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a supporting model for the domestic online game industry to go abroad

국내 온라인 게임 기업의 해외진출지원 모델의 효율성 연구

  • 주기환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디지털콘텐츠사업단) ;
  • 문남미 (호서대학교 컴퓨터정보공학부)
  • Received : 2014.06.02
  • Accepted : 2014.09.11
  • Published : 2014.09.30

Abstract

This paper reports the political supporting platform, and the outcome evaluation model, which was developed for the Korean on-line game companies that have started to go abroad to publish their games. When they begin to sell their games, they have many difficulties in promoting in other countries including the USA & EU. They try to find solutions to solve these problems, but on-line games still do not have a successful business model because of their unique attributes and environmental features, even though they spent a lot of money and time to enter the international on line game market. Thus far, the local on-line game supporting policy has tried to improve the world competitiveness of local companies by doing diverse activities, such as Global Service Platform(GSP) service, international game competition, and globalization, marketing. On the other hand, there has been only a small number of fruitful results except for GSP. Therefore, in this paper, the result of GSP was verified using the Global on-line game Supporting Chain Model(GoGSCM), which is the new political supporting and evaluation model through survey targeting GSP participations. As a result, GSP was evaluated based on the compatibility, efficiency, effectiveness, and continuity.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게임의 구조 분석을 통하여 한국의 온라인 게임 기업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는 과정에 필요한 효율성 높은 정책적 지원 플랫폼 및 성과 평가 모델을 발굴한다. 온라인 게임 기업의 해외 지원을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정부의 정책 및 게임 회사의 노력이 시도되었으나 온라인 게임이라는 콘텐츠만이 갖는 고유한 특성과 환경으로 인해 온라인 게임의 글로벌 지원에 특화된 성공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갖지 못하고 있었다. 그동안 국내 온라인 게임 지원 정책은 글로벌 서비스 플랫폼(Global Service Platfotm: GSP) 지원 사업과 국제게임대회, 현지화, 홍보 등 다양한 사업을 중심으로 국산 온라인 게임업체를 지원하고 국내 온라인 게임에 대한 해외 경쟁력을 높이려고 해왔다. 하지만 그 투자와 노력에 비해 GSP 등 일부 사업을 제외하고는 좋은 결실을 맺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4년 이후 10년간 추진 중인, 온라인게임 육성의 유일한 성공 정책이라 할 수 있는 GSP 사업 모델에 대한 다각적 접근 방법과 참여 업계의 설문 분석을 통해 정책 수행 결과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GSP의 성과 평가를 위해 새로운 정책 지원 및 평가 모델인 글로벌 온라인 게임 지원 모델(Global online game Supporting Chain Model: GoGSCM)을 제시하였으며, 적합성, 효율성, 효과성, 지속성의 4가지 측면에서 GSP 모델을 평가, 검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2013 Korea Game WhiteBook Esssenc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Kocca, P21, 2013
  2. Business GSP, KIPA, KOCCA
  3. On line game for Japan Market, Choi Jin Ah, Hong Jin Hwan, Korea International Management Institute, Fall conference, 2006
  4.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Vol 13. No.4 , 2006
  5. Kim Kyung su et, al, GSP New Suppy Model for Medium side Industry for Globalization, korea Institute of Management Information, Fall Conference, 2006
  6. Ju Hee yup, Choi Young Suk, Kwon Hyuk In,, Successive Digital Contents Model and Evauation Model, Korea Institute on Management Science, Fall Conference,2006, pp335∼342, 2004
  7. Media is contents, Dr shim, Kim Young Sa 2002
  8. Internet Contents Business Model Excavation Kipa, 2001
  9. http://wwww.cbgstat.com/v2/method_multiple_regression_analysis/multiple_regression_analysis.php
  10.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umycom&logNo=140007183111
  11. http://ko.wikipedia.org/wiki/Analysis of variance (Analysis of variancedefinitio)
  12. http://databaser.net/moniwiki/wiki.php/discreminationanalysis(Data of discremination analysis)
  13. http://freesearch.pe.kr/archives/25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