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xploratory Study on Adoption of Public Institution's Mobile Service: Focusing on In-Depth Interviews with Users and Experts

공공기관 모바일 서비스 수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사용자 및 전문가 대상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 고준 (전남대학교 경영학부) ;
  • 손주희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호남권지역본부) ;
  • 양성병 (아주대학교 e-비즈니스학과)
  • Received : 2014.07.14
  • Accepted : 2014.08.29
  • Published : 2014.10.28

Abstract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have been releasing a number of mobile applications in order to provide diverse public services in the mobile environment. However, due to their one-sided and fragmented service with the lack of adequate care for users, the utilization rate is extremely poor. Therefore, this study, based on a relevant literature review, identified and derived the five key factors (usefulness, convenience, interactivity, information credibility, and social pressure) for users' mobile service adoption. Then,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users and five experts regarding the 'business support app' of one public agency (H institution) that specializes in SMEs, we found that all of these factors are important for users' mobile service adoption. Users' satisfaction could be significantly improved through real-time response to their needs. In addition, providing them with useful and tailored information can lead to mutual trust between public institutions and users. Consequently, as these user-oriented services can increase users' loyalty and boost the utilization rate of the public apps, public institutions should always put persistent efforts to cope with users' demands.

정부 및 공공기관에서는 공공서비스를 모바일 환경에서 제공하기 위해 여러 가지 애플리케이션을 출시하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를 최우선으로 배려하지 않은 일방적이고 단편적인 서비스로 인해 그 이용률은 극히 저조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공공기관 모바일 서비스 수용의 핵심요인 다섯 가지(유용성, 편리성, 상호작용성, 정보의 신뢰성, 사회적 압력)를 도출하였다. 중소기업 지원을 전문으로 하는 공공기관(H 기관)의 '기업지원 앱'서비스 사용자 및 전문가 각 5인에 대한 심층인터뷰 결과, 다섯 가지 핵심요인 모두가 중소기업의 공공기관 모바일 서비스 수용에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사용자의 요구에 실시간으로 반응하고 제안된 의견을 신속히 반영함에 따라 모바일 서비스 사용자의 만족도는 크게 향상될 것이다. 또한 다양한 고급 정보를 맞춤형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와 공공기관 간 신뢰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사용자 가치 중심의 모바일 서비스 구현이 사용자의 서비스 수용과 사용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이 되므로, 공공기관은 모바일 앱 개발 및 운영에 있어 사용자 요구 응대에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상희, 이동만, "금융기관의 CRM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모바일 기술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8권, 제4호, pp.67-90, 2008.
  2. 진동욱,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 수용의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광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3. Durlacher Research Ltd., Mobile Commerce Report, available at www.durlacher.com, 1999.
  4. 한국정보화진흥원, 스마트폰의 정부 서비스 도입 및 확산방안, IT정책연구시리즈, 제1-2호, 2010.
  5. F. D. Davis, "Perceived Usefulness, Easy of Use, and the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logy," MIS Quarterly, Vol.13, No.3, pp.318-339, 1989.
  6. W. H. DeLone and E. R. McLean, "Information Systems Success: The Quest for the Denpendent Variable,"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3, No.1, pp.60-95, 1992. https://doi.org/10.1287/isre.3.1.60
  7. W. H. DeLone and E. R. McLean, "The DeLone and McLean Model of Information Systems Success: A Ten-Year Update,"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Vol.19, No.4, pp.9-30, 2003. https://doi.org/10.1080/07421222.2003.11045748
  8. 고효점,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 수용에 대한 실증적 연구: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9. 정수연, 박철, "서비스 유형의 조절효과를 고려한 모바일 서비스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모바일 게임과 모바일 금융 서비스를 중심으로",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9권, 제1호, pp.23-44, 2007.
  10. K. Mathieson, "Predicting User Intentions: Compar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with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2, No.3, pp.173-191, 1991. https://doi.org/10.1287/isre.2.3.173
  11. B. Szajna, "Software Evaluation and Choice: Predictive Validat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Instrument," MIS Quarterly, Vol.18, No.3, pp.4-13, 1996.
  12. M. Parthasarathy and A. Bhattacherjee, "Understanding Post-adoption Behavior in the Context of Online Services,"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9, No.4, pp.362-379, 1998. https://doi.org/10.1287/isre.9.4.362
  13. 최영, 김병철, "인터넷 신문의 상호작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44권, 제4호, pp.172-200, 2000.
  14. S. Rafaeli and F. Sudweeks, "Networked Interactivity," Journal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Vol.2, No.4, 1997.
  15. 김현경, 박소연, 이문규, 이동진, "서비스 신뢰와 충성도의 결정요인 및 발달과정에 대한 정성적 분석", 마케팅연구, 제19권, 제4호, pp.1-33, 2004.
  16. 박철, 온라인 소비자의 인터넷 쇼핑몰 신뢰요인 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p.317-380, 2002.
  17. L. C. Huff, Toward on Integrated Model of Consumer Trust Formation,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2000.
  18. C. Moorman, G. Zaltman, and R. Deshpande, "Relationship between Providers and Users of Market Research: The Dynamics of Trust within and between Organiza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29, No.3, pp.314-328, 1992. https://doi.org/10.2307/3172742
  19. 이국용, 형성우, 이상만,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 이용에 관한 실증적 연구: 태도, 신뢰, 유용성의 매개적 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제18권, 제3호, pp.997-1024, 2005.
  20. R. E. Rice, A. E. Grand, J. Schmitz, and J. Torobin, "Individual and Network Influences on the Adoption and Perceived Outcomes of Electronic Messaging," Social Networks, Vol.12, No.1, pp.27-55, 1990. https://doi.org/10.1016/0378-8733(90)90021-Z
  21. V. Venkatech, "Computers and Other Interactive Technologies for The Home,"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39, No.12, pp.47-54, 2001.
  22. 김호영, 김진우, "모바일 인터넷의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 경영정보학연구, 제12권, 제3호, pp.89-112, 2002.
  23. 김인재, 이정우, "무선 인터넷 서비스 수용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3권, 제1호, pp.88-101, 2001.
  24. 이문행, "IPTV 가입자의 VOD 서비스 이용태도: 20, 30대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호, pp.181-191,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1.181
  25. 이정기, "한국형 유료 온라인 뉴스 콘텐츠 (뉴스 제공자의 내용제공 서비스) 모형에 관한 탐색적 연구: 뉴스 콘텐츠 전문가들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7권, 제2호, pp.207-235, 2013.
  26. 주정민, 배윤정, "리얼리티 쇼 프로그램의 재미에 관한 연구: '슈퍼스타 K'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호, pp.97-108, 2014.
  27. 차영란, "6.2 지방선거를 통해 본 유권자들의 정보채널 이용 행태: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호, pp.145-156,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