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dentifying the perception on the introducing of Construction Management(CM) in the civil infrastructure project delivery system

사회간접자본 프로젝트의 CM제도 활성화방안에 대한 인식분석 연구

  • 장원석 (영남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 이상욱 (국토해양부 도로정책과) ;
  • 이동은 (경북대학교 건축.토목공학부)
  • Received : 2012.09.17
  • Accepted : 2012.11.26
  • Published : 2013.01.31

Abstract

Current environment in civil and construction industry has changed to actively adopt construction management (CM) in various areas. While it is found that exemplary CM projects have been carried out in many civil engineering sectors, concrete system framework has not been suggested due to ambiguous boundary between CM and supervision system, unclear perception of CM's role, and inexperienced organization and regime.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hallenges faced in civil and construction industry, and analyzed the strategy that could improve the current immature CM system by conducting questionnaire survey from experts in various construction sectors. The results could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that can involve diverse opinions and view points in project participants.

국내 사회간접자본(SOC) 프로젝트에서는 품질, 비용, 안전, 공정의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CM제도를 다양한 시범사업 및 실제 사업에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SOC사업에 CM제도를 도입하는 데는 여러 가지 실무적 장벽들이 존재한다. 내적으로는 안전문제 및 부실시공으로 인해 발생된 건설 산업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극복하고, 외적으로는 건전한 시장개방과 국제화 및 세계화 시대에 부합하여 기술발전 및 개발을 통해 대외 경쟁력을 향상시켜야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이를 달성하기위해 각 프로젝트 참여자들이 효율적으로 융화 될 수 있는 있는 토대를 제공하는 CM제도의 정착은 중요한 현안이다. 그러나 현재 발주처의 입장에서 국내 SOC 프로젝트 CM 제도의 정착화 방안을 객관적으로 규명하는 연구가 결여되어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를 규명하기 위해 국내 CM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구성원들(예, 발주처, 감리, 설계사, 시공사 등)을 대상으로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CM도입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각 프로젝트 참여자들의 CM에 대한 입장을 정립하며, CM 정착을 위해 수반되는 문제점을 규명하고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제시한다. 국내 SOC 프로젝트 CM에 대한 각 프로젝트 참여자들의 입장을 객관적으로 분석함으로써 CM 제도를 보다 효율적으로 정립하는데 기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대용 (2008). "건축공사 감리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서울산업대학교 주택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박형근-신규철-박환표-정영수 (2008). "CM 활성화를 위한 산학관 분야의 향후 발전방향 및 미래과제."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제9권 제6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244-256.
  3. 박신-김진호 (2000). "CM 도입에 따른 국내 감리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논문집, 제2권 제3호, 대한건축학회지연합회, pp. 107-114.
  4. 연상호 (2010). "지방도로 확포장공사의 시공계획 및 공사관리 기법연구."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제2010권 제5호, 한국콘텐츠학회, pp. 635-637.
  5. 윤준선-유병억-한창평 (2006). "건설관리(CM)업무 활성화를 위한 종합감리업무 수립방안."한국건축시공학회지, 제6권 제4호, 한국건축시공학회, pp. 101-102. https://doi.org/10.5345/JKIC.2006.6.4.099
  6. 이복남-최석인-장현승 (2005). "국내 용혁형 시장 CM/PM활 성화를 위한 개선 방안."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보고서, 제2006권 제5호, 한국건설산업연구원, pp. 1-137.
  7. 장철기-이복남-최석인-이덕규 (2006). "CM at Risk의 이해와 도입 가능성 진단."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보고서, 제 2006권 제5호, 한국건설산업연구원, pp. 1-130.
  8. 정희준 (2003). "CM도입에 따른 국내감리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삼척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조윤행 (2003). "건설사업관리 체계하의 건설감리업무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채영석-박서영-문현석-김선영-강인석 (2011). "공공토목사업 CM발주를 위한 단게별 업무지원 시스템 구축."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제12권 제5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81-92.
  11. 한국CM협회 (2012) "CM제도의 국내 도입배경." (2012.8.30)

Cited by

  1. Growth Model for Korean CM Firms based on 2012 Statistics vol.15, pp.6, 2014, https://doi.org/10.6106/KJCEM.2014.15.6.0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