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tudents' Life and Educational Experiences at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충북대학교 학생들의 학생생활·교육경험 실태분석

  • Received : 2016.10.04
  • Accepted : 2016.10.18
  • Published : 2016.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propose policy alternatives by examining students' educational experiences at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BNU). Some of the outstanding research findings of the study as follows. Students at CBNU think that they are capable of team-working and utilizing internet while less so with foreign language skill. With regard to academic achievement,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have seen a relatively low outcome in foreign language competency. In terms of their job placement, CBNU students highly recognize their logical thinking skill, creativity, and activity, whereas lower satisfaction with social service, study abroad, and internship experience. For further development of the survey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additional items included to make a sophisticated analysis possible such as scholarship, part-time job, educational outcome. This is expected to allow researchers to tab into the effect of finance of CBNU students. More detailed information on students' characteristics also need to be added; collaborative learning, student faculty interaction, co-work with students from diverse background, etc., which would allow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extra-curricula activ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충북대학교 대학생들의 학생생활과 교육경험 인식조사를 통해 대학 만족의 정도를 도출하여, 대학 교육의 질향상을 위한 정책결정을 이끌어냄과 실태분석의 발전적 방향 모색에 있다. 연구 과정에서 드러난 몇 가지 시사점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충북대학교 학생들은 자신들의 팀과제수행능력이나 인터넷활용능력을 높게 평가하는 반면에 자신들의 외국어 능력이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대학생활을 통해서도 외국어 실력과 관련해서는 교육성과가 상대적으로 낮다고 인식하고 있다. 취업과 관련하여 자신의 논리적 사고능력, 개성, 적극성 등을 높게 평가하고 있는 반면, 사회봉사, 해외연수, 인턴체험 등 자신의 취업관련경험에 대해서는 낮게 평가하고 있다. 장학금, 아르바이트, 교육 성과와의 관계 분석에서 언급하였듯이 학생의 경제적 수입원의 종류 및 비율에 관한 문항이 추가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재정 상태와 관련한 정보를 보다 정교화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교육 성과 관련 변인 탐색 등 다양한 연구에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학생 유형화 연구에서 언급하였듯이, 학생들의 협력 학습, 교수와의 관계, 다양한 배경의 동료와의 협력, 다양한 교육 현장의 경험과 같은 문항들이 추가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정규 교육과정 이외의 영역에서 학생들이 어떤 교육경험을 하고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보다 풍부하게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만수, 박상규(2011). 대학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품질이 학생만족, 신뢰, 몰입과 학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고객만족경영연구, 13(1), 129-149.
  2. 김정희, 박동진(2012). 대학 교육서비스가 학생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정책교육연구, 8(3), 47-68.
  3. 송홍준(2016). 대학교육 만족도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8), 556-567. https://doi.org/10.5392/JKCA.2016.16.08.556
  4. 신소영, 권성연(2014). 학생 특성별 대학교육 만족요인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 한국교육학연구, 20(1), 253-280.
  5. 이길재, 이정미(2015). 대학교육 만족도 및 교수학습 성과 영향요인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3(1), 105-127.
  6. 최영준(2013). 대학생의 대학교육 만족도 변인과 변인 영향력에 관한 연구. 한국성인교육학회, 16(3), 61-83.
  7. Coates, H. (2007) A Model of Online and General Campus-Based Student Engagement. Assessment and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32(2), 121-141. https://doi.org/10.1080/02602930600801878
  8. Elliott, K. M., Shin, D. (2002). Student Satisfaction: A Alternative Approach to Assessing this important concept. Journal of Higher Education Policy and Management, 24(2), 197-209. https://doi.org/10.1080/1360080022000013518
  9. Hu, S., McComick, A. C. (2012). An Engagement Based Student Typology and its Relationship to College outcomes. Springer, 53, 738-7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