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Design Preference to Korean and Chinese Casual Style by Chinese Female Students in Korea

중국 여자 유학생의 중국·한국 간 캐주얼스타일에 대한 디자인 선호도 비교분석

  • Li, Yi Fan (Dept. of Clothing & Textiles, Mokpo National University) ;
  • Park, Miryu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Mokpo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5.03.31
  • Accepted : 2015.07.03
  • Published : 2015.09.30

Abstract

Analysis of design preference to Korean and Chinese casual style were made targeting Chinese female students in Korea.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erived from the result of final 300-copy survey data, using SPSS 18.0 program.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t-test, chi-squre independence test, ANOVA and Scheffe test. Firstly, when comparing change of design preference before the stay in Korea with after the stay in Korea, the biggest change in their preference was character casual style, while the least change was easy casual wear. In terms of duration of stay in Korea, the biggest change was from the group of over 3 years, and in the order of the group of 1-3years, and then lastly less than 1 year, which suggests that the longer the duration of stay, the bigger the change. When comparing preferred clothing color before the stay in Korea with after the stay in Korea, both before and after the stay in Korea had the highest preference for achromatic colors. The frequency of change was mostly from achromatic color to other colors. In the preferred clothing pattern, 'plain' was their favorite one before the stay in Korea, while it turned to 'nature pattern' after the stay in Korea, followed by 'plain' one. In the textiles, the most preferred one was 'cotton', before and after the stay in Korea. However, their preference for cotton was lower after their stay in Korea than before the stay in Korea, and instead there was more preference for 'silk', 'synthetic fiber', and 'other' sources.

Keywords

References

  1. 김민지. (2002). 국내캐주얼웨어의 세분시장별 색채 특성과 선호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순분. (2009). 중국유학생의 의복구매실태와 레이블에 대한 인식.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1(6), 887-895.
  3. 김용숙. (2003).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물질주의성향과 의복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지, 53(8), 11-20.
  4. 김해동. (2005). 캐주얼 의류브랜드의 기업종사자와 소비자간 브랜드 포지션 인지 차이. 중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효숙, 이소영. (2001). 중국 여성소비자의 연령에 따른 의복디자인 선호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1), 1-10.
  6. 남영란 외. (2013). 중국유학생의 의복구매 및 착용 실태에 관한연구. 한국복식학회지, 63(6), 40-55.
  7. 동뻬이. (2010). 서울과 상하이 여성의 캐주얼 스타일 비교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배수정, 백정현, 최윤규, 유화정. (2008). 2007년 여름 중국 대련시 여성 스트리트 패션분석. 한국의류학회지, 32(11), 1692-1703.
  9. 변미연, 이인성. (2006). 직장여성을 위한 이지캐주얼웨어 디자인 개발. 한국의류학회지, 30(8), 1301-1311
  10. 손희정, 김효숙(2000). 중국여대생의 의복 선호도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비지니스학회지. 4(2). 85-93.
  11. 자오링링. (2014). 광주전남지역 중국 유학생들의 한국의류제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정수진, 최수경. (2011). 한.중 여대생의 남성복 색채 선호도 분석 -톤 인 톤 배색을 중심으로-.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3(4), 69-77.
  13. 오현아 외. (2012). 2010/11년 겨울 서울시와 다롄시의 스트리트 패션에 나타난 여성 의복 색 비교분석. 한국복식학회지, 62(2), 103-121.
  14. 옥금희. (2006). 중국대학생의 의복쇼핑성향에 따른 점포평가기준, 의복평가 기준 및 캐주얼웨어 구매행동에 대한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유국련, 김용숙. (2002). 중국대학생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의복태도 및 구매행동. 한국복식학회지, 52(5), 15-30.
  16. 유대상. (2010). 중국유학생들의 의복구매행동과 중국의류시장 진출방안.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유지헌. (2009). 한국내 중국인 유학생의 의복태도 연구 - 성별, 사회경제적 수준별, 한국거주기간별-.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1(2), 153-168.
  18. 이경림, 박숙현. (2008). 의복의 조형요소에 따른 캐주얼이미지 분류. 한국의류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37.
  19. 이동훈(2009). 새롭게 주목해야할 중국 소비시장. SERI경영노트, 28호, 6-9.
  20. 정화연외(2011). 중국 여대생의 겨울철 의복 착장 활동에 관한 연구 -항주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3(3). 135-147.
  21. 중국의 1-2월 섬유생산동향. 한국화섬협회. 자료검색일 2014. 5. 1, 자료출처 http://www.kcfa.or.kr.
  22. 중국인 유학생은 '미래 친한파'인데(2009.12.11.). 중앙일보. 신경진 자료검색일 2014. 5. 1, 자료출처 http://pdf.joins.com
  23. 한-중 양국 함께 아름다운 미래를 열어야(2009.12. 11). 중앙일보. 자료검색일 2014. 5. 1, 자료출처 http://china.joins.com
  24. 홍금희, 유정. (2009). 중국 여자대학생의 유행선도력과 한류 선호에 따른 한국 패션 브랜드 구매행동. 한국의류학회지, 33(4), 655-665.
  25. 홍병숙, 나운규. (2007). 의류 소비자의 제품속성, 가격속성, 쇼핑가치가 인터넷쇼핑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1(7), 1075-1084.
  26. Eckman, M. Damhorst, M, L. & Kadolph, S. (1990). Toward a Model of the In-Store Purchase Decision Process: Consumer Use of Criteria for Evaluating Women’s Apparel.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8(2), 13-22 https://doi.org/10.1177/0887302X9000800202
  27. Mete, F. (2006). The creative role of sources of inspiration in clothing design. International Journal of Clothing Science and Technology, 18(4), 278-293 https://doi.org/10.1108/09556220610668509
  28. Horn, M. J., & Gurel, L. M. (1981). The second skin, an inter-disciplinary study of clothing (3rd ed.). Boston: Houghton Mifflin co.
  29. FashionDictionary. 삼성패션연구소. 자료검색일 2014. 5. 1, 자료출처 http://www.samsungdesign.net/Databank/Encyclopedias/FashionDictionary
  30. 2012 China Apparel market. 삼성패션연구소. 자료검색일 2014. 5. 1, 자료출처 http://www.samsungdesign.net/ChinaInfo/Issue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