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After-Reading Activity by Types of Multiple Intelligences

다중지능 유형별 독후활동 연구

  • 임성관 (휴독서치료연구소,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 Received : 2015.11.16
  • Accepted : 2015.12.03
  • Published : 2015.12.30

Abstract

This study tries to discuss the problems of reading education based on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and after reading activity. For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Dr. Howard Gardner asserted eight types of multiple intelligences under the presupposition the anyone had infinite ability. He analyzed and applied reading education by types of multiple intelligences and proposed a new program for the reading education aiming to evenly promote children's various intelligences and heighten their creativities. The purpose of the new program is to have children throw away the idea that they should perfect their resultants in reading education time, develop their own strong intelligences through various experiences and processes and complement their lacking abilities. To prove the validity of the program I made FGI (Focus Group Interview) to the sample group consisting of child reading education experts. Analyzing the interview showed that the general idea of the group corresponded to the researcher's expectation effect. I see that reading education has one-dimensionally developed significance if it enables all the children of the present and the future not to have the oppressive feeling that they should produce masterpieces in reading education but to take pleasure in the activities and improve their own abilities.

본 연구는 독서교육의 문제점을 다중지능 이론과 독후활동에 근거를 두고 논하고자 한다. 다중지능 이론은 하워드 가드너 박사가 인간에게는 누구나 무한한 능력이 있다는 전제 하에 8가지의 유형을 주장했는데, 각 다중지능 유형별로 독후활동을 분석 및 적용하여 아동들의 다양한 지능을 고루 증진시키고 창의성을 높이기 위한 독서교육을 하기 위하여 새로운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새로운 프로그램은 아동들이 독서교육 시간에 결과물을 완성해야 한다는 생각을 버리고 다양한 경험과 과정을 통해 서로가 가진 자기만의 강점 지능을 발전시키고 모자란 능력을 보완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해 아동 독서교육전문가들로 구성된 표본 집단을 통해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진행했으며, 분석 결과 표본 집단의 전반적인 생각이 연구자의 기대 효과와 부합하는 결과를 얻었다. 현재, 그리고 미래의 모든 아동들이 독후활동을 할 때 꼭 작품을 완성해야 한다는 중압감에서 벗어나 활동 과정에서 즐거움을 느끼고 자신의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독서교육적으로 한 차원 발전된 의미를 가진다고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효경. 2009. 다중지능 유형별 퍼포먼스 미술활동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세대학교 친환경디자인대학원, 아동미술디자인전공.(Kim, Hyo-gyung. 2009. A Study on Performance Art Activity by Types of Multiple Intelligences.M.A. thesis. Majoring in Child Art Design Graduate School of Green Design HanseiUniversity.)
  2. 송기호. 2009. 통합 정보활용교육과정론. 서울: 오롬디엘스.(Song, Gi-Ho. 2009. Integration Educational Process of Use about Information. Seoul: OromDLS.)
  3. 정기원. 2012. 다양한 독후 활동에 관한 연구. 디지틀도서관, 2012년 여름호(통권 제66호): 23-44.(Chung, Ki-Won. 2012. "A Study on Various After-Reading Activities." Digital Library, 66(Summerof 2012): 23-44.)
  4. 중앙일보. 2015. IQ가 다는 아니다 사람들은 여러 방식으로 똑똑하다. 10월 17일.(Joongangilbo. 2015. [online]. [cited 2015.11.7]. .)
  5. 최영임, 한복희. 2009. 다중지능이 도서 선호 양상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4): 101-115.(Choi, Young-Im and Bock-Hee Hahn. 2009. "An Analysis of Multiple Intelligence' Effect onBook Selection Preferen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Sciences, 43(4): 101-115.) https://doi.org/10.4275/KSLIS.2009.43.4.101
  6. 최용훈, 조현양. 2015. 독후활동으로써 북트레일러의 효과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3): 15-36.(Choi, Yong-Hoon and Hyun-Yang Cho. 2015. "A Study on the Effect of Book-Trailers Asa After Reading Activ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Sciences, 49(3): 15-36.) https://doi.org/10.4275/KSLIS.2015.49.3.015
  7. 하워드 가드너. 2015. 인간은 어떻게 배우는가?. 류숙희 옮김. 서울: 사회평론.(Gardner, Howard. 2015. The Disciplined Mind. translation by Ryu Sook Hee. Seoul: Sapyoung.)
  8. 한기현. 2006. 다중지능 독서 프로그램이 독서 능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국어교육학과 초등국어교육전공.(Han, Gi-Hyeon. 2006. The Effects of Multiple Intelligence Reading Program on the Improvementof Reading Ability. M.A. thesis. Elementary Korean Education Graduate School Korea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9. EBS 제작팀. 2009. 아이의 사생활/다중지능, 나만의 프로파일을 찾아서. 서울: 지식채널.(EBS Production. 2009. Private life of Children/Multiple Intelligences, find a pro-file of me.Seoul: Knowledge Channel.)
  10. Armstrong, T. 1994. Multiple intelligences in the classroom. Alexandria: ASCD.
  11. Campbell, L., B. Campbell, and D. Dickinson. 2004.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Multiple Intelligences. (3rd ed). Alexandria: Pearson.
  12. Jeon, S. S. 2001. "A Study on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and art educational implications." Journal of Sa Yang Art Education, 9: 73-112.

Cited by

  1. 다중지능을 활용한 100대 교육과정의 학교 독서교육 프로그램 유형 분석 vol.50, pp.1, 2015, https://doi.org/10.16981/kliss.50.1.20190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