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지방 식이로 유발된 고지혈증 동물 모델에서 구기자가미방(枸杞子加味方)의 효과 연구

Study of the Effects of Gugijagami-bang in a Hyperlipidemic Animal Model Induced with a High-Fat Diet

  • 안가영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조재준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신민구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전상윤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An, Ga-Young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Dong-Shin University) ;
  • Joe, Jae-Joon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Dong-Shin University) ;
  • Shin, Min-Koo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Dong-Shin University) ;
  • Jeon, Sang-Yun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Dong-Shin University)
  • 발행 : 2014.12.30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ugijagami-bang (GGB) in a hyperlipidemic animal model induced by a high-fat diet using diverse biological methods. Methods: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fractionated GGB extracts inhibit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nitric oxide (NO) in RAW 264.7 cells. Hyperlipidemia was induced by a high-fat diet fed for 6 weeks. Tota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HDL cholesterol, triglyceride, liver function and histologic change of liver were measured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GGB. Results: 1. DPPH scavenging bow performance was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by GGB. 2.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NO production (%) and ROS production (%)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by GGB. 3. Total-cholesterol, LDL-cholesterol, triglyceride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by GGB. 4. HDL cholesterol increased more than the control group, but not significantly. 5. In histopathologic examination, fatty liver (hepatic steatosis) was inhibited, almost no rounds of fat were observed in the liver. Conclusions: GGB would appear effective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therosclerosis, ischemic heart disease, other cardiovascular diseases caused by hyperlipidemia.

키워드

참고문헌

  1.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일반의와 의대생이 알아야할 145가지 일차진료에서 흔히 접하는 임상적 문제들. 서울: 군자출판사; 1997, p. 149-54.
  2. Nielsen S, Jensen MD. Obesity and Cardivascular disease is body structure a factor. Curr Opin Lipidol 1997;8(4):200-4. https://doi.org/10.1097/00041433-199708000-00002
  3. Lee KU, Lee HK, Koh CS, Min HK. Artificial induction of intravascular lipolysis by lipidheparin infusion leads to insulin resistance in man. Diabetologia 1988;31(5):285-90.
  4. 노영무. 대사증후군과 심혈관질환. 한국건강관리협회지 2004;2(1):71-6.
  5. 전국한의과대학심계내과학교실. 심계내과학. 서울: 군자출판사; 2006, p. 169-73.
  6. 방혜정. 고지혈증에 대한 한의학적 고찰. 동서의학 1995;20;25-36.
  7. 정수미, 김경수, 전상윤, 안정조, 홍석. 가미온담탕의 항고지혈 작용에 대한 연구. 대한한의방제학회지 2005;13(1):85-102.
  8. 황윤규, 김동희. 茵蔯胃笭湯이 高脂血 誘發 白鼠의 血液學的 變化에 미치는 影響.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05;14(2):71-85.
  9. 차관배, 안정조, 조현경, 유호룡, 김윤식, 설인찬. 降脂通脈飮이 항산화 활성과 高脂血 誘發과 白鼠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8;29(3):703-15.
  10. 유현숙, 최학주, 김선빈, 김동희. 하고초산이 고지혈 유발 SHR 백서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08;17(2):101-16.
  11. 박소애, 조현경, 유호룡, 김윤식, 설인찬, 안정조. 加味地黃湯이 高脂血症 關聯 因子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9;30(2):338-54.
  12. 함인혜, 정성웅, 이경진, 박규하, 최호영. 인진호와 한인진이 Triton WR-1339로 유도된 고지혈증 흰쥐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2005;20(1):45-52.
  13. 함인혜, 이웅철, 이병희, 최호형. 국산과 중국산지실이 Triton WR-1339 유발 고지혈증 흰쥐에 대한 효능 연구. 대한본초학회지 2007;22(3):109-16.
  14. 함인혜, 이주영, 윤예진, 양갑식, 태진, 부영민, 김호철. 국산 및 중국산 白首烏의 Triton WR-1339 유발 고지혈증 흰쥐에 대한 효능 연구. 대한본초학회지 2007;22(4):279-86.
  15. 김형철, 김형우, 조수인, 김용성, 이장식, 권정남, 김영균. 단삼이 고지혈증 흰쥐의 혈중 지질변화와 간 조직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2007;22(4):239-45.
  16. 한성희, 박성혜. 구기자 분말 첨가 식이가 1%가 고콜레스테롤 급여 휜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08;23(4):521-8.
  17. 황은영, 홍정희, 최준혁, 이은정, 이인선. 구기자 추출물의 항비만 및 혈당강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09;38(11):1528-34.
  18. 감잎, 메밀잎 및 구기자잎 추출물의 식이보충이 흰쥐의 체지방 감량과 지질대사 조절에 미치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11;40(9):1215-26.
  19. Sanders, TA Okaley, FR Miller, GJ. Mitropoulos, KA Influence of n-6 versus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diets low in saturated fatty acids on plasma lipoproteins and hemostatic factors.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1997;17(12):3449-60. https://doi.org/10.1161/01.ATV.17.12.3449
  20. 이문호. 내과학. 서울: 학림사; 1986, p. 1495-502.
  21. 김창종. 병태생리학. 서울: 계추문화사; 2010, p. 360-2, 597-9.
  22. Guerin M, Bruckert E, Dolphin PJ, Urpin G, Chapman MJ. Fenofibrate reduces plasma cholesterol ester transfer from HDL to VLDL and normalizes the atherogenic. dense LDL profile in combined hyperlipidemia. Arteriosclerb Thromb Vasc Biol 1996;16:763-72. https://doi.org/10.1161/01.ATV.16.6.763
  23. Packard CJ, Demant T, Stewart JP, Bedford D, Caslake MJ et al. Apolipoprotein Bmetabolism and the distribution of VLDL and LDL subfractions. J lipid Res 2000;41:305-18.
  24. 병리학. 대한병리학회. 서울: 고문사; 1995, p. 476-7.
  25. 박영배. 고지혈증. Medical Postgraduates 2003;31:160-5.
  26. 이귀녕, 권오헌. 임상병리파일. 서울: 의학문화사; 2003, p. 148-220.
  27. Christopher KG, Joseph IW. Atherosclerosis: The road ahead. Cell 2001;104(4):503-16. https://doi.org/10.1016/S0092-8674(01)00238-0
  28. 고지혈증 치료지침 제정위원회. 고지혈증의 진단과 치료. 서울: 신광출판사; 2000, p. 59, 221-33.
  29. 최영길. 내분비학. 서울: 의학출판사; 1995, p. 476-7.
  30. 안지현. 한눈에 알 수 있는 내과학. 서울: 이퍼블릭; 2010, p. 146-7.
  31. 정우영, 박영배. 새로운 콜레스테롤혈증 치료방침. 서울: 신광출판사; 2001, p. 31, 1093-102.
  32. 김진규. 임상지질학. 서울: 의학출판사; 1995, p. 11-48.
  33. 대한가정의학회. 가정의학 <임상편>. 서울: 계축문화사; 2002, p. 303-9.
  34. 민헌기. 임상분비학. 서울: 고려의학사; 1999, p. 489-520.
  35. 고지혈증치료지침제정위원회 編. 고지혈증과 동맥경화증. 서울: 신광출판사; 1998, p. 27-8, 61-7.
  36. 이원로 편저. 임상심장학. 서울: 고려의학사; 1998, p. 751.
  37. 안근형, 이현. 양릉천 천궁약침이 흰쥐의 고지혈증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10;27(4):137-46.
  38. 송왕기, 강재희, 이현. 양릉천 갈근 약침이 흰쥐의 고지혈증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9;26(4):79-90.
  39. 신형섭, 김규열, 김호현, 서일복. 蒲黃이 흰쥐의 식이성 고지혈증 치료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3;17(1):225-9.
  40. 전국한의과대학 공동교재편찬위원회. 본초학. 서울: 영림사; 2011, p. 165, 184, 188, 209, 218, 220, 233, 237, 414, 461, 565, 647, 657.
  41. Philip Molyneux. The use of the stable free radical diphenylpicrylhydrazyl(DPPH) for estimating antioxidant activity. Songklanakarin J Sci Technol 2004;26(2):2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