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utational Thinking 개념 평가를 위한 스크래치 코드 분석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Scratch Code Analysis System for Assessment about Concepts of Computational Thinking

  • 투고 : 2015.08.27
  • 심사 : 2015.10.26
  • 발행 : 2015.11.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Computational Thinking(CT) 교육에서의 학습자의 CT개념 평가를 지원하기 위한 스크래치 코드 분석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최근 초중등교육에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는 교육용프로그래밍 언어인 스크래치는 이벤트 기반언어로 전체적인 프로젝트의 구조를 파악하기가 어렵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이 자신이 만든 프로젝트를 디버깅 할 때나 교사가 학습자의 코드를 보고 평가 및 피드백을 할 때, 활용할 수 있는 코드 분석 시스템을 개발하고 실제 사용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스크래치 코드 분석 시스템은 SW 교육에서 디버깅과정을 촉진하거나 평가의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scratch code analysis system about scratch project for assessment in computational thinking(CT) education. Recently, scratch which is event-based language is used actively in K-12 SW education but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scratch project. Therefore,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system that students can use it to debug their scratch project and teachers can give feedback to students or evaluate students' projects through this system, and verified its usability. We are able to use this system to facilitate students' debugging process and to evaluate students' project in K-12 SW educ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Nacce & CAS (2014). Computing in the national curriculum: a guide for secondary teachers. 2015. 7. 14일 검색 http://www.computingatschool.org.uk/data/uploads/cas_secondary.pdf
  2. Tucker, A. et al. (2006). A Model Curriculum for K-12 Computer Science: New York, CSTA.
  3. 김경훈 외 (2015). 정보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15-17
  4. 김영애 외 (2015). 소프트웨어 교육 운영 지침 개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 CR 2015-3
  5. 김수환, 채정병 (2014).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의 동향 분석 및 교수-학습 사례. 한국 교육학술정보원. 연구자료 RM 2014-12
  6. 김수환, 이원규, 김현철 (2009). 개정된 정보 교육과정에서 교육용프로그래밍언어의 교육적 적용방안.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2(2), 23-31.
  7. Sylvia Libow Martinez & Gary Stager. (2013) Invent to learn : making, tinkering, and engineering in the classroom. Torrance, Calif. : Constructing Modern Knowledge Press
  8. 장혜선, 최숙경, 전수진, 염용철, 이원규 (2007). 에러 피드백 기반의 초보자를 위한 프로그래밍 학습 지원 시스템.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0(6). 1-10.
  9. Brennan, K., & Resnick, M. (2012). New frameworks for studying and assessing the development of computational thinking. Paper presented at annual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meeting, Vancouver, BC, Canada.
  10. 최정원, 이영준 (2014).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학습자의 어려움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7(5), 89-98.
  11. 스크래치 위키 2015. 8. 24일 검색 http://wiki.scratch.mit.edu/wiki/Scratch_Wiki_Home
  12. Kirkov, R., & Agre, G. (2010). Source Code Analysis -An Overview. BULGARIAN ACADEMY OF SCIENCES CYBERNETICS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10(2), 60-77.
  13. Scrape. 2015. 8. 14일 검색 http://happyanalyzing.com/downloads/scrapeLocal
  14. Drscratch. 2015. 8. 14일 검색 http://drscratch.programamos.es/
  15. Martin, T., & Fields, D. (2014). Macro data for micro learning: Developing FUN! for Automated Assessment of Computational Thinking in Scratch. Poster presented at the 2014 Cyberlearning Summit, Madison, WI.
  16. Nielsen J. "Ten Usability Heuristics" USEIT.com, 1994. http://www.useit.com/papers/heuristic/heuristic_evaluation.html
  17. Nielsen J. (1994). "how to conduct a Heuristic Evaluation" USEIT.com, http://www.useit.com/papers/heuristic/heuristic_list.html
  18. Pane, J. F. & Myers, B. A. (1996). Usability Issue in the Design of Novice Programming Systems. Technical Report, Carnegie Mellon University.
  19. 스크래치 블록 종류 2015. 8. 25일 검색 http://wiki.scratch.mit.edu/wiki/Blocks#Block_Shapes
  20. 장진철, 이슬기, 정석환, 정치훈, 윤완철 (2014). WeStudy : 집단지성 기반 학습자료 북마킹 서비스 구현 및 사용성 평가. 한국지 능정보시스템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57-263.
  21. 서영석 (2007). 웹기반 학습 사이트 사용성 평가 도구 개발.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22. 김수환 (2015). Computational Thinking 역량에 대한 학습자 평가를 위한 스크래치 코드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8(6). 25-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