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경호·경찰직 요원의 안전욕구가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Affect the Safety needs of Military Personnel Guard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 김진환 (용인대학교 경호학과) ;
  • 김상진 (용인대학교 학점은행제 경호비서학전공(항공보안))
  • 투고 : 2016.04.01
  • 심사 : 2016.05.20
  • 발행 : 2016.05.30

초록

이 연구는 군 경호 경찰직 요원들의 안전욕구가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서울, 경기도, 대전, 대구, 부산에 소재하고 있는 군부대(10개 헌병부대)의 헌병부사관 및 사병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유층집락무선표집법을 통하여 2015년 10월 20일부터 11월 30일까지 40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300부를 배부한 후 불성실하거나 극단치가 있는 설문지 41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259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1.0, AMOS 21.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으며, 통계적 유의 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과 절차에 따라서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안전욕구는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조직몰입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 되었으며, 조직몰입은 안전욕구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부분적으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Questionnaires were deployed total of 320 and the recovered 259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using SPSS21.0, Amos21.0. Statistical analysis was to test the hypothesis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05. Thes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method and procedure is as follows. Safety need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investigated as part of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safety need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시성, 이창원, 한국 국방조직 구성신 분별 효과적 리더십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5(2): 111-139. 2011.
  2. 김현태, 군 조직 특성과 리더십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3. 국방부, 내부행정자료, 국방부조사본부: 헌병속보, 2014, 7.
  4. 손대선 기자, sds1105@newsis.com, 2014, 뉴스.
  5. 김성우, 육군 부사관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6. 박충민, 군조직 간부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7. 권상조, 군 초급간부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소진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8. 박문상, 부사관의 역할 정체성, 모호성, 갈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9. Maslow, A. H. "A Theroy of Human Motivation". Psychological Review 50(July 1943).
  10. Herzbergh, F. B. Work And Nature Of Man Cleveland. Ohio: The World Publishing Co. Cleveland. 67-72. 1966.
  11. 이정수, 군조직 구성원의 욕구속성과 직무특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12. 조대붕, 인간의 동기와 성격, 서울 교육과학사, 1992.
  13. Mitchell Vance F & Pravin Moudgill. "Measurement ofMaslow's Need Hierachy". Organizational Behavior & Human Performance, Vol. 16, 334-349, 1976. https://doi.org/10.1016/0030-5073(76)90020-9
  14. Porter. L. W. "A Study of Percieved Need Satisfaction in bottom & Middle Management Job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45, 1-10, 1975.
  15. 강종천, 호텔관리자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36-48, 2004.
  16. 류병곤, 조직구조와 조직문화가 변혁적, 거래적 리더십과 조직유효성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 연구,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51-53, 2011.
  17. 도윤경, 조직유효성 결정요인으로서의 조직공정성과 조직문화, 개인특성 및 상사에 대한 신뢰의 관계 연구, 배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18. 김병창, 조직 코미트먼트와 직무 인볼 트먼트가 조직유효성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2.
  19. Buchanan, B, "Building Organizationa Commitment".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9 : 533, 1978.
  20. 박정도, 전문직업군인의 조직공정성 지각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21. Mowday, R.T., Steer, R.M., & Porter, L.W.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4, pp.224-247, 1979. https://doi.org/10.1016/0001-8791(79)90072-1
  22. 김진환, 신변보호업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민간경비학회보, 제14권, 2009.
  23. 정연완, 민간경비조직 구성원의 셀프리더십과 조직유효성과의 관계, 용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24. 채신석, 서비스 접점종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직무 만족과 고객지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pp.13-28, 2007.
  25. Szilagyi, A.D. & Wallace, M. J. Organizational Behavior and Performance, 5thed., Scott, Foresman and Company, Illinois, 1990.
  26. Locke, E.A.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Handbook of Industrial an Organizational psychology, Rand-Mcnally, pp. 1302-1312. 1976.
  27. 박충민, 군조직 간부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