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Mimetic Purchase on the Product Satisfaction -Focused on the Moderating Role of Self Esteem-

모방구매가 제품만족에 미치는 영향 - 자존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 김동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업경영학부)
  • Received : 2015.01.07
  • Accepted : 2015.03.03
  • Published : 2015.04.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degree of mimetic purchase on product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role of the self esteem and public self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metic purchase and product satisfaction. Taken together, hypothesis 1 is as in the following. H1 : As the degree of mimetic purchase increases, product satisfaction will increase. To reveal the moderating role of the self esteem and public self in this path, 2 research hypotheses are derived as follows: H2 : The effect of mimetic purchase on product satisfaction is moderated by self esteem. H3 : The effect of mimetic purchase on product satisfaction is moderated by public self. Results from an empirical study showed that as the degree of mimetic purchase increases, product satisfaction increase. Thus, H1 is fully support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irst interaction effect(H2) between the mimetic purchase and the self esteem is significant. Thus, H2 is also supported. But the second interaction effect(H3) has been shown to be not significant.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간 모방구매가 제품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영향관계를 조절하는 소비자 특성변수로 소비자의 자존감과 공적자기의식의 역할을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특별히 모방구매의 영향력을 제품만족도와의 관계를 통해 살펴본 것은 제품만족이 또 다른 모방구매뿐만 아니라 강력한 구전의 원천정보가 된다는 점에서 기업의 구전전략 수립에 중요한 의미를 제공해 주기 때문이다. 연구가설은 모방구매 정도가 제품만족도에 미치는 직접영향(가설 1), 가설 1의 영향관계를 조절하는 자존감과 공적자기의식의 조절적 역할 가설(가설 2, 가설 3) 등 3개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한 자료는 모방구매가 가장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스마트폰 사용자 대상의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가설 1에서 예상한 모방구매 정도와 제품만족도간의 관계는 가설의 내용과 방향대로 모방구매 정도가 높을수록 해당 제품에 대한 만족도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영향관계는 소비자의 자존감이 높을수록 부정적으로 나타났는데(가설 2), 이는 높은 자존감을 가진 사람의 경우 모방구매로 인해 훼손된 자존감이 해당 제품에 대한 평가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반면 공적자기의식의 조절효과(가설 3)는 당초 예상했던 것과 달리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진옥, 전중옥, "모방구매성향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소비자광고, 제10권, 제4호, pp.663-682, 2009.
  2. 박진희, 방희정, "성인의 아동에 대한 모방이 아동의 친 사회적 도움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제21권, 제2호, pp.77-97, 2008.
  3. 이혜진, 김유선, 최진희, "소유물 모방의 긍정적인 효과 : 모방자의 인지된 능력과 피모방자의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 중심으로", 마케팅연구, 제29권, pp.133-148, 2014.
  4. N. Greenfeld and J. T. Kuznicki, "Implied Competence, Task Complexity, and Imitative Behavior,"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Vol.95, No.2, pp.251-261, 1975. https://doi.org/10.1080/00224545.1975.9918711
  5. G. S. Kim, S. Park, and J. Oh, "In Examination of Factors Influencing Consumer Adoption of Short Message Service(SMS)," Psychology and Marketing, Vol.25, No.8, pp.769-786, 2008. https://doi.org/10.1002/mar.20238
  6. 김상훈, 박현정, 이방형, "사회적 영향력과 모바일서비스의 사용-확산, 그리고 지속적 사용 및 상표전환의도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마케팅저널, 제12권, 제3호, pp.1-24, 2010.
  7. F. D. Davi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d Easuse, and User Acceptance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Vol.13, No.3, pp.319-340, 1989. https://doi.org/10.2307/249008
  8. H. Lucas and V. K. Spitler, "Technology use and performance: a field study of broker workstations," Decision Sciences, Vol.30, No.2, pp.291-311, 1999. https://doi.org/10.1111/j.1540-5915.1999.tb01611.x
  9. S. K. Kulviwat, C. B. Gordon, and A. Obaid, "The role of social influence on adoption of high tech innovations: The moderating effect of public/private consumption,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62, pp.706-712, 2009. https://doi.org/10.1016/j.jbusres.2007.04.014
  10. M. Fishbein and I. Ajzen,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Addison-Wesley, Boston, 1975.
  11. 최자영, 김용범, "페이스북 사용자의 로그 데이터 분석을 통한 브랜드 팬페이지 가입행동에 관한 연구:공적자기의식, 독특성 욕구, 자존감을 중심으로", 마케팅관리연구, 제19권, 제2호, pp.111-128, 2014.
  12. J. E. Lee, Roselyn, David Clark Moore, E. A Park, and S. G. Park, "Who Wants to be "Friend-Rich"? Social Compensatory Friending on Facebook and the Moderating Role of Public Self-Consciousnes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8, No.3. pp.1036-1043, 2012. https://doi.org/10.1016/j.chb.2012.01.006
  13. A. M. Fenigstein, F. Scheier, and A. H. Buss, "Public and Private Self-Consciousness: Assessment and Theor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43, No.4, pp.522-527, 1975. https://doi.org/10.1037/h0076760
  14. 김동태, "SNS환경에서 지각된 자기표현 성향이 정보확산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상품학연구, 제32권, 제6호, 출간예정, 2014.
  15. 최자영, 이수원, 장은영,"공적자기의식과 나르시시즘이 페이스북 브랜드 팬페이지의 공유의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 컨셉의 조절효과 분석", 마케팅연구, 제28권, Aprill, pp.65-86, 2013.
  16. H. H. Teo, K. K. Wein, and I. Benbasat, "Predicting Intention to Adopt Interorganizational Linkages: An Institutional Perspective," MIS Quarterly, Vol.27, pp.19-49, 2003. https://doi.org/10.2307/30036518
  17. R. L. Oliver, "Whence Consumer Loyalty?," Journal of Marketing, Vol.63, pp.33-44, 1999.
  18. 김종기, 한지연, "모바일 SNS 사용이 30-40대 기혼여성의 대인관계 강화와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사용촉진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정보시스템학회, 제23권, 제1호, pp.53-71, 2014. https://doi.org/10.5859/KAIS.2014.23.1.53
  19. J. C. Nunnally, Psychometric Theory, New-York: McGraw-Hill, 1967.
  20. J. Cohen and P. Cohen, Applied multiple regression/correlation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Erlbaum, 1983.

Cited by

  1. Classification of Consumer Types by Moderation and Simplicity, Autonomy, and Income Level, and Comparison of Happiness Accordingly vol.27, pp.1, 2016, https://doi.org/10.7856/kjcls.2016.27.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