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tivation of Culture and Content Industry and Necessity of Security Industry & Concert Hall Safety

문화콘텐츠 산업의 활성화와 공연장 안전 및 보안 산업의 필요성

  • Received : 2016.04.20
  • Accepted : 2016.05.29
  • Published : 2016.05.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there viewing at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and awareness of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targeting college students for the activation of the domestic cultural content industry. And we want to find the need of the security industry & Concert Hall Safety. Recent worldwide it has occurred 'Soft target' terror targeting unspecified civilian in the cultural space of theater and music venues, stadiums etc. But security and safety systems against terror in Korea are very deficient situation. US security market has increased sales significantly interest in increasing against crime and terrorism prevention and depending on the price cut and technology development. It is expected to require a security industry in a variety of applications to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development about Korean pop music and theatrical performances, and internet and mobile games stc.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문화콘텐츠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문화콘텐츠 산업에 관한 인식과 향후 발전방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더불어 공연장 안정 및 보안 산업의 필요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최근 세계적으로 극장 및 공연장, 경기장 등 문화공간에서 불특정 민간인을 대상으로 '소프트 타깃' 테러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이에 대비한 보안 및 안전시스템이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미국의 보안시장은 범죄 및 테러 방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기술발전과 가격인하에 따라 매출액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국내 대중음악 및 연극 공연과 인터넷 및 모바일 게임 등 문화콘텐츠산업이 발달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보안 산업이 필요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정수, "문화산업에의 IT 활용 확대와 표준화 과제", KIET 산업경제분석, pp.26-35, 2006.
  2. 장우석, 안중기, "콘텐츠산업의 시장 현황과 시사점", 현대경제연구원 VIP REPORT, pp.1-24, 2015.
  3.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문화콘텐츠 산업 활성화를 위한 여론조사 결과 보고서", pp.1-22, 2008.
  4. 김세훈, "문화예술과 콘텐츠 산업 융합 활성화 방안", 문화산업연구, Vol.13, No.3, pp.45-53, 2013.
  5. 최종렬, 김동환, 서해숙, 전충헌, "콘텐츠 가치평가 시스템 개발을 통한 지역 문화콘텐츠산업 활성화 연구", 인문콘텐츠, Vol.17, pp.253-277, 2010.
  6. 김선정, "문화콘텐츠 산업 수출현황과 활성화 방안", 국제무역 동향/연구보고서, pp.1-81, 2009.
  7. 정황용, "항공보안요원의 직무만족요인과 서비스 제공의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항공대학교 석사논문, 2012.
  8. 한국콘텐츠진흥원, 2014 콘텐츠 산업 백서, 연차보고서, pp.1-412, 2015.
  9. 방송통신위원회, "우리나라 다양한 콘텐츠 산업의 활성화 방안", 방송통신 2010 핵심과제, pp.1-16, 2010.
  10. 한국콘텐츠진흥원, 2014 콘텐츠산업 통계, 2015.
  11. 한국인터넷진흥원, 세계 지식정보보안 산업 비교 분석 : 지식정보보안 산업 심층 분석보고서, 연구자료, pp.1-61, 2013.
  12. 정수민, "보안산업, 진화하다", 스몰캡 Issue Report, 하나대투증권, pp.1-19, 2013.
  13. 중앙일보, "한국, 불특정 민간인 대상 테러에 무방비 상태다", 2015.
  14. 인포더, "미국 물리보안 시장 전망 : 물리보안제품, 미국 조달시장 공략법", 시큐리티월드, Vol.224, pp.84-85, 2015.
  15. 방보경, "물리적 보안 시장을 통해 보는 미국 산업동향", KOTRA 해외비즈니스정보포탈, 2015.
  16. Ken Research, Security Sales and Integration Association, 2013.
  17. 네이버 블로그 :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