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방송 플랫폼별 콘텐츠 유통 성과

Performance of Broadcasting Contents by Platforms

  • 김숙 (한국콘텐츠진흥원) ;
  • 송진 (한국콘텐츠진흥원)
  • 투고 : 2015.07.02
  • 심사 : 2015.08.19
  • 발행 : 2015.12.28

초록

본 연구는 멀티 플랫폼 시대 방송 콘텐츠 유통 특성에 대한 함의를 얻고자, 실시간 방송, VOD, SNS 등 각 플랫폼에서 경쟁력 있는 방송 콘텐츠가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지 그리고 이들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첫째, 실시간 방송에서는 지상파 방송의 드라마 프로그램이 현저히 높은 성과를 보이고 있는 반면, 유료방송이 제공하는 VOD 서비스에서는 예능 프로그램이 높은 성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시간 방송 시청률이 상대적으로 낮았던 드라마나 예능 프로그램이라 할지라도, 상대적으로 젊은 시청층에 소구하는 경우 VOD 성과가 높게 나타날 개연성이 높았다. 교양 프로그램은 실시간 시청률과 VOD 성과가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셋째, 실시간 방송에서의 성과와 후속 플랫폼인 VOD 성과 간에 분명한 상관관계가 드러나지 않았으나, VOD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소셜 미디어에서의 버즈량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멀티 플랫폼 시대의 방송 콘텐츠 유통은 프로그램별 주요 시청자 층에 대한 세분화와 분석, 그에 기반한 플랫폼 전략이 함께 병행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ttributes of the popular programs by various broadcasting related platforms(on-air, VOD, SN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utcomes of these platforms in order to get the implications of broadcasting contents distribution strategy in multi-platform era. First, the study found that drama programs of territorial broadcasting showed the most high performance in on-air platform while comedy entertainment programs got the outstanding achievement in VOD platform. Second, although it had the low ratings in on-air platform, the program could be highly probable to get a great deal of VOD hits if it had attracted the younger audience. Knowledge programs showed the similar outcome between on-air and VOD platforms. Third, the study found that the factor which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VOD performance was the amount of buzz in S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roadcasting content distribution strategy in multi-platform era needs the understanding of the segmented target audiences of content and the analysis of trait of each platform.

키워드

참고문헌

  1. 최세경, "N스크린 시대의 TV 비즈니스의 전망과 대응전략: 콘텐츠 유통과 소비 패러다임의 변화를 중심으로," 방송문화연구, 제22권, 제2호, pp.7-36, 2010.
  2. E. Schultz, M. Block, and K. Raman, "Media synergy comes of age, Part I," Direct, Data and Digital Marketing Practice, Vol.11, No.1, pp.3-19, 2009. https://doi.org/10.1057/dddmp.2009.13
  3. 김예란, "디지털 아비투스 : 플랫폼을 넘나드는 콘텐츠 소비문화," 방송문화연구, 제17권, 제2호, pp.67-109, 2005.
  4. 강남준, 김은미, "다중 미디어 이용의 측정과 개념화 : 오디언스를 향한 새로운 시선," 언론정보연구, 제47권, 제2호, pp.5-39, 2010.
  5. 황준호, 박민성, 방송통신 융합시대 지상파방송의 역할정립에 관한 이론연구 - 지상파방송 콘텐츠의 권리와 의무를 중심으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9.
  6. 전범수, "오락 프로그램 유형과 VOD 시청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15권, 제1호, pp.301-324, 2015.
  7. 최성진, 이광직, 디지털다매체 시대에 방송콘텐츠의 제작 및 유통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2007.
  8. 김미경, 안재현, 박창희, " 인터넷 VOD 드라마 시청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3권, 제1호, pp.348-367, 2009.
  9. 권호영, 김영수, "온라인TV의 경쟁 구도와 정책 방향," KBI 이슈 리포트, 2009.
  10. 이상우, 김창완, "IPTV-VOD 서비스 선택의 결정요인 분석," 한국언론정보학보, 제46호, pp.9-36, 2009.
  11. 김숙, "지상파 예능 프로그램의 VOD 창구 성과와 검색지수에 관한 연구,"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16권, 제1호, pp.82-114, 2015.
  12. 김윤화, "지상파TV 방송프로그램 시청행태 분석: 실시간 시청과 VOD 시청행태 비교," KISDI 연구보고서, 2013.
  13. Nielsen, Nielsen-Korean Click 3-Screen Behavioral DATA, 2014(8)
  14. 최윤정, "TV시청과 온라인 대화의 결합," 한국방송학보, 제28권, 제4호, pp.315-355, 2014.
  15. 배진아, 최소망, "TV시청과 SNS상호작용,"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통권 제30권, 제1호, pp.47-90, 2013.
  16. 윤해진, 박병호, "소셜TV: 트윗게시자의 유명도와 트윗 반복유형이 프로그램 시청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57권, 제1호, pp.364-391, 2013.
  17. 조수선 외, 뉴미디어 뉴커뮤니케이션, 이화출판, 2014.
  18. 송진, 이영주, 황성연, 방송영상클립형 서비스 전략, 한국콘텐츠진흥원, 2015.
  19. P. M. Napoli, Audience Evolution: New Technologies and the transformation of media audiences,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0.
  20. 최세경, 박상호, "멀티플랫폼 콘텐츠 포맷의 개발과 텔레비전 적용 : 상호작용성의 구현과 재목적화,"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11권, 제1호, pp.5-46, 2010.
  21. 최세경, "지상파방송의 콘텐츠 사업다각화와 재원확보 전략," 한국언론학회 봄철정기학술대회발표문, 2009.
  22. B. M. Owen and S. S. Wildman, Video Economics, Cambri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92.
  23. 김동규, "한국 TV방송 프로그램의 유통메커니즘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16권, 제4호, pp.40-73, 2002.
  24. 박소라, "지상파 방송 프로그램 유통 전략의 특성에 관한 연구: 매체 다변화와 시간차 배급의 전략적 선택,"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8권, 제2호, pp.6-35, 2007.
  25. 이문행, 이현숙, "국내 지상파 드라마의 창구 다각화에 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19권, 제2호, pp.501-538, 2006.
  26. 이상옥, "지상파방송사의 콘텐츠 유통 전략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매체별 순차적 판매 방식을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7권, 제1호, pp.75-98, 2006.
  27. 김숙, 비선형 매체 등장에 따른 드라마의 창구화 통합 모형 : 수요와 공급이 창구화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2.
  28. 최광철, 콘텐츠 이용행태의 변화: On Demand 자료 중심으로, KT미디어허브 발표 자료,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