brisard, E., & Menter, I. (2006). Models of partnership developments in initial teacher education in the four components of the United Kingdom: recent trends and current challenges. Journal of Education for Teaching, 32(2),147-164. https://doi.org/10.1080/02607470600655136
  47. Yager, R. (1992). Viewpoint: What we did not learn from the 60s about science curriculum refor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8), 905-910.

Cited by

  1. An Analysis of the Primary Examination for Selecting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in Korea Using the US Science Teachers Preparation Standards vol.19, pp.1, 2013, https://doi.org/10.24231/rici.2015.19.1.113
  2. Implications of Teacher Training for Pre-service Secondary Biology Teachersat the College of Education through Analysing the Examinationfor Appointing Secondary School Biology Teachers vol.44, pp.1, 2013, https://doi.org/10.15717/bioedu.2016.44.1.179
  3. A Study on Geography Education Knowledge Base of Geography Teachers in the Secondary School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vol.25, pp.1, 2017, https://doi.org/10.17279/jkagee.2017.25.1.77
  4. 중등물리교사임용시험의 광학 문항 분석 vol.28, pp.5, 2013, https://doi.org/10.3807/kjop.2017.28.5.187
  5. Analysis of the Examination for Selecting Secondary School Chemistry Teachers vol.21, pp.4, 2017, https://doi.org/10.24231/rici.2017.21.4.303
  6. 중등교사임용시험 지구과학 교과교육학 출제동향 및 개선방안 분석 vol.11, pp.2, 2013, https://doi.org/10.15523/jksese.2018.11.2.78
  7. Comparative Analysis of Life Science Items of Korean Scholastic Aptitude Test and Regular High School Examinations vol.46, pp.3, 2013, https://doi.org/10.15717/bioedu.2018.46.3.346
  8. 학문, 교과, 교과내용, 교과교육 간 관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과학교육을 중심으로- vol.40, pp.6, 2020, https://doi.org/10.14697/jkase.2020.40.6.6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