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n the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based on storytelling in elementary schools

스토리텔링 수학 교수·학습에 대한 초등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 분석

  • Received : 2013.04.30
  • Accepted : 2013.07.03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storytelling in elementary schools started to apply a new method of teaching math to the first and second grade students from this year. By surveying the actual responses of both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critical opinions to assist future math teachers.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124 in-service teachers and 112 pre-service teachers, asking what they needed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storytelling theory and for the preparation of actual lessons. After analyzing data, we concluded that in-service teachers have more positive opinion about the efficiency of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based on storytelling, but more negative opinion about the appropriateness of storytelling as a means for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than the pre-service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The in-service elementary teachers also want to have well-organized teaching resources for storytelling and development. Through a lot of training, more and more creative ways of applying the storytelling method can be learned and concrete presentations of real lessons need to be shared. Approximately 87% of pre-service teachers believe the storytelling method is a necessity in teaching math.

2013학년도부터 초등학교 1학년과 2학년 수학 수업이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한 수학교과서로 시작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의 스토리텔링 수학 교수 학습에 대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향후 스토리텔링 수학교과서로 수업을 진행하게 될 교사를 지원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재 초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 124명과 예비 초등교사 112명을 대상으로 스토리텔링 수학 교수 학습에 대한 인식과 수업을 준비하는 데 필요한 요구 사항에 초점을 맞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스토리텔링 수학 교수 학습의 효율성에 대한 현직교사의 인식이 예비교사보다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수학 교수 학습 수단으로서 스토리텔링의 적절성에 대한 현직교사의 인식은 예비교사보다 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등 현직교사도 스토리텔링 수업자료의 개발과 보급을 필요로 하였고, 교사 연수를 통하여 스토리텔링 수학 수업에 대한 좋은 사례와 구체적인 시범수업에 대한 정보의 공유를 요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예비교사교육 단계에서 스토리텔링 수학 교수 학습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예비교사는 약 87%에 이르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나영, 김래영, 김구연(2011). 초.중등 수학과 교육과정 연구의 주제별 동향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50(4), 507-520. https://doi.org/10.7468/mathedu.2011.50.4.507
  2. 권오남, 주미경, 박규홍, 오혜미, 박지현, 조형미, 이지은, 박정숙 (2012). 고등학교 수학교사의 스토리텔링 수학 교과서에 대한 이해,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51(3), 223-246. https://doi.org/10.7468/mathedu.2012.51.3.223
  3. 서보억 (2013) 수학교육에서의 스토리텔링(storytelling)에 대한 문헌 분석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52(1), 65-82. https://doi.org/10.7468/mathedu.2013.52.1.065
  4. 방정숙, 황현미(2012). 수학교과서 연구 동향 분석: 2006년부터 2011년 게재된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51(3), 247-263. https://doi.org/10.7468/mathedu.2012.51.3.247
  5. 백조현, 박수홍, 강문숙(2010). 스토리텔링 기반 수학과 수업설계전략 모형 개발 - 확률과 통계를 중심으로-, 교육혁신연구, 20(1), 113-141.
  6. 하수연, 방정숙, 주미경(2010). 초등수학교육 연구동향: 최근 5년간 게재된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9(1), 67-83.
  7. Bruner, J. (1996). The culture of educa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8. Egan, K. (2005). An imaginative approach to teaching,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9. Ellis, G. & Brewster, J. (1991). The storytelling handbook for primary teachers, Penguin Books.
  10. NCTM(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National Council of Teacher of Mathematics.
  11. Pink, D. H. (2005). A whole new mind: Moving from the information age to the conceptual age, New York: Riverhead Books.
  12. Schiro, M. (2004). Oral storytelling & teaching mathematics; Pedagogical and multicultural perspectives, Thousands Oaks, CA: Sage Publication.

Cited by

  1. GeoGebra와 미분적분학 개념의 시각화 vol.28, pp.4, 2014, https://doi.org/10.7468/jksmee.2014.28.4.457
  2. CBAM(Concerns-Based Adoption Model)에 기초한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관심도, 실행 수준, 실행 형태 및 관계 연구 vol.55, pp.4, 2013, https://doi.org/10.7468/mathedu.2016.55.4.417
  3. A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Math Education Through Storytelling on Young Children’s and Elementary Students’ Mathematical Learning and Development vol.8, pp.2, 2013, https://doi.org/10.30528/jolss.2018.8.2.006
  4. Investigation of the Efficient Number of Occasions for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Test vol.66, pp.3, 2013, https://doi.org/10.25152/ser.2018.66.3.7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