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oderating Roles of Public Services in the Quality of Life of Hemodialysis Patients within the Context of Social Support

혈액투석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영향과 공적 서비스의 조절효과

  • 강미경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 강선미 (의정부성모병원) ;
  • 김수영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Received : 2013.07.22
  • Accepted : 2013.08.27
  • Published : 2013.11.28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quality of life of hemodialysis patients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public services. To achieve this purpose, parameter analysis using hierarchical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was carried out with data provided by 156 hemodialysis patients who live in Seoul and Gyeonggi-do.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social support, marital status, occupation of patient affected with the quality of life. The findings also showed that public services have moderate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life of hemodialysis patient and social support.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explored in relation to the importance of public services and measures that could be taken to improve social work practice.

본 연구에서는 혈액투석환자의 삶의 질과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에서 공적 서비스가 수행할 수 있는 보완적 역할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156명의 혈액투석환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이 자료를 기초로 혈액투석환자의 삶의 질에 사회적 지지가 미치는 영향에서 공적 서비스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혈액투석환자의 삶의 질에 사회적 지지, 결혼형태, 직업유무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고, 공적 서비스는 혈액투석환자의 삶의 질에 사회적 지지가 낮을 때 미치는 부적 영향을 완충해주는 조절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혈액투석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있어 공적 서비스 역할의 중요성과 효과적인 서비스 제공 방안을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korea.kr/policy/pressReleaseView.do?newsId=155730239
  2. 민경애, 혈액투석 환자와 복막투석 환자의 삶의 질 비교,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3. S. D. Weisbord, L. F. Fried, R. M. Arnold, M, J. Fine, D, J. Levenson, R. A. Peterson, and G. E. Switzer, "Prevalence, Severity and Importance of Physical and Emotional Symptoms in Chronic Hemodialysis Patient," J. of American Society Nephrology, Vol.16, pp.2487-2494, 2005. https://doi.org/10.1681/ASN.2005020157
  4. 김선아, 혈액투석 환자의 사회적 지지와 직업재활 욕구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5. 민현조, 혈액투석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6. G. Mingardi, L. Cornalba, E. R. Cortinovis, P. Mosconi, and G. Apolone, "Healith-related Quality of Life in Dialysis Patient. A Report From An Italian Study Using The SF-36 Health Survey," Nephrology Dialysis Transplantation, Vol.14, pp.1503-1510, 1999. https://doi.org/10.1093/ndt/14.6.1503
  7. M. Majkowicz, "Comparison of The Quality of Life in Hemodialysis and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Using the EORTC-C30 Questionaire," Int J Artif Organs, Vol.23, No.7, pp.423-428, 2000. https://doi.org/10.1177/039139880002300703
  8. 박미경, 혈액 및 복막투석환자가 지각한 가족지지,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과의 관계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9. 오숙희, 신장이식환자와 혈액투석환자의 삶의 질 비교,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0. C. M. Morsch, L. F. Goncalves, and E. Barro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Hemodialysis Pationts-Relationship With Clinical Indicators, Morbidityand Mortality," Renal Nursing, Vol.15, pp.498-504, 2005.
  11. 김옥수, 혈액투석환자가 지각하는 사회지지와 삶의 질과의 관계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12. 양혜주, 혈액투석환자의 삶의 질 모형 구축,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13. 민영순, 혈액투석 환자 가족에서 부담감, 사회적 지지 및 삶의 질 사이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4. 김지영, 박송이, 차민정,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만성신부전 환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 연구", 이화간호학회지, 제38권, pp.19-30, 2004.
  15. 류행림, 김영랑, "혈액투석 환자의 사회적 지지 와 삶의 질", 대한보건연구, 제31권, 제2호, pp.184-191, 2005.
  16. 김연진, 최희정, "혈액투석 환자가 지각하는 불확실성과 사회적 지지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재활간호학회지, 제15권, 제1호, pp.20-29, 2012. https://doi.org/10.7587/kjrehn.2012.20
  17. 김윤정, 최혜경, "가족부양이 장기요양보호노인들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제21 권, 제2호, pp.99-112, 2001.
  18.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012년 희귀․난치성 질환자 의료비지원사업 안내, 보건복지부, 2012.
  19. 윤순호, 혈액투석환자의 투석기간에 따른 사회 심리적 적응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20. 신미자, 장기 혈액투석 수혜자들의 생활경험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21. 서문자, 장미영, "혈액투석환자의 건강관련 강인성, 자기효능감과 이행과의 관계", 간호학논문집, 제11권, 제1호, pp.85-105, 1996.
  22. M. Kurella, P. L. Kimmel, B. S. Young, and G. M. Chertow, "Suicide in the United States End-Stage Renal Disease Program," J. of the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Vol.16, No.3, pp.774-781, 2005. https://doi.org/10.1681/ASN.2004070550
  23. C. K. Chen, Y. C. Tsai, H. J. Hsu, I. W. Wu, C. Y. Sun, and C. C. Chou, "Depression and Suicide Risk in Hemodialysis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Psychosomatics, Vol.51, No.6, pp.528-528, 2010. https://doi.org/10.1016/S0033-3182(10)70747-7
  24. 조계화, 성기월."혈액투석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예측변인 분석", 대한간호학회지, 제30권, 제 2호, pp.413-423, 2000.
  25. R. Sesso, J. F. Rodrigues-Neto, and M. B. Ferraz, "Impact of Socieconomic Status on The Quality of Life of ESRD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Kidney Disease, Vol.41, No.1, pp.186-195, 2003. https://doi.org/10.1053/ajkd.2003.50003
  26. 이범경, 투석환자의 희망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7. 최지선, 손주영, "장애인의 사회통합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경제활동참여, 사회적 지지, 장애정체 감, 차별경험과의 관계검증", 한국장애인복지학, 제12권, pp.35-56, 2010.
  28. 소남순, 혈액투석환자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 정도와 희망감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9. 윤숙희, 김송순, "우울, 희망과 사회적 지지가 혈액투석 환자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제24권, 제3호, pp.209-218, 2012. https://doi.org/10.7475/kjan.2012.24.3.209
  30. 임준, 희귀난치성질환자 의료비지원 및 관리사업 평가, 질병관리본부, 2013.
  31. 보건복지부, 가천의과학대학, 희귀난치성질환자 관리를 위한 종합대책 수립연구, 2011.
  32. 조성희, 실직자 가족의 해체가능성에 관한 연구: 실직 가장의 인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9.
  33.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34. 정진경, "공적사회복지서비스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관계혜택의 매개효과 중심", 사회복지정책, 제36권, 제3호, pp.495-520, 2009.

Cited by

  1. Development of Self-management Instrument for Pre-dialysis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vol.14, pp.7,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7.367
  2. Resilience as a Moderator and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ymptom Experience and Quality of Life in Hemodialysis Patients vol.31, pp.1, 2019, https://doi.org/10.7475/kjan.2019.31.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