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mestic and International Experts' Perception of Policy and Direction on STEAM Education

융합인재교육(STEAM)의 정책과 실행 방향에 대한 국내외 전문가들의 인식

  • Received : 2015.10.06
  • Accepted : 2015.12.01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value, necessity and legitimacy of STEAM Education and to propose practical approaching methods for STEAM Education to be applicable in Korea through a variety of literature review, case studies and collecting suggestions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educational expert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s of domestic and foreign professionals in STEAM education. (2) To analyze policy implications for an improvement in STEAM. The following aspects of STEAM were found to be challenges in our current STEAM policy after analyzing multiple questionnaires with the professionals and case studies including their experiences, understanding, supports and directions of the policy from the governments. The results indicate that (1) there was a lack of precise and conceptual understanding of STEAM in respect to experience. Training sessions for teachers in this field to help transform their perception is necessary. Development of practical programs with an easy access is also required. It is important to get the aims of related educational activities recognized by the professionals and established standards for an evaluation. The experts perceived that a theme-based learning is the most preferred and effective approaching method and the programs that develop creative thinking and learning applicable to practice are required to promote. (2)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was a lack of programs and inducements for supporting outstanding STEAM educators. It is shown that making an appropriate environment for STEAM education takes the first priority before training numbers of teachers unilaterally, thus securing enough budget seems critical. The professionals also emphasize on developing specialized teaching materials that include diverse inter-related subjects such as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with diverse viewpoints and advanced technology. This work requires a STEAM network for teachers to link up and share their materials, documents and experiences. It is necessary to get corporations, universities, and research centers participated in the network. (3) With respect to direction, it is necessary to propose policy that makes STEAM education ordinary and more practical in the present education system. The professionals have recommended training sessions that help develop creative thinking and amalgamative problem-solving techniques. They require reducing the workload of teachers and changing teachers' perspectives towards STEAM. They further urge a tight cooperation between departments of the government related with STEAM.

이 연구의 목적은 융합인재교육(STEAM)이 가지는 가치, 필요성, 정당성을 탐색하고, 국내외 사례와 전문가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융합인재교육의 정책 및 실행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대상자는 2011학년도 전국의 초.중.고등학교에서 융합인재교육 연구학교의 실무를 담당한 교사 11명과 STEM/STEAM 교육과 관련된 국내 전문가 19명, 국외 전문가 12명이며, 이들이 소속된 기관의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논의의 대상으로 하였다. 우리나라의 융합인재교육 정책에서 고려되어야 할 점을 경험과 이해, 정책적 지원, 추진 방향의 측면에서 분석된 결과는 첫째, 경험과 이해의 측면에서 학교 현장에서 편리하게 적용하고 활동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방안이 제시되어야 하고, 이 교육 활동의 목표가 무엇이며 평가 체제와 환류에 대한 표준이 작성되어야 한다. 전문가들은 주제중심 학습이 가장 선호되는 학습이며, 창의적 사고력 개발과 실생활 적용능력을 위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된다고 인식하고 있다. 둘째, 정책적 지원의 측면에서는 우수한 STEAM 교사 양성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정책적 유인책이 부족하다. 다양한 시각과 첨단 기술을 가미한 과학기술, 공학 및 예술과 인문사회를 아우를 수 있는 교재를 개발하여 보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교사들이 활동한 내용을 서로 나누고 자료를 쉽게 얻을 수 있는 STEAM 네트워크가 필요하다. 이 네트워크에는 기업체, 대학, 연구소 등의 관련 기관이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유도가 필요하다. 셋째, 추진방향의 측면에서는 현행 교육과정에서 STEAM 교육이 자연스럽게 이루어 질 수 있는 정책 방안 제시가 필요하다. 국내외 전문가들은 창의적 사고력을 기르는 교육과 함께 융합적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교육 방향으로 나가는 것을 추천하고 있다. STEAM 교육과 관련된 정부의 부처 간의 협조에 의해서 이를 실천해 나갈 것을 요구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12). 융합인재교육의 활성화 방안 및 추진 현황. 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pp. 1-5.
  2. 권난주, 안재홍 (2012). 융합 및 통합 과학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 265-278.
  3. 권혁수, 이효녕 (2008). Motivation Issues in the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STEM) Education: A Meta-Analytic Approach. 중등교육연구, 56(3), 1-22.
  4. 김진수 (2008). 기술교육의 새로운 통합교육 방법인 STEM 교육의 탐색. 한국기술교육학회지, 7(3), 1-29.
  5. 김진수 (2012). STEAM 교육론. 서울 : 양서원.
  6. 김진숙 (2010). 창의성 교육 국제비교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과제 보고서 2010-3.
  7. 배선아, 금영충 (2010). 공업계열 전문계 고등학교 화공 분야의 STEM 교육에 대한 화공교사의 인식과 요구. 대한공업교육학회, 35(1), 44-67.
  8. 백윤수,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박종윤,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 (2011).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4), 149-171.
  9. 오성배 (2012). 미래를 위한 융합인재교육 (STEAM). 교육연구정보, 61호. 1-15.
  10. 이미경, 정은영 (2004). 학교 과학 교육에서 과학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946-958.
  11. 이효녕 (2011). STEAM 교육 시행을 위한 미국의 STEM교육 고찰. 과학창의, 161(2), 8-11.
  12. 이효녕, 오영재, 권혁수, 박경숙, 한인기, 정현일, 이성수, 오희진, 남정철, 손동일, 서보현, 안혜령 (2011). 통합 교육과 통합 STEM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교원교육, 27(4), 117-139.
  13. 이효녕, 손동일, 권혁수, 박경숙, 한인기, 정현일, 이성수, 오희진, 남정철, 오영재, 방성혜 (2012). 통합 STEM 교육에 대한 중등 교사의 인식과 요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1), 30-45.
  14.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융합인재교육의 정책 소개.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pp. 1-10.
  15. Kwon, H., & Park, K. (2009). Engineering design: A facilitator for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STEM) education. 중등교육연구, 33(2), 207-219.
  16.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https://doi.org/10.1111/j.1744-6570.1975.tb01393.x
  17. Merriam, S. B. (2009).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to design and implementa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Publishers.
  18. Pink, D. (2006). A Whole new mind: Why right-brains will rule the future. Pittsburgh: Post-Gazette.
  19. Sanders, M. (2011). An introduction to integrative STEM education. STEAM 교육국제세미나 자료집, 4-25, 이화여자대학교.
  20. Sanders, M., Kwon, H. Park, K., & Lee, H. (2011). Integrative STE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Education: Contemporary trends and issues. 중등교육연구, 59(3), 729-762.
  21. Sanders, M., & Wells, J. (2011). Integrative STEM Education definition. Available: http://www.soe.vt.edu/istemed.
  22. Trilling, B., & Fadel, C. (2012). 21st Century Skill: Learning for life in our times. Hoboken, New Jersey: Jossey-B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