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지역사회건강조사를 이용한 의료급여수급권자와 건강보험가입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비교 연구

Difference i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etween Medical Aid Beneficiaries and Health Insurance Beneficiaries using the Community Health Survey

  • 홍주연 (충북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의료정보학 및 관리학교실) ;
  • 김가중 (극동대학교 방사선학과)
  • 투고 : 2016.01.20
  • 심사 : 2016.03.09
  • 발행 : 2016.05.28

초록

본 연구에 의료급여수급권자와 건강보험가입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질병이환, 의료이용, 건강 관련 삶의 질 등에 대한 포괄적인 평가를 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2013년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경제적 특성, 건강행태, 질병이환, 의료이용 등 다양한 요인들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급여수급권자가 건강보험가입자보다 사회경제적 특성, 건강행태, 의료이용이 좋지 않아 건강관련 삶의 질이 낮은 것을 확인을 할 수 있었고 사회경제적 특성을 통제하고도 비교 해본 결과에서도 건강행태, 질병이환, 의료이용이 좋지 않아 건강관련 삶의 질이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의료급여수급권자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만성질환 관리, 스트레스와 우울감 관리 등의 정신 건강과 일상 활동 능력의 향상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적당한 음주습관과 규칙적인 운동, 식습관 등 건강 증진 행위를 촉진하는 데 중점을 둔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을 위해 국가적 관심이 요구 된다.

This study attempts to comprehensively evaluate differences i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 disease morbidity, medical car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medical aid beneficiaries and health insurance beneficiaries. To achieve this, this study analyzes primitive data of community health survey that each health center had recently conducted in 2013. Study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 disease morbidity, medical care showed that various factors affect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t was found that medical aid beneficiaries showed lower health related-quality of life than health insurance beneficiaries because not goo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 disease morbidity, and medical care and even as a comparative result after controlling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medical aid beneficiarie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lower because of not good health behavior, disease morbidity, and medical care. Therefore, to improv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medical aid beneficiaries as effectively as possible, improving mental health including managing chronic disease and stress and depression and daily living activities is above all important and our national concern with developing systematic program and policies focusing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such as moderate drinking habits and regular exercise and eating habits is required.

키워드

참고문헌

  1. 유원섭, "최근 의료급여제도 변화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복지동향, 제5권, pp.53-63, 2008.
  2. 보건복지부, "2012년도 의료급여사업안내," 2012.
  3. 안양희, 김의숙, 고일선, "일 시범 지역 의료급여 수급권자 대상 텔레케어 사례관리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1권, 제3호, pp.351-361, 2010.
  4. 국민건강보험공단, "2010년 상반기 건강보험주요통계," 2010.
  5. 신영석, 최병호, 신현웅, 황도경, 윤석준, "의료급여환자 의료지출실태 및 급여 개선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6. 신선미, 김의숙, 이희우, "의료급여 외래 과다이용자의 의료이용량에 대한 자기인식," 보건행정학회지, 제19권, 제2호, pp.21-35, 2009.
  7. 이익섭, 홍영수, "만성질환을 가진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사회적 지원과 삶의 질: 성별, 질환별, 거주 지역별 비교," 한국사회복지학, 제57권, 제2호, pp.71-92, 2005.
  8. 윤경일, "건강보험과 의료급여 암 환자의 의료이용 행태와 치료결과 비교," 보건정보통계학회지, 제39권, 제1호, pp.42-59, 2014
  9. 유호신, 임미영, 이주열, "전국 차상위계층 주민의 건강행위와 보건소이용형태에 관한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2권, 제1호, pp.60-70, 2001.
  10. 임미영, 유호신, "전국저소득층의 보건의료 이용과 영향요인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2권, 3호, pp.589-599, 2001.
  11. 김대중 외, 2012년 한국의료패널을 활용한 의료 이용 심층연구보고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12. 권순석, 이영훈, 최진수, 신민호, 김혜연, 최성우, "A일개 군지역 암등록자료의 국민건강보험 보장 유무에 따른 암 생존율 차이," 보건행정학회지, 제19권, 제2호, pp.127-134, 2009.
  13. 홍선우,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간호학회지, 제39권, 제4호, pp.480-489, 2009.
  14. 전은영, 최연희, "취약계층 남성노인의 연령별 건강관련 삶의 질과 영향요인," 대한간호학회지, 제40권, 제3호, pp.400-410, 2010. https://doi.org/10.4040/jkan.2010.40.3.400
  15. https://chs.cdc.go.kr/chs/index.do
  16. 이현옥, 김교성, "건강보험가입자와 의료급여수급권자의 의료이용과 건강관련 삶의 질,"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44권, 제1호, pp.187-210, 2015.
  17. 김창숙, "우리나라 국민기초생활수급자의 사회경제적인 특성과 구강건강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3권, 제6호, pp.995-1004, 2013. https://doi.org/10.13065/jksdh.2013.13.06.995
  18. 이채원, "성인당뇨병환자의 건강수준 및 질병관리장애요인; 의료급여환자와 건강보험환자의 비교," 한국사회복지학, 제60권, 제4호, pp.231-251, 2008.
  19. 김미나, 소득계층에 따른 미충족의료 관련요인의 차이,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0. 정영호, "한국의료패널로 본 우리나라 성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보건복지포럼, 제182권, 제1호, pp.6-14, 2011.
  21. 김진구, "저소득층의 의료이용과 욕구 미충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 경기지역 자활산업참여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34권, pp.5-33, 2007.
  22. 송경신, 임국환, 이준협, "미충족 의료에 미치는 관련 요인 분석," 대한보건연구, 제37권, 제1호, pp.131-140, 2011.
  23. 허현숙, 만성질환 저소득층 가구의 미충족의료 및 과부담의료비 비교,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24. 이보우, 우리나라 미충족 의료의 지역간 변이 연구, 건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25. 배민희, 소득수준에 따른 대사증후군의 구성요소 수와 삶의 질,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26. Y. Jing and J. E. Hesser, "'Results from Rhode IsIand's 2002 behavioral risk facto survey," Associations betwee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demographics and health risks, Vol.4, No.1, pp.1-14, 2006.
  27. 최윤진, 연령에 따른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영신학대학교, 박사논문, 2009.
  28. 이동호, 빈성오, "노인들의 질환별 유병여부와 건강관련 삶의 질 구조모형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호, pp.216-224,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