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mplementation Directions and an Analysis of Assistive Devices and Alternative Formats to Improve Accessibility for Disabled People

장애인 접근성 향상을 위한 보조기기 및 대체자료 분석과 구현 방향

  • 임명환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경제분석연구실/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과학기술정책) ;
  • 길연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식이러닝연구실) ;
  • 전광일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컴퓨터공학부)
  • Received : 2015.06.18
  • Accepted : 2015.06.30
  • Published : 2015.07.28

Abstract

The assistive devices for disabled people are being highlighted even in industrial aspects through the policy and support for disabled people, enactment of regulation for the improvement of accessibility of disabled,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product development. Recently, internet access with the sense of touch and hearing and utilizing electronic publishing contents and e-mailing are being convenient through the product of ICT development such as screen reader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braille display, screen enlarger, text converter and others. Even so, in rapidly changing digital media smart era, the accessibility of visually impaired people is still poor and assistive devices and alternative formats are in need of improvement. Therefore, in aspect of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innovation, this study proposes the implementation directions for improvement of accessibility by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structure of alternative formats and assistive devices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As a result, in the future, various types of digital information are expected to be converted into a customized and realistic forms and distributed through a dedicated disability products or smart devices.

장애인에 대한 정책과 지원, 장애인 접근성 향상을 위한 지침 제정, 기술혁신과 제품개발 등으로 장애인 보조기기 분야는 산업측면에서 크게 부각되고 있다. 최근에는 ICT 발전으로 시각 장애인용 스크린 리더, 점자 디스플레이, 화면 확대기, 문자음성 변환기 등이 출시되어 촉각과 청각으로 인터넷 접속이 용이해지고 스마트기기를 통해 편리하게 전자출판 콘텐츠를 활용하고 메일을 주고받을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렇지만 급속하게 전환되고 있는 디지털 미디어기반의 스마트시대에 시각 장애인의 접근성은 아직도 열악하고 보조기기와 대체자료의 성능과 품질도 개선되어야 할 점이 많은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구개발 혁신 측면에서 시각 장애인용 보조기기 및 대체자료의 현황과 구조를 분석하고 접근성 향상을 위한 구현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연구결과, 향후에는 다양한 디지털 정보가 맞춤형 및 실감형 형태로 전환되고 장애인 전용 단말기 또는 스마트기기를 통해 유통될 것으로 예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Tousif Ahmed, Roberto Hoyle, Kay Connelly, David Crandall, and Apu Kapadia, "Privacy Concerns and Behaviors of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CHI 2015, April 18-23, 2015.
  2. 통계청, e-나라지표(장애인 현황), 보건복지부(시.도 장애인등록현황 자료), 2015.5.
  3. WIPO, Treaty for Improved Access for Blind, Visually Impaired and other Reading Disabled Persons, 2008.10.23.
  4. 김태은, 이경희, 이종우, 임순범, 박희민, "국내 독서장애인의 정보접근 지원을 위한 도서관 및 IT 서비스 개선 방안 연구",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제12권, 제2호, pp.253-262, 2011(6). https://doi.org/10.9728/dcs.2011.12.2.253
  5. 박민정, "장애인의 ICT 접근성 향상을 위한 ITU의 활동 동향", 방송통신정책, 제25권, 12호, KISDI, pp.56-62, 2013(7).
  6. ITU, The ICT Opportunity for a Disability-Inclusive Development Framework, 2013(9).
  7. ITU, ITU's Mandate on ICT Accessibilit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Persons with Specific Needs, 2014(12).
  8. 한국정보화진흥원, 정보통신 보조기기 개발 보급실행계획, 2015(1).
  9. 한국정보화진흥원, 2015년 정보통신 보조기기 보급사업 및 제품안내, 2015(4).
  10. 국가인권위원회, 장애인 건강권 증진방안에 관한 연구, 2014(12).
  11.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장애인 보조공학기기 지원안내서, 2015(4).
  12. 국립장애인도서관, 국립장애인도서관 장서개발정책 수립 연구, 대구대학교, 2013.4.
  13. 국립중앙도서관, 2013년 전국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현황조사, 2013(12).
  14. Birgitta Irvall and Gyda Skat Nielsen, Access to Librar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 Checklist, Hague, IFLA, 2005.
  15. 윤희윤, "주요 국가의 장애인용 대체자료 개발정책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1권, 제1호, pp.29-49, 2010(3).
  16. 국립장애인도서관, 도서관 장애인서비스의 이해 교육교재 개발, 동덕여자대학교, 201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