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mages and Preference of Lighting Space - Focusing on fashion Stores -

조명공간의 이미지 및 선호도 연구 - 패션 매장을 중심으로 -

  • 석혜정 (오산대학교 패션디자인계열) ;
  • 한승희 (오산대학교 패션디자인계열) ;
  • 이종숙 (성결대학교 뷰티디자인학부)
  • Received : 2014.05.26
  • Accepted : 2015.03.19
  • Published : 2015.09.30

Abstract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the images and preference of lighting space using the emotion-based technique in order to effectively use it in clothing shops and fashion marketing. In terms of color temperature for light sources, 2,800K of lamp color, 6,500K of daylight color and 4,200K of white color were used. For the assessment, sensory evaluation technique was used. Then, the study found the followings: In terms of the image of lighting space by light source, different images were observed by light source with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evaluation category. For factor analysis by the evaluation category, 7 factors were extracted. Among them, evaluation on lighting space was influenced by the following three images: modern space, elegant space and classical space. In particular, the modern space comprised of the following adjectives had the biggest effect on the assessment of the image of lighting space ('refreshing,' 'transparent,' 'bluish,' 'bright' and 'non-classical') (primary evaluation 30.13%). According to assessment on the preference of lighting space, the respondents' most favorite lighting space was 4,200K while their least favorable one was 6,500K in terms of color temperature. In terms of preference by the image of lighting space, they didn't like 'non-elegant' and 'non-beige' images even though they had the images of modern space.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beige and elegant space images have an effect on the preference of lighting space.

Keywords

References

  1. 김선근. (2010). IT 기술을 이용한 住居施設의 다양한 조명 연출 시스템에 關한 硏究. 고려대학교 공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연하. (2001). 패션샾 실내 조명환경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예윤. (2008). 조명의 색온도가 재실자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백종원. (2006). 움직임을 이용한 감성 조명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송영진, 문형장. (2002). 조명의 현재와 미래.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학술대회논문집, 77-81.
  6. 이윤정, 김연희. (2011). 빛의 반사를 응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4(4), 43-61.
  7. 이은경. (2013). 다양한 색온도 및 조도의 의류 매장 조명 하에서의의복의 색 인상 연구. 한국색채학회지, 27(4), 49-57.
  8. 이은정. (2014). LED 램프를 포함한 다양한 패션 점포 조명하의 의복의 컬러 어피어런스 모델연구. 한국색채학회학술대회, 2014(1), 68-70.
  9. 이지연. (2012). 백화점의 점포 개성과 서비스 품질이 재방문의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3(3), 1-14.
  10. 이진숙, 김병수, 한원탁. (2011). LED조명기구의 면적, 색온도, 광원휘도 변화에 따른 불쾌글레어 평가.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7(8), 271-278.
  11. 임양래. (2007). 의류매장 개설 성공가이드. 자료검색일 2014.2.20, 자료출처 http://cafe.daum.net/limyr500/DDAT/48?q=Visual%20MechanDising&re=1
  12. 장경혜. (2013). 점포동일시의 매개효과를 통한 점포환경, 점포개성의 점포충성도에 대한 영향력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5(1), 75-89.
  13. 정현, 박화순. (2012). 패션 리테일 스토어의 조명 환경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 및 인식. 기초조형학연구, 13(5), 515-523.
  14. 진은미, 이진숙. (2007). 주거 실내의 조명광원별 색채평가 특성분석. 한국색채학회지, 21(2), 11-17.
  15. 최나영, 이종숙. (2006). 광원 변화에 따른 색의 이미지에 관한 주관적 평가. 한국의류산업학회지, 8(6), 214-220.
  16. 최나영, 이종숙, 양리나. (2007). 직물색의 지각에 미치는 광원의 영향. 복식문화연구, 15(2), 214-220.
  17. 한국표준과학연구원. (1993). 인간 감성파악정기술개발. 대전: 과학기술부.
  18. 東京商工会議所. (2000). カラーコーディネーション. 東京:東京商工会議所.
  19. 天坂 格郎、長沢 伸也. (2000). 官能評価の基礎と応用. 東京:日本規格協会.
  20. 日本規格協会. (1999). JIS ハンドブック 色彩. 東京:日本規格協会.
  21. 朴美愛, 成瀬 信子. (1998). 色の濃淡(2色配色)を組み合わせたチェック柄の視覚評価 家政誌, 49, 663-674.
  22. 佐藤 信. (1985). 統計的官能調査法. 東京:日科技連.
  23. 佐藤 信. (1978). 官能検査入門. 東京:日科技連.
  24. 三浦 新, 和仁 皓明, 吉村 功. (1970). 工場におけ る官能検査の進め方. 東京:日科技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