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search and the Development Case of Smart phone based Serious Gamed Application with traditional cultural materials : Focused on the game "Find the wrong picture on Sacheonwang(四天王)"

문화원형을 활용한 모바일 기능성게임 개발에 관한 연구 : 사천왕(四天王)을 틀린그림찾기를 중심으로

  • 이영숙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 Received : 2014.05.01
  • Accepted : 2014.06.04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This study produced the serious game based of Sacheonwang for the smart phone. The popularization of smart phone has expanded the contents market. However the game content made of various Korean traditional cultures is just few. According to this problem, it considered Sacheonwang (Dongbang Jigukcheonwang, Bukbang Damuncheonwang, Namban jungcheonwang, Seobang Gwangmokchoenwang) and tried to develop the serious game application of smart phone based on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It modernized the 4 types of Sacheonwang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it was created to super deformed characters. It suggested the production and development of game using Sacheonwang character and the Buddhist image. This study looked at the contents of the Buddhist and developed the Buddhist civilization and applied on the game contents to extend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interact Korean traditional culture. This study, therefore, will develop the Korean traditional characters and the game content using the research of the Buddhist cultural elements.

본 연구는 사천왕(四天王)을 대상으로 스마트폰용 기능성 게임을 제작하였다. 현재 스마트폰 대중화로 인하여 모바일콘텐츠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한국적 전통문화를 소재로 한 게임콘텐츠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속화 되어있는 한국불교문화에 등장하는 사천왕(동방 지국천왕, 북방 다문천왕, 남방 증장천왕, 서방 광목천왕)을 고찰하고 한국형 전통문화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폰용 기능성 게임콘텐츠 개발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사천왕(四天王) 캐릭터 4종을 현대화하여 재조명하고 특징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사천왕(四天王) 4종 캐릭터를 게임콘텐츠에 적합하도록 2등신 SD 캐릭터로 제작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사천왕캐릭터와 불교이미지를 활용하여 사천왕(四天王) 틀린그림찾기 모바일 기능성 게임의 기획과 개발과정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기존의 불교문화의 콘텐츠의 특성을 살펴보고, 한국전통문화의 저변확대 및 한국토착 전통문화로 소통의 역할이 가능하도록 불교문화캐릭터를 개발하여 게임콘텐츠에 적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불교문화콘텐츠를 통하여 한국 전통 캐릭터 개발 및 게임콘텐츠에 활용 가능한 대상으로 재조명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장충식, "한국의 불교미술", 도서출판 민족사, 1997.
  2. 박정용, 전통 놀이 문화에 기반한 기능성 게임 개발, 한국콘텐츠학회, 2011,6,117-124쪽 https://doi.org/10.5392/JKCA.2011.11.5.117
  3. 이영숙. 성민규, 유비쿼터스를 활용한 불교문화콘텐츠의 새로운 방향, 한국디자인포럼, vol.29, 2010. 11, 421-430쪽 참조
  4. 이영숙. 신승윤, 디지털콘텐츠 제작을 위한 전통문화원형의 캐릭터 분류,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 제27호, 2012, 153-176쪽 https://doi.org/10.7230/KOSCAS.2012.27.153
  5. 이채론. 이영숙, 한국형 전통 하이브리드 캐릭터 형상 연구 : 장승과 도깨비를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 제31호, 2013, 1-27쪽 https://doi.org/10.7230/KOSCAS.2013.31.001
  6. 이영숙. 안용준,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사천왕(四天王) 캐릭터 상품기획 및 개발, 한국디자인포럼, vol.39, 2013. 5, 45-86쪽 참조
  7. 이영숙. 신승윤, 기능성게임의 게임요소 시각화 연구, 한국디자인포럼, vol.41, 2013. 11, 45-86쪽 참조
  8. 허윤무, 불교문화콘텐츠개발과 산업화방안, 여행학연구 제26호, 2007, 100-114쪽
  9. 김성곤, 디지털 보드게임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3, 12-20쪽
  10. 정희권, 동서양 신화의 '반인반수테마' 연구, 카프카 연구 제 13집, 2005, 237-255쪽
  11. 정재서, 중국적 상상력으로 보는 일본 문화산업 속의 요괴 모티프,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문화연구소, 2004, 113-127쪽
  12. 조현미, 디지털콘텐츠 제작을 위한 전통문화원형의 캐릭터 분류 : 관음보살(觀音菩薩) 및 동자(童子)를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Vol.27,2012, 153-176쪽
  13. 홍수현. 김재호, 음양오행(陰陽五行)사상의 관상학에 기반한 애니메이션 캐릭터 얼굴 설계 시스템 연구,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제9권 제 7호, 2006. 11, 872-893쪽 참조
  14. 홍수현. 이영숙, 문화원형을 활용한 전통캐릭터 개발 : 조선통신사 캐릭터를 중심으로, 영상문화콘텐츠논문지, 제6집, 2013.12, 137-155쪽 참조
  15. 박선미, 전래동화를 기반으로 한 교육용 보드게임 개발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6. 정희권, 보드게임 게임 개발과정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7. 오승택, 보드게임 개발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뉴미디어정보통신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8. 문화재청, 사천왕, http://www.cha.go.kr/, 204.01.10.
  19. Kocca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 http://www.culturecontent.com/, 2014.01.10.
  20. Kocca기능성게임포털, 기능성게임, http://www.seriousgame.kocca.kr/, 2014.01.10.
  21. <거상> (1995).

Cited by

  1. Study on Contemporary Applications of Cultural Archetypes : focused on visualization of 'The Golden Pig' in Geuknakjeon of Bulguksa Temple vol.19, pp.2, 2016, https://doi.org/10.9717/kmms.2016.19.2.4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