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ffect of Web-based Research Ethics Education

웹기반 연구윤리교육의 유효성에 대한 실증적 연구

  • Received : 2015.09.04
  • Accepted : 2015.12.22
  • Published : 2016.01.30

Abstract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effect of web-based research ethics education to principal investigator who conduct national research project. The web-based research ethics education program was devised and operate for each research field. After educa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understanding and moral judgement were investigated. The research results revealed that education was improving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but also understanding whereas moral judgement was not. These findings imply that moral judgement was not enhancing though short-term research ethics education as preceding research. Moreover, this paper speaks to a supplemented program with methods of ethics education which needs more interactive communication within long-term education for enhancing effectiveness of instruction.

본 연구는 국가연구개발과제를 수행하는 연구책임자를 대상으로 웹기반 연구윤리 교육의 유효성을 실험연구를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연구책임자를 연구분야별로 분류하여 연구윤리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고 웹상에서 교육을 실시한 후에 교육만족도, 교육이해도, 도덕판단력 등의 교육 유효성을 측정하였다. 연구 분석결과 교육 사후의 교육만족도와 연구윤리에 대한 교육이해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연구윤리교육 후 도덕판단력에는 큰 변화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단기적인 연구윤리교육이 교육판단력을 높여주지는 못한다는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부합하는 것이다. 끝으로 연구윤리교육의 유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연구자에 대한 장기적인 웹기반 연구윤리교육이 필요하며,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한 학습방식의 보완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해주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2013년도 연구개발 활동 조사결과
  2. 이원용 (2012). 국내 연구윤리 활동 실태 조사. 분석. 한국연구재단
  3. Resnik, A. Shamoo, and S. Kirinsky (2006). Fraudulent human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in South Korea : lesson leared. Accountability in Research, Vol.13, 103-108
  4. Nicholas H. Steneck and Ruth Ellen Bulger AM (2007). The History, Purpose, and Future of Instuction in the Responsible Conduct of Research. Academic Medicine, Vol.82, 829 https://doi.org/10.1097/ACM.0b013e31812f7d4d
  5. Piaget J (1932). Moral judgement of children. M, Gabain, Free Press
  6. Kohlberg L (1976). Moral stages and moralization. The Cognitive Developement. New York
  7. Rest JR, Barnett R, Bebeau M, Deemer D, Getz L, Schlaefli J, Thoma S, Volker J (1986). Moral development : advances in research and theory. New York : Praeger press, 75-81
  8. Rest JR (1979). Development in judging moral issues. Minneapolis, MN; University of Minnesota
  9. 김주연 (2005). 원격교육과 면대면 교육매체의 특성에 따른 효과연구.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10. Stawarski & Gadd (2010). Evaluating mLearning, ASTD handbook, 309
  11. 이상수 (2007). Blended learning의 의미와 상호작용 설계원리에 대한 고찰.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3(2), 225-250.
  12. Aragon, S. R, Johnson, S. D, & Shaik, N. (2002). The influence of learning style preferences on student in online versus face to face environment, The America Journal of Education, 16(4), 224-227.
  13. 박성열, 김수옥, 남민우, 차승복, 박혜진 (2010), 농업기초기술 및 조경과목의 이러닝과 면대면 수업 방법에 따른 학습효과성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제42권, 제2호, 31-52
  14. 박성열, 김수욱, 유병민, 남민우, 김학섭, 이현아 (2006). 친환경농업 애니메이션 e-learning 컨텐츠 교육효과성 검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2), 137-152.
  15. 최미나 (2007). 동일 교수자의 동일 수업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 학습환경에 따른 학습효과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3(4), 5-23.
  16. 지식경제부 (2014). 이러닝산업실태조사. 정보통신산업진흥원
  17. Doering, A. (2006). Adventure learning: Transformative hybrid online education. Distance Education, 27(2), 197-215. https://doi.org/10.1080/01587910600789571
  18. Sanprasert, N. (2010). The application of a course management system to enhance autonomy in learn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System, 38(1), 109-123. https://doi.org/10.1016/j.system.2009.12.010
  19. Paul Braunschweiger, Kenneth W. Goodman (2007). The CITI Program, Academic Medicine, Vol.82, 861. https://doi.org/10.1097/ACM.0b013e31812f7770
  20. Kirkpatrick D. L. (1959). Techniques for evaluating training programs, Journal of American Society for Training and Development, 13
  21. 최용성 (2007). 연구윤리교육의 필요성과 방향성에 관한 연구, 윤리교육연구. 제13호, 281-283.
  22. Benkeser P. J., et al. (2005). Challenges and apportunities in ethics in biomedical engineering Proceedings, Americ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23. 이인재, 최경석, 홍석영 (2007). 국내연구윤리 활동실태 조사.분석. 한국학술진흥재단
  24. Ishida, C. (2006). How Do Scores of DIT and MJT Differ? A Critical Assessment of the Use of Alternative Moral Development Scales in Studies of Business Ethics. Journal of Business Ethics, 67, 63-74. https://doi.org/10.1007/s10551-006-9005-9
  25. Moon YL (1987). A study of test item bias in the measurement of moral judgment development, Doctor's Thesi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26. 문용린 (2008). 한국판 도덕판단력검사 세 가지 지수의 타당도 비교.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22, 783-800
  27. 강이철 (2002). 코스웨어 설계를 위한 교육공학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28.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3). 원격교육연수원 콘텐츠 평가지침
  29. 김미량 (2003), 교육용 웹 사이트 평가를 위한 준거의 개발 및 적용, 컴퓨터교육연구, vol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