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are fo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y: focusing on care Sufficiency and Service Use

장애인의 돌봄충족과 돌봄서비스 이용실태 및 결정변인

  • 이효성 (한국장애인 고용공단) ;
  • 고그린 (가천대학교 문화유산역사연구소)
  • Received : 2014.07.01
  • Accepted : 2014.08.11
  • Published : 2014.08.28

Abstract

Recognizing the lack of empirical study that evaluates the influence of social care services on care sufficiency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y, we have focused our study on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hat is the level of care sufficiency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y?, What is the profile of care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y from both formal and informal providers?, What are the service use conditions and determinants of social care service use?. This study analyzed data of 1204 individuals with disability who needed daily assistance from 5th wave of Korea Welfare Panel Study. Results showed that 50% of the respondents experienced care deficit. 77% of the respondents received no care from informal care providers and 90% from formal care providers. Despite social care services brought by the expansion of socialization of care, the average number of social service use on care was less than 1, which suggests that socialization of care did not significantly contribute to care sufficiency. In addition, for people who are 64 or younger, social care services was substituted by care from informal care providers and for those who are 65 or older, social care services supplemented care from informal care providers.

본 연구는 돌봄위기에 대한 사회적 대응으로 돌봄의 사회화가 확대되었으나 공적 영역에서 제공되는 사회적 돌봄 서비스가 장애인의 돌봄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지 고찰한 바 없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첫째, 돌봄의 사회화에 따라 장애인의 돌봄이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는가? 둘째, 장애인 돌봄에서 비공식 및 공식적 지지의 실태는 어떠한가? 셋째,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및 사회적 돌봄 서비스의 이용실태와 사회적 돌봄 서비스 이용은 무엇에 의해 영향을 받는가?의 연구문제를 살펴보았다. 한국복지패널 5차년 자료의 장애인부가조사 원자료를 이용해 18세 이상 장애인 중 일상생활수행에 타인의 도움이 필요한 1204명의 자료를 분석했다. 연구결과, 50%의 장애인은 돌봄부족을 경험했으며, 장애인의 77%는 비공식적 체계로부터, 90%는 공식적 체계로부터 어떤 돌봄지원도 제공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 장애인의 돌봄충족 수준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돌봄의 사회화로 돌봄 관련 사회서비스는 확대되었으나, 이용 수는 평균 1개 미만으로 매우 낮았다. 돌봄 관련 사회서비스 이용의 결정변인을 분석한 결과, 성인 장애인에게 사회적 돌봄 서비스는 비공식 체계에 의한 돌봄의 대체재로 기능하는 반면 노인 장애인에게 사회적 돌봄 서비스는 비공식 체계로부터의 돌봄을 보충하는 보완재적 성격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희, "장애인의 생활실태와 시사점", 보건복지 이슈와 포커스, 제166호, pp.10-17, 2012.
  2. 오세근, "요양보호사 수발노동의 실태와 노동 조건 개선을 위한 정책 과제에 관한 연구: 괜찮은 일자리 여부 판별을 중심으로", 사회연구, 제20권, 제2호, pp.101-136, 2010.
  3. 장혜경, 김영란, 조현각, 김고은, 박경희, 공식영역의 돌봄 노동 실태조사, 한국여성개발원 연구보고서, 2007.
  4. 보건복지부, 2014년 장애인 활동 지원 사업 안내, 보건복지부, p.53, 2014.
  5. 방준식, "돌봄사업과 돌봄노동에 관한 법적 과제: 노인요양서비스를 중심으로", 법학논총, 제29권, 제2호, 2012.
  6. 이동욱, "한국의 장애인 돌봄제도와 모성담론에 관한 연구", 미디어, 젠더&문화, 제14권, pp.111-139, 2010.
  7. 김나영, 이승희, "장애아동의 연령에 따른 부모의 스트레스와 우울, 가족결합력", 발달장애학회지, 제5권, 제2호, pp.31-42, 2001.
  8. 김정아, 장애아동의 발달연령에 따른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9. 김희수, 장애아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와 대처자원 과의 관계: 부모통제소와 사회적 지원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10. 이삼연, "장애아모의 스트레스 대처 전략과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38권, pp.180-205, 1999.
  11. 조인수, 김규환, "정신지체아 부모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식", 발달장애학회지, 제4권, pp.73-87, 2000.
  12. 김고은, "성인 지적장애인을 돌보는 노년기 어머니의 우울: 가족관계 만족의 중대효과",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38권, pp.239-259, 2011.
  13. 김연수, 정신장애인 보호제공 가족원의 돌봄경험 평가와 심리적 안녕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14. 이애란, "장애아동 어머니의 돌봄 행위 구조 모형", 대한간호학회지, 제39권, 제5호, 2009.
  15. 성준모, "정신장애를 가진 어머니의 심리증상과 자녀의 탄력성과의 관계에서 모자관계의 매개효과", 한국사회복지학, 제61권, 제1호, pp.219-238, 2009.
  16. 윤명숙, 박은아, 최수연, "정신장애인 가족의 돌봄 경험과 삶의 질: 차별경험의 조절효과", 한국장애인복지학, 제21권, pp.91-112, 2013.
  17. 이혜경, "여성정신장애인의 모성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정신보건과 사호사업, 제30권, pp.162-198, 2008.
  18. 김예랑, "자녀양육역할의 6개 영역과 관련하여 정신장애인 자녀를 돌보는 아버지의 돌봄경험에 대한 연구: 미국 사례를 중심으로", 재활복지, 제16권, 제2호,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