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Smart Phone Application for the Safe Operation of Inland Vessels

내수면 선박의 안전운항을 위한 스마트폰기반 어플리케이션 개발

  • Received : 2015.11.19
  • Accepted : 2015.12.22
  • Published : 2016.04.28

Abstract

Recently, due to the increment of national income and the living standard of citizens, the leasure business has been dramatically expanded. Among the business, inland water activities such as cruise tour or water taxi have drawn attention from the people. As more people come for a new pleasure, the frequency and the number of services continues to rise yet the safety of people values less recently. In fact, the number of relating accidents also has risen accordingly. In order to prevent such accidents in inland waters, the vessels' real time voyage data, the advanced warning system and the emergency rescuing system are required. In this paper, we have developed navigation guiding application for safety of passengers and vessels in inland waters. Navigation guiding applications not only provide Inland Electronic Navigational Chart(IENC) and vessel information but also allows communication between traffic service center and nearby vessels in case of an emergency situation. In order to implement Navigation guiding applications, developing Inland Electronic Navigational Chart was inevitable. Therefore, IENC of Han River, has developed based on measuring the water depth using multi-beam echo sounder system.

최근 주 5일제 근무로 인한 여가시간 증가와 국민 소득수준의 향상으로 내수면에서의 레저 활동 및 관광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내수면을 운항하는 선박과 레저장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이로 인해 내수면에서의 선박사고와 인명 사고 발생 가능성도 크게 높아지고 있다. 내수면에서 발생하는 선박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선박의 항해정보와 위험상황 경고 및 긴급구조 지원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내수면에서 운항하는 선박 및 승객의 안전 확보를 위하여 현재 보급률이 우수한 스마트폰 기반의 운행도우미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운행도우미 어플리케이션은 화면상에 내수면 전자해도와 자선 정보를 표시하고, 선박 사고 시 관제센터 및 주변 선박과 긴급구조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한다. 이러한 운행도우미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내수면 전자해도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선박통행량과 거주인구가 가장 많은 한강(영등포, 광진구)일대를 대상으로 멀티빔 수심측량을 통해 수치지형도를 작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자해도를 제작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정철민, 양기근, "효율적 내수면 안전관리 : 수난 구호 및 수상안전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3호, pp. 101-113,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3.101
  2. 신동영, 이병문, "효과적인 응급대응을 위한 소형 선박의 위치기반 스마트케어시스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8호, pp. 59-68,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8.059
  3. 정성훈, 임재홍, "전자해도 기반의 해상작업 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20권, 제3호, pp. 189-195, 2006.
  4. 박계각, 홍태호, 서기열, "퍼지이론을 이용한 운행 도우미시스템의 구축," 퍼지 및 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제15권, 제3호, pp. 369-374, 2005.
  5.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디지털 해상통신 기술 개발 동향과 미래," 방송통신기술 이슈&전망, 제41호, 2014.
  6. 정성훈, 임재홍, "전자해도 기반의 해상작업 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0권, 제3호, pp. 189-195, 2006. https://doi.org/10.5394/KINPR.2006.30.3.189
  7. 김창제, 예병덕, 송재욱, 김원욱, 김국주, "전자해도의 정보를 이용한 해상환경 데이터베이스 기본 모듈의 개발," 해양환경안전학회지, 제9권, 제1호, pp. 73-77, 2003.
  8. IHO, Specifications for Chart Content and Display Aspects of ECDIS," Special Publication No. 52, 1996.
  9. IMO, "IMO Performance Standard for ECDIS," 1995.
  10. 박종민, 오세웅, 유기현, "전자해도 통합공급서비스 체계구축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4권, 제1호, pp. 1-8, 2010. https://doi.org/10.5394/KINPR.2010.34.1.001
  11. IHO, "IHO Transfer Standard for Digital Hydrographic Data Edition3.0," Special publication No. 57, 1996.
  12. http://www.chartworld.com/web/products/inland-encs
  13. http://www.tec.army.mil/echarts/
  14. US Army Corps of Engineers, "USACE Inland Electronic Navigational Charts(IENC)," BUILDING STRONG, 2014.
  15. 국토해양부, 차세대 전자해도 개발연구 최종보고서, 2008.
  16. 박종민, 오세웅, 송용수, "다이나믹 전자해도 개발연구,"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제12권, 제4호, pp. 296-301, 2009.
  17. Inland Electronic Navigational Chart Encoding Guide Edition 1, Version 3.1, 2008.
  18. 국립해양조사원, 수로도서지 목록, 2015.
  19. http://www.khoa.go.kr/
  20. 강성진, 박문수, 김창제, "내수면 선박의 항행안전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항만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 66-68, 2013.
  21. D. R. Herlihy, B. F. Hillard, and T. D. Rulon,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Sea Beam Patch Test Manual : Ocean Mapping Section," Office of Charting and Geodetic Services, Nos, 34,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