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exercise program on activity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dementia : A Systematic Review

운동프로그램이 치매환자의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Kim, Jae-Nam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
  • Lee, chang dae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
  • Park, Ji-Hyuk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Yonsei University)
  • 김재남 (연세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 이창대 (연세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 박지혁 (연세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Received : 2015.07.01
  • Accepted : 2015.08.03
  • Published : 2015.08.30

Abstract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linical effect of exercise program used for treatment of activity of daily living skill in patients with dementia. Methods : We searched foreign studies registered from 2007 to 2014 based on PubMed database, using the following search terms : dementia, alzheimer disease, cognitive impairment, exercise program, physical activity, activity of daily living, ADL. Total 5 studies included from 215 studies after analysis papers. Results : selected paper's average pedro score was 6, Katz index of ADLs, Bathel ADL index, IADL activity of daily living assessment tool were used.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s of activity of daily living skill in the use of exercise program groups and it prevent decreased of activity of daily living skill. Conclusion : This study provide evidence of exercise program applied in clinical use and demonstrate effective on activity of daily living ability. This results expected to help suggesting basic data for exercise program to improve activity of daily living ability and making effective treatment approach method in the future.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 프로그램이 치매환자의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연구에 대해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2007년부터 2014년까지 국외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Pubmed를 통해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용어로는 'dementia',' alzheimer disease', 'exercise program', 'physical activity', 'activity of daily living', 'ADL'을 사용하였다. 최초 검색된 논문은 215편 이었으나 프로토콜을 거쳐 5편의 연구가 선정 되었다. 결과 : 선정된 논문의 Pedro score는 평균 7점으로 높은 편이었으며, 일상생활측정도구로 Katz index of ADLs, Bathel ADL index, IADL이 사용되었다. 연구들의 결과로는 실험군에서의 독립적인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독립적인 일상생활활동수행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늦추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한 운동프로그램의 임상적 적용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으며, 연구결과 독립적인 일상생활활동을 수행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향후 임상가들이 치매환자의 독립적인 일상생활수행능력을 향상키기 위한 운동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효과적인 치료접근법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Cited by

  1. 시설 거주 치매노인의 활동 참여, 정서,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 vol.17, pp.5,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7.17.05.045
  2. 클라이언트 중심 가정방문 일상생활훈련이 인지지원등급, 노인의 인지기능, 작업수행, 일상생활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vol.8, pp.4, 2020, https://doi.org/10.15268/ksim.2020.8.4.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