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omparision of the Quantity of Phoria as Way to Separation of Binocular Fusion

양안융합의 분리 시간에 따른 사위량 비교에 관한 연구

  • Kang, Seok Hyon (Graduate School of NID Fusion 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 Hong, Hyungki (Dept. of Optome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강석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NID융합기술대학원) ;
  • 홍형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Received : 2014.07.28
  • Accepted : 2014.09.18
  • Published : 2014.09.30

Abstract

Purpose: This is a comparative experimental study on the amount of phoria by the removal time of binocular fusion. In this study, three tests were used for phoria test like Howell test, Thorington test and developed 3D polarizing test. Methods: In this study, it was considered the removal time of binocular fusion for measuring phoria. The three methods were used for measuring quantity of phoria: Howell test, Thorington test and developed 3D Polarizing test. The measurements progressed quickly to avoid eye-strain. So we designed the test charts for marking 3D display modules and the apparatus inserted lenses, like Maddox lens and prism, which are compatible with three phoria tests. The phoria at the moment separation was measured when the binocular fusion was broken through the apparatus and the that at the stable separation was measured when activity of the separated two images like indicated box and figure on horizontal axis stopped.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quantity of phoria at moment separation and that at stable separation. Amount of phoria at moment separation was relatively larger than amount of that at stable separation. In result in exophoria, the quantity of phoria at moment separation was higher than that at stable separation, and in phoria measured by developed 3D polarizing test, it shows the similar results at two condition. Conclusions: For exophoria, the amount of phoria at moment separation of binocular fusion was relatively larger than that at stable separation. The amount of difference between phoria values at moment separation and that at stable separation was alike among three phoria tests. Usually in working,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moment separation and stable separation. But there were definitely the difference between two ways to separate binocular fusion. Therefore, it is need for writing on prescription test name for measuring phoria and condition of separation of binocular fusion.

목적: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사위검사법인 하웰검사와 토링톤검사 및 개발된 사위검사법인 3차원편광검사를 사용하여 양안의 융합제거 시간에 따른 사위량을 측정하고 이를 비교해 보았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융합을 제거하는 시간을 고려하여 여러 사위검사법으로 사위량을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사위 측정에는 하웰검사, 토링톤검사, 3차원편광검사 등 세 가지 사위검사법을 사용하였다. 실험대상자가 실험 중에 사위성 눈피로가 유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검사의 신속함을 고려하였다. 신속한 검사를 위해 세 가지 사위검사법에 호환 가능한 검사시표와 검사렌즈를 장착한 시야제한 장치를 제작하고 검사순서를 고안하였다. 순간 분리 사위량은 개발된 시야제한 장치(apparatus)를 통해 양안의 융합 분리 순간(moment separation)에 측정하고, 안정된 분리 사위량은 양안의 융합 분리 순간 후 각각의 지시상자의 움직임이 수평의 숫자배열 위에서 안정된 정지 상태를 보이는 순간(stable separation)에 측정하였다. 결과: 양안의 융합 분리 순간에 측정한 사위량(이하 "분리 순간 사위량")과 양안의 융합 분리 후 안정된 안구 정렬상태에서 측정한 사위량(이하 "분리 안정 사위량")의 비교 분석에서는 외사위(exophoria)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외사위일 때 분리 순간 사위량이 분리 안정 사위량보다 상대적으로 컸다. 세 가지 사위 검사법의 비교 분석에서는 개발된 3차원편광검사로 측정했을 때 두 가지 분리 검사 간 차이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양안의 융합 분리 순간에 측정한 사위량과 양안의 융합 분리 후 안정된 안구 정렬 상태에서 측정한 사위량의 비교 분석에서는 외사위에서 양안의 융합 분리 순간에 측정한 사위량이 양안의 융합 분리 후 안정된 사위량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측정되었다. 세 가지 사위 검사법의 비교 분석에서 두 가지 분리 방식의 검사 간 차이량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위 검사할 때, 순간 분리 사위량과 안정된 분리 사위량을 구분없이 혼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두 가지 분리 검사로 측정한 사위량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으므로 처방전에 어떤 조건으로 사위량을 측정했는지에 대해 명확히 기입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Kim JW, Mun KA, Ahn CD, Huh NH, Choi JS. Three dimensional technology, 1st Ed. Seoul: The Electronic Times. 2011;48-49.
  2. Steinman S, Steinman BA, Garzia RP. Foundation of binocular vision : A clinical perspective, 1st Ed. USA: McGraw- Hill. 2000;87-89.
  3. Mitchell S, Bruce W. Clinical management of binocular vision. 2nd Ed. Seoul: DAIHACK Publishing company. 2010;148-151.
  4. Benjamin WJ. Borish's clinical refraction, second edition, 2nd Ed. Philadelphia: Butterworth Heinemann Elsevier. 2006;963-967.
  5. Mitchell S, Bruce W. Clinical management of binocular vision. 2nd Ed. Seoul: Daihack Publishing Company. 2010;293-434.
  6. Doo HY, Sim SH, Choi SM, Jang JU, Jeong JH. A study on long distance heterophoria of college student by the difference of testing method. Korean J Vis Scl. 2011; 13(1):44-48.
  7. Oh HJ, Doo HY, Oh SJ. A study on the measurement and tendency of heterophoria using Von Graefe test and Maddox rod tes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2;10(11): 485-491.
  8. Kang SH, Hong HK. A Comparative study on quantity of phoria between new phoria measurement with 3D display and exisiting method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3;18(3):313-320. https://doi.org/10.14479/jkoos.2013.18.3.313
  9. Carson NB. Kurtz D. Clinical procedures for ocular examination, 3rd Ed. Seoul: Daihak Publishing company. 2008;263-266.
  10. Yoon DH, Lee SW, Choi E. Opthalmology, 7th Ed. Seoul: Ilchokak. 2007;247.

Cited by

  1. Comparing Performances of CNN, BP, and SVM Algorithms for Differentiating Sweet Pepper Parts for Harvest Automation vol.11, pp.20, 2014, https://doi.org/10.3390/app112095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