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aily Dose of Aconiti Lateralis Radix Preparata and Aconiti Lateralis Radix in Treatise on Cold Damage Diseases

傷寒論에서 炮附子와 生附子의 1 일 복용량

  • Kim, In-Rak (Dept. of Korea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김인락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한의학과)
  • Received : 2015.06.22
  • Accepted : 2015.07.01
  • Published : 2015.07.30

Abstract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inding out the daily dose of Aconiti Lateralis Radix Preparata and Aconiti Lateralis Radix in Treatise on Cold Damage Diseases.Methods : In order to estimate the daily dose of Aconiti Lateralis Radix Preparata and Aconiti Lateralis Radix, I researched Treatise on Cold Damage Diseases, Synopsis of Prescription of the Golden Chamber, Korean Pharmacoepia 10 and Science of Contemporary Chinese Medicine Product.Results : Daily doses of Aconiti Lateralis Radix Preparata are 1, 2, or 3 pieces and those amount are respectively 1, 2, or 3 Ryang. Common dose of Aconiti Lateralis Radix Preparata is 1 piece, Maximum Dose of it is 3 Pieces and that corresponds with dose of dried herb in Treatise on Cold Damage Diseases. Consider from Sovereign, Minister, Assistant and Courier, the dose of it in Buja-tang and Whyunmu-tang is 3 Ryang. 1 Ryang corresponds with 6.5 g. Aconiti Lateralis Radix is dried without baking so its weight is equal to Aconiti Lateralis Radix Preparata. Daily doses of Aconiti Lateralis Radix are 1 piece or 1 big piece and those amount are respectively 3 or 6 Ryang. Common dose of it is 1 piece.Conclusions : From this study, in Treatise on Cold Damage Diseases, Daily Doses of Aconiti Lateralis Radix Preparata are 1, 2, or 3 pieces(19.5 g, 39 g or 52 g), and that of Aconiti Lateralis Radix are 1 piece or 1 big piece(19.5 g, 39 g). Common Dose of two Herbal Medicine is 19.5 g.

Keywords

서 론

傷寒論 처방의 제형은 탕제, 산제 그리고 환제이고 이중탕제가 기본이다. 탕제의 약재별 1 일 복용량은 무게, 개수 또는 부피로 표기되고 이중 무게가 기본이다. 무게는 兩, 斤 또는 銖로 표기되고 이중 兩이 기본인데, 1 일 최소 1 兩, 최대 16 兩, 일반용량은 3 兩이다1,2). 상한론 처방의 표준화를 위해서는 약재 표준화와 복용량 표준화 등이 시급하다. 이 중 약재 표준화는 대한민국약전 제 10 개정(KP 10) 등에 의해 많은 부분이 정립되었으나 복용량 표준화는 아직도 미흡하다. 상한론의 1 兩을 현대 도량형인 g으로 환산한 값은 3 g, 3.75 g, 6-7 g, 6.69 g, 13.92 g, 15.6 g 등 다양하다3-5). 하지만 이들은 저울추에 근거하여 무게만 추정하고 개수나 부피와의 관련성을 간과한 것이 가장 큰 단점이다.

따라서 저자는 연구방법을 달리하여 상한론 자체에서 근거를 찾으려 한 결과, 小柴胡湯과 柴胡加芒硝湯에서 半夏가 무게, 개수 그리고 부피로 표기되어있고, 半夏는 15 개와 2.5 兩과 0.5 升이 동량이고, 이를 KP 10 의 半夏크기와 기타 약들을 대비하여 1 兩은 6.5 g, 1 升은 약 70 mL에 해당한다고 결론내렸다3,4). 복용량이 개수로 표기된 것은 18 품목인데 이중 지금까지 g으로 환산된 것은 7 품목이다. 7 품목 중 일반 복용량이 3 兩인 것은 大棗肉 12 개와 阿膠 3 개 그리고 梔子 14 개이고, 2.5 兩인 것은 半夏 15 개이며, 2 兩인 것은 枳實 4 개이다. 이 외에도 1 兩인 것은 葱白 4 개이고, 2 兩인 것은 葱白 9 개이며, 16 兩인 것은 石膏鷄卵大 1 개이지만 여기에 해당하는 처방은 1 개씩뿐이다1-3,6-8). 따라서 개수로 표기된 것도 최소량은 1 兩, 최대량은 16 兩 그리고 일반용량은 3 兩이므로 무게로 표기된 것과 일치한다.

무게로 표기된 것 중 아직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은 11 품목인데 炮附子, 生附子, 鷄子殼, 鷄子黃, 栝樓實, 大黃博碁子大, 桃仁, 蝱蟲, 水蛭, 竹葉 그리고 杏仁이다. 이번 연구의 대상은 炮附子와 生附子의 1 일 복용량이다. 附子는 神農本草經9)에 하품약으로 처음 수록되었는데 辛溫하고 主風寒欬逆, 邪氣, 溫中, 金瘡, 破癥, 堅積聚, 血瘕, 寒濕, 踒躄, 拘攣, 膝痛, 不能行步한다하였다. 하지만 한국에는 생산되지 않으므로 전량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다. 현재까지 附子 복용량 연구는 크게 2 가지 방향으로 진행되어왔다. 하나는 附子 무게를 측정하여 10 g, 10.59 g, 14.29 g, 15 g, 10-20 g, 20.19 g, 21 g, 25 g, 30 g 으로 해석한 것이고10), 다른 하나는 神農本草經集注 서문에서 附子 1 개는 烏頭 1 개와 무게가 같고 0.5 兩에 해당한다는 것에 근거하고 1 兩을 13.9 g으로 설정하여 附子 1 개는 6.9 g이라 한 것이다11).

이번 연구에서는 상한론에서 복용량이 무게로 표기된 것에 적용된 규칙을 附子에 적용하여 기존의 연구와는 다른 결론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재료 및 방법

1. 재료

이 연구에 주로 사용한 자료는 傷寒論12)과 金匱要略13)에서 附子가 사용된 처방과 대한민국약전 제 10 개정14)과 현대중약상품학15)에서 附子에 관한 규정이다.

2. 방법

상한론의 탕제에서 약재별 복용량이 무게로 표기된 경우에 적용된 규칙 중 5 가지를 炮附子와 生附子복용량에 적용하였다. 그리고 이 결과를 상한론의 환제와 금궤요략의 탕제에서 무게로 표기된 경우와 대한민국약전 제 10 개정과 현대중약상품학의 附子유통규격에 대비하였다.

규칙 5 가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1 일 복용량은 1, 2, 3, 4, 5, 6, 8 또는 16 兩이다.

둘째 1 일 복용량 중 최대는 16 兩이지만 광물성과 동물성 생것과 식물성생것에만 적용되고, 동물성말린 것이나 식물성 말린 것은 이것의 절반인 8 兩이다.

셋째 1 일 복용량 중 최소는 1 兩이지만, 附子가 포함된 처방에서는 이것의 2 배인 2 兩이다.

넷째 1 일 복용량 중 가장 일반적인 것은 3 兩이다.

다섯째 君臣佐使論을 적용하면 桂枝湯, 附子湯 등 약재명이 처방명인 경우 그 약재가 군약이고 복용량은 다른 약재보다 적지는 않다.

 

결 과

1. 상한론의 炮附子

상한론12)에서 炮附子가 사용된 처방은 14 개이고 이중 烏梅丸을 제외한 13 처방은 모두 탕제이다. 탕제에서 炮附子 1일 복용량은 무게로 1 개, 2 개 또는 3 개이다. 炮附子가 1 개인 처방은 桂枝加附子湯, 桂枝去芍藥加附子湯, 麻黃附子甘草湯, 麻黃細辛附子湯, 附子瀉心湯, 芍藥甘草附子湯, 玄武湯, 小靑龍湯 그리고 理中湯인데 小靑龍湯과 理中湯은 원방이 아니라 증상에 따라 가미한 경우이다. 炮附子가 2 개인 처방은 甘草附子湯과 附子湯이며, 3 개인 처방은 桂枝附子湯, 去桂加白朮湯이다. 따라서 炮附子 1 일 복용량 중 1 개가 최소이면서 가장 일반적이고 최대는 3 개이다.

2. 복용량 경우의 수에 근거한 炮附子 1 개 용량

상한론에서 1 일 복용량이 무게로 표기된 경우 약재별 복용량은 1, 2, 3, 4, 5, 6, 8 그리고 16 兩 등 8 가지이다1). 炮附子는 1 일 복용량이 개수로 1 개, 2 개, 또는 3 개이다. 炮附子 1 개가 6 兩 이상이면 3 개는 18 兩 이상이므로 16 兩을 초과한다. 1 개가 5 兩이면 2 개는 10 兩, 3 개는 15 兩이며, 1 개가 4 兩이면 2 개는 8 兩, 3 개는 12 兩인데 10 兩, 15 兩 그리고 12 兩은 모두 상한론에는 없는 용량이다.

炮附子 1 개가 3 兩일 경우 2 개는 6 兩, 3 개는 9 兩이지만 9 兩은 8 兩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이것의 근거는 大棗, 半夏 또는 梔子의 경우에서 찾을 수 있다. 大棗의 경우 12 개가 기본이고 大棗肉으로는 3 兩에 해당하므로 茯苓桂枝甘草大棗湯의 大棗 15 개는 16 개로, 當歸四逆湯과 當歸四逆加吳茱萸生薑湯의 大棗 25 개는 24 개로 해석된다6). 半夏의 경우 15 개가 기본이고 2.5 兩에 해당하므로 苦酒湯의 半夏 14 개는 15 개로 해석된다6). 梔子의 경우 14 개가 기본이고 3 兩에 해당하므로 梔子枳實湯의 梔子 15 개는 14 개로 해석된다7).

炮附子 1 개가 2 兩이면 2 개는 4 兩, 3 개는 6 兩이고, 1 개가 1 兩이면 2 개는 2 兩, 3 개는 3 兩이므로 모두 조건에 부합한다. 따라서 경우의 수에 근거하면 炮附子 1 개는 1 兩, 2 兩 또는 3 兩 중 하나로 추정된다.

3. 최대량에 근거한 炮附子 1 개 용량

상한론에서 1 일 복용량이 무게로 표기된 경우 약재별 최대 복용량은 16 兩이며, 여기에 해당하는 약은 生刺白皮, 生地黃, 猪膚, 石膏, 禹餘糧 그리고 赤石脂이다1). 이중 生刺白皮와 生地黃은 식물성생것이고, 猪膚는 동물성생것이며, 石膏, 禹餘糧 그리고 赤石脂는 광물성이다. 동물성말린 것과 식물성말린 것은 최대 복용량이 16 兩의 절반인 8 兩이고, 여기에 해당하는 것은 葛根黃連黃芩湯의 葛根, 茯苓桂枝甘草大棗湯의 茯苓, 小柴胡湯의 柴胡 그리고 厚朴生薑半夏甘草人蔘湯의 厚朴 등 4 품목이다. 炮附子는 식물성말린 것이고 1 일 최대 복용량은 3 개이므로 炮附子 3 개는 8 兩 이하로 추정된다.

4. 炮附子가 포함된 처방에서 최소량에 근거한 炮附子 1 개 용량

상한론에서 1 일 복용량이 무게로 표기된 경우 약재별 최소 복용량은 1 兩이다. 이런 예는 麻黃湯과 茯苓桂枝白朮甘草湯과 梔子栢皮湯의 炙甘草, 小陷胸湯과 半夏瀉心湯과 大黃黃連瀉心湯의 黃連, 旋覆花代赭石湯의 旋覆花, 厚生半甘人湯과 四逆加人蔘湯의 人蔘, 乾薑附子湯의 乾薑 등이다. 하지만 炮附子가 포함된 처방만으로 한정한다면 최소 복용량은 桂枝加附子湯 등의 炙甘草, 麻黃附子甘草湯과 麻黃細辛附子湯의 麻黃과 細辛, 甘草附子湯의 白朮 그리고 附子湯의 人蔘 등 5 품목이 2 兩이다. 附子瀉心湯의 경우 炮附子 1 개는 달이지만 大黃 2 兩, 黃芩 1 兩 그리고 黃連 1 兩은 달이지 않고 뜨거운 물에 담구어 우려내므로 일반적인 탕제와는 구분된다. 炮附子가 포함된 처방에서 약재별 1 일 최소 복용량은 2 兩이고, 炮附子는 1 개가 최소 복용량이므로 炮附子 1 개는 2 兩 이상으로 추정된다.

5. 일반용량에 근거한 炮附子 1 개 용량

상한론에서 1 일 복용량이 무게로 표기된 경우 약재별 일반적인 복용량은 3 兩이다2). 복용량이 개수로 표기된 18 품목 중 용량이 밝혀진 것은 7 품목이고, 일반적인 복용량은 3 兩이다. 그리고 炮附子는 1 개가 일반적인 복용량이다. 따라서 炮附子 1 개는 3 兩으로 추정된다.

6. 君臣佐使論에 근거한 炮附子 1 개 용량

상한론에서 桂枝湯이나 麻黃湯처럼 약재명이 탕, 산 또는 환제명이면서, 구성약재가 3 개 이상인 경우는 그 약재가 군약이 되어 복용량은 다른 약들보다 적지는 않다. 靑龍湯은 麻黃, 白虎湯은 石膏 그리고 玄武湯은 附子를 의미하므로 이 처방들도 이 경우에 포함된다. 군약의 용량은 크게 3 가지로 구분되는데 단독으로 최대인 경우와 2 개 이상 약재와 더불어 최대인 경우 그리고 모든 약재와 동량인 경우이다. 첫 번째 경우는 葛根湯에서 葛根 4 兩, 大柴胡湯과 小柴胡湯에서 柴胡 8 兩, 十棗湯에서 大棗(大) 10 개 그리고 茵蔯蒿湯에서 茵蔯蒿 6 兩이 단독으로 최대이다. 두 번째 경우는 桂枝湯에서 桂枝去皮 3 兩이 芍藥, 生薑 3 兩 그리고 大棗 12 개와 동량이고, 黃芩湯에서 黃芩 3 兩이 大棗 12 개와 동량이며, 黃連湯에서 黃連 3 兩이 桂枝去皮, 炙甘草 그리고 大棗 12 개와 동량이다. 세 번째 경우는 半夏散及湯의 半夏가 桂枝去皮와 炙甘草와 더불어 모두 3 兩이고, 白頭翁湯의 白頭翁은 黃蓮, 黃柏 그리고 秦皮와 더불어 모두 3 兩이며, 人蔘湯(理中湯)의 人蔘은 乾薑, 白朮 그리고 炙甘草와 더불어 모두 2 兩이고, 豬苓湯의 豬苓은 茯苓, 澤瀉, 阿膠 그리고 滑石과 더불어 모두 1 兩이다.

附子湯은 附子 2 개(炮, 去皮, 破八片), 白朮 4 兩, 茯苓 3 兩, 赤芍藥 3 兩, 人蔘 2 兩이므로 炮附子 2 개가 군약이고 4 兩 이상이어야 한다. 그리고 玄武湯은 附子(炮,去皮) 1 개(破8片), 茯苓, 芍藥, 生薑 各 3 兩(切), 白朮 2 兩이므로 炮附子 1 개가 군약이고 3 兩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附子湯에서 炮附子 2 개는 4 兩 이상, 玄武湯에서 炮附子 1 개는 3 兩 이상인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려면 炮附子 1 개는 3 兩 이상이어야 한다.

7. 烏梅丸에 근거한 炮附子 1 개 용량

烏梅丸은 烏梅 300 개, 黃連 16 兩, 乾薑 10 兩, 細辛, 炮附子(去皮), 桂枝(去皮), 人蔘, 黃柏 각 6 兩, 當歸, 蜀椒(出汗) 각 4 兩이다. 炮附子 복용량은 특이하게 무게로 표기되어 있으며 細辛, 桂枝(去皮), 人蔘 그리고 黃柏과 함께 동량이며 6 兩이다. 2013 년 7 월 초 광양에서 구매한 잘 익은 매실을 크기 구분없이 300 개에 식초를 붇고 12 시간 지난 뒤 핵을 없애고 과육만 말린 것은 무게 224 g이었다. 따라서 烏梅肉 300 개는 36 兩(208 g)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그런데 탕제에서 1 일 복용량은 최대량이 16 兩, 기본은 3 兩이며, 32 兩이나 10 兩인 경우는 없다. 烏梅丸 용량을 1/2 로 줄이면 烏梅 150 개는 16 兩, 黃蓮은 8 兩, 乾薑은 5 兩, 當歸와 蜀椒는 2 兩이 되고, 細辛, 炮附子, 桂枝(去皮), 人蔘 그리고 黃柏은 3 兩이므로, 최대량은 16 兩이고, 일반량은 3 兩이 된다. 따라서 烏梅丸에서 炮附子 3 兩은 가장 일반적인 용량이며 炮附子 1 개와 동량으로 추정된다.

8. 금궤요략 黃土湯에 근거한 炮附子 1 개 용량

상한론의 탕제에서 附子는 복용량이 개수로만 표기되었다. 금궤요략13)의 탕제에서도 附子는 복용량이 개수로 표기되었지만 유일하게 黃土湯에서는 附子 복용량이 무게로 표기되어있다. 黃土湯은 黃土 8 兩이고 甘草 乾地黃 白朮 阿膠 黃芩 그리고 炮附子가 각 3 兩이다. 黃土 8 兩은 군약이고 최대량이다. 附子는 다른 약과 동일하게 3 兩인데 3 兩은 상한론에서 일반 복용량이다. 따라서 附子도 가장 일반적인 복용량은 3 兩임을 알 수 있다.

9. 경우의 수를 종합한 것에 근거한 炮附子 1 개 용량

이상 각 경우에서 추정한 것을 종합하면 炮附子 1 개를 1 兩으로 추정할 수 있는 것은 상한론에서 1 일 복용량의 경우와 최대량에 한한다. 2 兩으로 추정할 수 있는 것은 이들 2 경우와 炮附子가 사용된 처방에 한한다. 3 兩으로 추정할 수 있는 것은 모든 경우에서 가능하다. 따라서 모든 조건을 만족하는 것은 炮附子 1 개가 3 兩인 경우이므로 炮附子 2 개는 6 兩, 3 개는 8 兩으로 추정할 수 있다.

10. 대한민국약전 제 10 개정에 근거한 炮附子 크기와 실측

대한민국약전 제 10 개정14)에서 附子는 기원종은 단일종이지만, 제법에 따라 鹽附子와 附子片 그리고 炮附子로 구분하였고, 성상항에서 鹽附子는 全形인 것을, 炮附子와 附子片은 절단된 것을 서술하였다. 鹽附子는 길이 4 〜 7 cm, 지름 3 〜 5 cm 이므로 길이나 지름은 최대치가 최소치의 약 1.7 배이다. 하지만 鹽附子는 소금에 절어 있으므로 炮附子나 生附子의 크기를 대표하지는 못한다. 다만 附子片은 길이 17 〜 50 mm, 지름 9 〜 30 mm, 두께 3 〜 5 mm 이므로 길이는 최대 50 mm, 지름은 최대 3 cm임을 알 수 있다.

11. 현대중약상품학에 근거한 炮附子 용량

현대중약상품학15)에서는 鹽附子를 1, 2, 3 등급으로 구분하였는데 1000 g에 각각 16 개, 24 개 그리고 80 개 내외이다. 따라서 鹽附子 1 개 무게비는 등급별로 15 : 10 : 3 이다. 炮附子를 2 등분한 것이 附桂片인데 약전에는 수록되어 있지 않으나, 유통은 되고 있으며, 2 등급 500 g과 3 등급 500 g을 절반씩 혼합하여 1 kg에 160 片이다. 따라서 炮附子로서는 1 kg에 80 개이고 1 개 평균 12.5 g이다. 2 등급 개수를 미지수 x 로 볼 때 3 등급은 (80-x) 개이고, 2 등급과 3 등급은 1 개 무게비가 10 : 3 이므로 10·x = 3(80-x) 라는 식이 성립된다. 따라서 2 등급으로는 18.46 개, 3 등급으로는 61.54 개가 500 g 이 되고, 2 등급 1 개는 27.09 g, 3 등급 1 개는 8.12 g이다.

炮附子를 크기에 따라 1, 2, 3 등급으로 구분할 때 2 등급은 평균 27.09 g이므로 4 兩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상한론의 炮附子 1 개는 3 兩이고 2 등급 평균인 4 兩보다는 조금 작다.

12. 生附子 큰 것 1 개 용량 추정

鹽附子 기준으로 1, 2, 3 등급 1개 무게비는 15 : 10 : 3이다. 附桂片에 근거하여 구한 炮附子 2 등급은 1 개 27.09 g이다. 炮附子 1 등급 1 개는 2 등급의 1.5 배이므로 40.64 g이다. 生附子는 炮를 하지 않았을 뿐 말리기는 하였으므로, 1 개 무게는 炮附子와 동일하다. 따라서 生附子 큰 것을 1 등급으로 본다면 40.64 g이고 상한론의 6 兩에 해당하며, 2 등급 평균의 1.5 배이고, 일반크기인 3 兩의 2 배이다. 附子가 완전한 공모양이라고 가정하면 무게가 2.0 배일 때 지름은 1.26 배이다.

 

고 찰

附子는 상한론에서 炮附子와 生附子로 구분하였고, 生附子는 炮를 하지 않고 말린 것을 의미한다. 상한론에서 불로 하는 포자법은 炙와 熬와 炮가 있다. 炙하는 것으로는 甘草 등긴 것이나, 厚朴 등 넓적한 것이나 百合 등 둥글고 가운데는 비어있는 것이다. 熬하는 것으로는 杏仁, 葶藶子 등 크기가 작고 알갱이인 것을 철판에 놓고 볶는 것이다. 炮하는 것으로는 附子가 유일하며 공모양이고 가운데가 가득 찬 것을 잿불에 파묻어 감자굽듯이 하는 것이다. 附子를 炮하는 이유로는 주성분인 Aconitin을 독성이 1/200 이하인 것으로 변경하기 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현재에는 이런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식용염화칼슘용액에 담가 두었다 절단한다.

상한론에서 炮附子는 1 일 복용량이 1 개, 2 개 또는 3 개로 표기되어있고, 生附子는 1 개 또는 큰 것 1 개로 표기되어있으며, 이를 8 조각내어 전탕하였다. 하지만 현재 유통품은 모두 얇게 절단되어 있으므로, 炮附子나 生附子 1 개가 몇 g 에 해당하는지를 해결하는 것은 시급하다.

상한론에서 복용량은 무게, 개수 또는 부피 중 하나로 표기되었다. 이중 무게로 표기된 것이 가장 일반적이며 부저하여 콩알크기로 깨뜨렸다. 개수로 표기된 것은 18 품목인데 콩알보다 큰 알갱이다. 부피로 표기된 것도 18 품목인데 콩알보다 작은 알갱이거나 액체이다. 그리고 半夏, 杏仁, 石膏, 芒硝 등은 무게, 개수 또는 부피 등으로 다양하게 표기되어있다. 용량은 무게로 표기하는 것이 정확하지만 정밀도가 조금 떨어지더라도 약의 형태에 따라서는 개수나 부피로 측정하는 것이 편리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다만 이 경우에도 무게로는 기준이 설정되어있었다고 본다.

附子는 콩알보다 큰 알갱이므로 개수로 표기되었다. 炮附子가 포함된 처방은 15 개이고 이중 탕제는 13 개이다. 탕제에서 炮附子의 1 일 복용량은 1 개, 2 개 또는 3 개이고 이 중 1 개인 처방이 8 개이므로 가장 일반적이다. 하지만 대한민국약전 제 10 개정에서 附子 절편의 경우 지름과 길이가 약 2 배 차이가 나듯이 크기는 다양하다. 그러므로 附子 1 개의 무게를 추정하기 위해 상한론에서 복용량이 무게로 표기된 경우 적용되는 다양한 규칙 중 5 가지를 이용하여 炮附子와 生附子의 복용량을 추정하였다.

첫째 1 일 복용량 경우의 수에 적용하면 炮附子 1 개는 1 兩, 2 兩 또는 3 兩 중 하나에 해당한다. 다만 3 兩일 경우 3 개는 9 兩이지만 8 兩으로 해석한다. 이런 경우는 大棗, 半夏 그리고 梔子가 있다. 둘째 1 일 복용량 중 최대량은 말린 것으로는 8 兩이므로 炮附子 3 개는 8 兩이하이다. 셋째 炮附子가 포함된 처방에서 약재별 1 일 복용량은 최소량이 2 兩이므로 炮附子 1 개도 2 兩이상이다. 넷째 1 일 복용량 중 가장 일반적인 용량은 3 兩이고, 개수로 표기된 것도 지금까지 알려진 것으로는 3 兩이다. 炮附子는 1 일 복용량이 1 개가 가장 일반적이므로 1 개는 3 兩이다. 다섯째 군신좌사론으로 볼 때 附子湯은 附子 2 개가 4 兩 이상이고, 玄武湯에서 附子 1 개는 3 兩 이상이므로 이를 동시에 만족하려면 1개는 3 兩 이상이다. 이외에 상한론의 烏梅丸과 금궤요략의 黃土湯에서는 附子가 무게로 표기되어 있으므로 역시 규칙 5가지를 여기에 적용하였다.

烏梅丸의 경우 烏梅肉 300 枚, 黃連 16 兩, 乾薑 10 兩, 細辛 炮附子(去皮) 桂枝(去皮) 人蔘 黃柏 각 6 兩, 當歸 蜀椒 각 4 兩이다. 烏梅肉 300 개는 실측결과 32 兩에 해당하고, 32 兩은 乾薑 10 兩과 더불어 탕제에서는 없는 용량이다. 따라서 이를 1/2 로 줄이면 상한론의 일반 용량과 일치하며 炮附子(去皮)는 細辛, 桂枝(去皮), 人蔘, 黃柏과 더불어 각 3 兩이 된다. 炮附子 3 兩은 상한론에서 일반적인 1 일 복용량과 일치한다.

黃土湯의 경우 黃土 8 兩, 甘草 乾地黃 白朮 阿膠 黃芩 그리고 附子(炮)가 각 3 兩이다. 黃土 8 兩은 군약이고 최대량이다. 炮附子는 甘草 乾地黃 白朮 阿膠 黃芩과 더불어 3 兩이다. 炮附子 3 兩은 상한론에서 일반적인 1 일 복용량과 일치한다.

이들 7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려면 炮附子는 1 개 3 兩, 2 개 6 兩 그리고 3 개 8 兩이다. 1 兩은 6.5 g으로 추정되므로 附子 1 개는 19.5 g 이다. 이 수치를 약전과 유통규격에 적용하여 확인하였다.

중국시장에서 炮附子는 크기에 따라 1 2, 3 등급으로 구분하며 1 개 무게는 각각 40.64 g, 27.09 g 그리고 8.12 g이다. 그리고 상한론에서 炮附子 1 개는 3 兩이고 19.5 g에 해당하므로 2 등급 평균보다는 작고 3 등급 평균보다는 크다. 炮附子를 크기에 따라 1, 2, 3 등급으로 구분할 때 2 등급과 3 등급 사이므로 생산현황과도 일치한다.

生附子는 炮를 하지 않고 말린 것이며 1 개 무게는 炮附子와 동일하다. 1 개 무게를 크기에 따라 1, 2, 3 등급으로 구분할 때 1 등급이 2 등급의 1.5 배이지만 상한론에서 기준한 것은 2 등급 평균이 아니라 2 등급보다 조금 작은 것을 기준하였으므로, 큰 것은 일반크기의 2 배로 추정할 수 있다. 그런데 生附子 2 개라고 하지 않고 큰 것 1 개로 설정한 이유는 명확하지는 않다. 다만 炮附子나 生附子는 8 조각내므로 일반적으로 㕮咀하여 콩알크기로 쪼개는 것과는 다르다. 8 조각내면 生附子 2 개는 16 조각이지만, 큰 것 1 개는 8 조각이 된다. 따라서 무게는 같지만 조각 1 개는 生附子큰 것 1 개가 더 크다. 이런 예는 상한론에서 半夏는 1 일 복용량이 2.5 兩이고 깨뜨리지만, 금궤요략 大半夏湯에서 半夏는 이보다 다량이고 㕮咀하지 않고 통짜로 달이는 것을 들 수 있다.

 

결 론

炮附子와 生附子의 복용량을 상한론과 금궤요략 등에 근거하여 추정한 결과 다음과 같다.

이상의 결과 상한론에서 1 일 복용량은 炮附子가 1 개, 2 개 또는 3 개이고, 生附子는 1 개 또는 큰 것 1 개이며, 1 개는 3 兩(19.5 g), 큰 것 1 개는 6 兩(39.0 g)에 해당하며, 1 개가 가장 일반적인 용량이다.

References

  1. Kim IR.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source of Jisil. Kor J Herbol. 2005 ; 20(4) : 113-9.
  2. Kim IR. A Research on the origin and Daily Dose of Gardeniae Fructus in Shanghanlun. Kor J Herbol. 2011 ; 26(4) : 155-61. https://doi.org/10.6116/KJH.2011.26.4.155
  3. Kim IR, Pak JH. Study on one Ryang of Gui Zhi-tang. Korean J Orient Physiol Pathol. 2002 ; 16(4) : 637-41.
  4. Kim IR, Sang HC. Study on one Seong of Shanhanlun. Kor J Herbol. 2003 ; 18(3) : 15-20.
  5. Kim EH. The problems of the Kampo. Seoul : Chonpa-kwahaksa. 1998 : 231.
  6. Kim IR. Daily Dose of Zizyphi Fructus in Treatise on Cold Damage. Kor J Herbol. 2013 ; 28(1) : 51-8. https://doi.org/10.6116/kjh.2013.28.1.51
  7. Kim IR. The Origin and Daily Dose of Allii Fistulosi Bulbus in Treatise on Cold Damage Diseases. Kor J Herbol. 2014 ; 29(5) : 39-43. https://doi.org/10.6116/kjh.2014.29.5.39
  8. Jeon SH, Kim IR. Study on the Gypsium and Natril sulfus dose of 1 day and 1 time in Shanghanlun. Kor J Herbol. 2007 ; 22(4) : 45-50.
  9. Tang SW. Chongxiu Zhenhe Jingshi Zhenglei Daguan Bencao. Beijing : 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1980 : 241.
  10. Yang H. Literature research of aconitine`s dosage, processing, and dose-effect relationship in Treatise on Exogenous Febrile Diseases and Endogenous disease. 2013.
  11. Fu ZL, Zin RM, Fu YL. A study on Dose of Zhang Zhongjing Aconiti Lateralis Radix Preparata, J Tradit Chin Med. 2014 ; 55(19) : 1705-7.
  12. Lee SB. Shanghanlun Woodblock-printed Book complete collection. Beijing : XueYuan Printing Co. 2000 : 411, 421, 425, 427, 442, 466, 472, 479.
  13. Zhang ZJ. Synopsis of Prescriptions of the Golden Chamber. Beijing : 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1983 : 336.
  14. The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The Korean Pharmacopoeia Tenth Edition. Seoul : Shinilbooks. 2012 : 1146-7.
  15. Ju SW. Science of Contemporary Chinese Medicine Product. Beijing : 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1983 : 250-2

Cited by

  1. 상한론 탕제(傷寒論 湯劑)에서 대황(大黃) 1일 복용량과 추출법 vol.31, pp.3, 2016, https://doi.org/10.6116/kjh.2016.31.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