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창업교육 연대기: 창업교육의 특징분석과 미래 발전방안

The Chronology of Korean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e feature analysis and future developmen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 투고 : 2015.06.05
  • 심사 : 2015.06.29
  • 발행 : 2015.06.30

초록

창업교육의 역사가 60년이 넘은 미국과는 달리 국내의 창업교육은 그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매우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급성장의 배경에는 정부 각 부처의 적극적인 창업교육 지원정책들과 새 정부의 핵심 정책인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창업의 활성화, 그리고 고용 없는 성장과 글로벌 경기침체를 통한 전 국민적 창업의 중요성 인지 등을 꼽을 수 있다. 또한, 창업교육이 대학으로 들어온 만큼 이제는 창업의 학문적인 부분을 분리해서 생각할 수는 없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국내 창업교육에 대한 지난 역사를 다양한 자료 수집을 통해 분석하고 정리하였다. 그리고 현재 국내 창업교육의 현황을 창업교육, 창업강좌, 창업 연구분야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국내의 창업교육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발전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창업강좌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창업학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활동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미국 대학의 창업교육이 2001년까지 30여 년간 1년에 15개의 대학씩 증가하며 창업교육이 급속도로 확산되었던 것처럼 국내의 경우 역시 2013년을 기준으로 지난 21년간 57배의 창업강좌 개설대학의 증가를 보이며 급속도로 창업교육이 확산되고 있다. 또한, 국내 다양한 분야의 142개 학술지가 창업과 관련된 연구주제를 다루고 있는데 미국의 경우 주 연구분야가 창업인 학술지가 44개임을 감안하면 향후 국내의 창업관련 분야 전문학술지의 증가도 이루어 질 것이다. 본 연구는 지난 시간동안 국내에서 창업교육이 확산되어 가는 과정에 대해 기존 연구들 및 관련 자료들의 조사와 분석을 바탕으로 국내 창업교육의 현황을 창업교육, 창업강좌, 창업 연구분야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시사점들을 바탕으로 창업교육과 창업학 연구에 대한 필요 부분들을 앞으로 보완해 나간다면 국내 창업학의 학문적인 정착과 발전에 기여할 것이며 앞으로 올바른 창업문화가 국내에 뿌리내리기 위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Unlike the over 60 years American history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spite of its short history Korean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s been rapidly developing. These rapid growth of background, founding activation of for a creative economy realization of core policy of aggressive entrepreneurship education assistance policy and the new government ministries and agencies of government, and growth and global and recession without employment the can and the like or the importance of all the national foundation through. Moreover,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came into universities, can not be considered in isolation now academic part of found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analysis the past history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based on a variety of data collection. And the analysis is based on three parts; the status of domestic entrepreneurship education, entrepreneurship courses and entrepreneurship research. The result shows that domestic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being developed and spread rapidly. Moreover, the number of entrepreneurship courses are increased exponentially in addition to research activities tha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ntrepreneurship are also actively performed. Until 2013 the number of entrepreneurship courses opened in universities is 57 times more in last 21 years, meaning that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expanding rapidly. In addition, the 142 various journals in domestic are publishing with a research topic related to entrepreneurship, comparing the 44 US journals researching primarily on entrepreneurship, and we can also expect the future growth of domestic research field. This study gives the implication on the field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entrepreneurship courses and entrepreneurship research based on the analysis of existing studies and related materials for the history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With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research in Korea, and also give insight for nurturing entrepreneurship culture and spiri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