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해양리터러시 개념에 기반한 해양교육 모델코스 개발에 관한 연구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Ocean Education Model Course using Ocean Literacy -Focus on Busan Metropolitan City-

  • 정우리 (한국해양대학교 해사산업연구소) ;
  • 문성배 (한국해양대학교 항해학부)
  • Jeong, Woo-Lee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Industry, Korea Maritime University) ;
  • Moon, Serng-Bae (Navigation System Engineering, Korea Maritime University)
  • 투고 : 2014.06.20
  • 심사 : 2014.09.16
  • 발행 : 2014.10.31

초록

해양리터러시는 우리에게 바다가 미치는 영향 그리고 우리의 삶이 바다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해양리터러시 개념에 기반한 부산지역 23개 기관에서 시행하고 있는 해양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7개의 해양교육 모델코스를 개발하였다. 7개의 해양교육 모델코스는 실내이론, 실내체험, 현장탐방, 현장체험 등 4가지 형태의 교육방법이 다양하게 조합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해양교육을 학생과 일반인들이 쉽게 구분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76cm*56cm 크기의 해양교육 안내지도를 제작하였다. 이는 부산지역의 지리적 여건과 관광지가 결합된 형식이며, 교육기관, 교육내용, 교육시간 등 상세한 내용이 포합되어 있어서 수요에 따라 계절적 변화요인 또는 기호에 맞게 피교육생들이 탄력적으로 운영이 가능하다. 해양교육 모델코스를 이용한 해양교육 안내지도의 제작은 해양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초석이 될 것이며, 해양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인 해양의식 함양과 바다와의 친숙화를 통한 해양전문인력 육성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해양교육용 교재 및 부교재의 개발, 교육보조재를 활용한 실내교육의 단점보완, 동영상 콘텐츠 개발을 통한 사이버 해양교육 개발 등을 통한 후속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Ocean Literacy is an understanding of the ocean's influence on you and your influence on the ocean. This research developed the 7 ocean education model courses using ocean literacy based on the analysis of ocean education programs which executed 23 agencies in Busan. These model courses are combined in the type of indoor theory, indoor experience, field study and field experience. Also, this makes the guide map for ocean education in a 76cm*56cm size to distinguish and choose the course easily. This map is the format combined in geological location and tourist attraction spots in Busan, includes education centers, contents, lead time and so on, and it is possible for educatees to handle their preference and seasonality elastically. This map including ocean education model course is a milestone to activate ocean education, and is helpful to reach the goal of ocean education and to lead ocean professionals. In addition, this research presents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training aids to complement the weakness of indoor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cyber education through making video contents as the activation measures of ocean educ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Choi, D. S. & Huh, Y. S.(2006), A Research on the Direction of Developing Coastal Areas Around Busan North Port and South Port, Busan Development Institute, p. 57.
  2. Francesca C. et al.(2005), Science Content and Standards for Ocean Literacy: A Report on Ocean Literacy, p. 5.
  3. Jeong, W. L. & Moon, S. B.(201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odule for the Ocean Education-Focus on Busan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Vol. 37, No. 1, pp. 23-28. https://doi.org/10.5394/KINPR.2013.37.1.23
  4. Oceanliteracy(2014), Ocean Literacy Framework, http://www.oceanliteracy.net
  5. Park, K. A. et al.(2013), Application of Oceanic Camp Program for the Enhancement of Inquisitiveness and Affection to Ocean: from 2004 to 2012,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 18, No. 3, pp. 142-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