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상한론 탕제(傷寒論 湯劑)에서 대황(大黃) 1일 복용량과 추출법

The Daily Dose and Decoct Method of Rhubarb in Treatise on Cold Damage Diseases

  • 김인락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한의학과)
  • Kim, In-Rak (Dept. of Korea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투고 : 2016.04.12
  • 심사 : 2016.05.16
  • 발행 : 2016.05.30

초록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ume the size of sliced piece, daily dose and extracting Method of Rhubarb in Treatise on Cold Damage Diseases.Methods : I contrast results of recent studies with assuming results based on original text of Treatise on Cold Damage Diseases.Results : Daily dose was 6, 4 or 2 Ryang in case of cutting Rhubarb in bean-size. These prescriptions were decocted with water or sinked in boiled water. Another daily doses were large baduk-piece size 6 units and baduk-piece size 6 units in case of cutting Rhubarb in size bigger than bean. The former was used in adding to the Jisilchijasi-tang in case of constipation, the latter was used in Sihogayonggolmoryeo-tang and Jeodang-tang. The size of large baduk-piece was 2.32 cm in width, 4.64 cm in length, 4.3 g in weight, and the length and weight of baduk-piece was half of that was. Two sizes of Rhubarbs were sunk in water for 12 hours. After decocting the other ingredients, mixed Rhubarb extraction and Rhubarb, and then boiled it for 1 minute.Conclusions : From this study, daily dose of Rhubarb was 6, 4 or 2 Ryang and the 6 pieces of large baduk-piece or baduk-piece are respectively 4 or 2 Ryang. The extracting methods was decocting, sinking in boiled water for short time, sinking in water for long time and then mixing these with other decocted solution.

키워드

Ⅰ. 서 론

傷寒論 처방에서 주요 제형은 湯劑, 散劑 그리고 丸劑이고, 이중 湯劑가 가장 일반적이다. 湯劑에서 약재별 복용량은 무게, 부피 또는 개수로 표기되어있다. 무게단위는 兩, 斤 그리고 銖이고, 부피단위는 升, 斗 그리고 合이다. 약재별 1 일 복용량은 무게로는 1, 2, 3, 4, 5, 6, 8 또는 16 兩이고, 일반적으로는 3 兩이지만 炙甘草는 2 兩이다1,2). 1 兩을 현대도량형인 g이나 mL로 환산하는 데는 이론이 분분하고, 개수로 표기된 것은 실측이 가능하지만 개체마다 크기가 다양하다는데 어려움이 있다. 최근 김 등은 小柴胡湯에서 半夏가 1/2 升이고 이를 1/3 로 줄인 柴胡加芒硝湯에서는 半夏가 5 개 또는 20 銖인 것에 착안하여 1 兩은 6.5 g, 1 升은 약 65 mL로 추정하였다3,4). 개수로 표기된 것도 일반용량은 大棗核을 제거하고 잘 말린 것 12 개와 梔子 14 개와 生附子 1 개와 炮附子 1 개가 3 兩, 半夏 15 개가 2.5 양, 枳實去瓤核 4 개와 葱白 9 개가 2 兩이므로3,5-9) 일반용량은 무게로 표기된 것과 일치한다. 부피를 升, 斗, 合으로 표기하지 않고 사물에 비유한 것으로는 石膏 鷄卵大, 蕘花 鷄卵大, 竹葉 2 把, 大黃 博棋子크기나 棋子크기가 있다. 이중 石膏 鷄卵大 1 개는 16양이고10) 나머지는 아직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번 연구는 大黃의 1 일 복용량과 추출법에 관한 것이다. 大黃은 神農本草經 하품약에 처음 수록되었고 下瘀血,血閉,寒熱,破癥瘕,積聚,留飮,宿食,蕩滌腸胃,推陳致新,通利水穀,調中化食,安和五藏한다 하였다11). 대한민국약전 제 11 개정(KP 11)에는 장엽대황 (掌葉大黃) Rheum palmatum Linné, 탕구트대황 Rheum tanguticum Maximowicz ex Balf. 또는 약용대황 (藥用大黃) Rheum officinale Baillon (여뀌과 Polygonaceae)의 뿌리 및 뿌리줄기로서 주피를 제거한 것이라 정의하였다12). 한국에서는 생산되지 않으므로 전량 중국에서 수입되고 있다. 傷寒論에서 大黃이 사용된 처방은 湯劑로는 大承氣湯, 大柴胡湯, 桂枝加大黃湯 등 13개이고, 丸劑로는 麻子仁丸과 大陷胸丸 그리고 抵當丸 등 3개이다13). 이들 湯劑를 표준화하려면 약재표준화 이외에 용량과 추출법 표준화도 필요하다. 따라서 大黃의 복용량과 전탕법을 傷寒論의 원문에 근거하여 연구한 결과 결론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Ⅱ. 재료 및 방법

1. 재료

傷寒論의 주요판본으로는 千金翼方, 康治本, 康平本, 宋本, 玉函經, 注解傷寒論 그리고 桂林古本이고, 임상서로는 備急千金要方, 본초서로는 重修政和經史證類備用本草이고, 이외에 현대의 연구결과를 재료로 하였다.

2. 방법

傷寒論원문에서 大黃 1일 복용량 경우의 수와 博棋子와 棋子의 모양과 크기 그리고 전탕법을 傷寒論의 다양한 판본과 주치증을 고려하고 임상서와 본초서의 내용을 비교하고, 현대 연구결과와 실측치를 대비하였다.

3. 결과

1) 大黃 1일 복용량이 6兩이고 콩알크기로 쪼개는 경우

傷寒論에서 大黃 절단크기는 㕮咀하여 콩알크기로 쪼개는 경우와 博棋子크기나 棋子크기로 쪼개는 경우로 구분된다. 콩알크기로 쪼개는 경우는 1일 복용량이 6兩, 4兩 그리고 2兩으로 세분된다. 6兩인 경우는 大陷胸湯이 유일하다. 大陷胸湯은 瀉下가 주목적이므로 약을 복용하고나서 설사를 심하게 하면 치료목적이 달성된 것으로 판단하고 복용을 중단한다.

2) 大黃 1일 복용량이 4兩이고 콩알크기로 쪼개는 경우

大黃 1일 복용량이 4兩이고 콩알크기로 쪼개는 경우는 調胃承氣湯, 大承氣湯, 小承氣湯 그리고 桃核承氣湯이다. 承氣湯류도 瀉下가 주목적이므로 복용하고나서 설사를 하면 치료목적이 달성된 것으로 판단하고 복용을 중단한다.

3) 大黃 1일 복용량이 2兩이고 콩알크기로 쪼개는 경우

大黃 1일 복용량이 2兩이고 콩알크기로 쪼개는 경우는 桂枝加大黃湯, 大柴胡湯, 茵陳蒿湯, 大黃黃連瀉心湯 그리고 附子瀉心湯이다. 뒤의 두 처방은 뜨거운 물에 담구어 잠시 추출한다. 이들 처방에서 瀉下는 부목적이다.

4) 大黃을 博棋子나 棋子크기로 쪼개는 경우

大黃을 博棋子나 棋子크기로 쪼개는 경우는 柴胡加龍骨牡蠣湯, 抵當湯 그리고 枳實梔子豉湯이다. 枳實梔子豉湯은 食復에서도 宿食이 있을 경우에만 大黃을 가미하였다. 이 3 처방은 大黃의 1일 복용량, 절단 크기, 개수 그리고 전탕법 등 4 항목 중 일부만 표기되어있다. 柴胡加龍骨牡蠣湯은 大黃 2 兩을 棋子크기로 절단하고 달여서 1~2 沸하였고, 抵當湯은 2 兩을 6조각내었으며, 枳實梔子豉湯은 博棋子크기의 것 5~6개였다.

5) 宿食이 있을 때 大黃 용량

傷寒論에서 宿食과 관련된 조문은 253조 大下後, 六七日不大便, 煩不解, 腹滿痛者와 269조 脈滑而數者이고 여기에 해당하는 처방은 大承氣湯였다. 253조에는 病因으로 宿食과 함께 燥屎도 수록되어있다. 傷寒論에서 燥屎와 관련된 조문은 253조 이외에 221조 陽明病, 潮熱, 大便微硬者, 228조 陽明病, 譫語, 有潮熱, 反不能食者, 230조 汗出, 譫語者, 250조 陽明病, 下之, 心中懊憹而煩, 251조 不大便五六日, 繞臍痛, 煩躁, 發作有時者, 254조 病人, 小便不利, 大便乍難乍易, 時有微熱, 喘冒, 不能臥者 그리고 389조 下利, 譫語者이었다. 여기에 해당하는 처방은 389조만 小承氣湯이고 나머지는 大承氣湯였다13).

金匱要略에서 宿食과 관련된 조문은 10~21조 寸口脈浮而大, 按之反澁, 尺中亦微而澁, 10~22조 脈數而滑者, 10~23조 下利不欲食者 그리고 10~24조 宿食在上脘, 當吐之이었다. 10~24조만 瓜蔕散으로 치료하고 나머지는 大承氣湯으로 치료하였다14). 大黃 1일복용량은 大承氣湯이나 小承氣湯이나 모두 4兩이다. 따라서 枳實梔子豉湯에서 宿食이 있을 때 가미하는 大黃 博棋子크기 5~6 개는 4兩임을 알 수 있다.

6) 金匱玉函經 方藥炮制의 大黃 절단크기

金匱玉函經 方藥炮制에서 㕮咀는 콩알 크기로 깨뜨리는 것이고, 附子와 大黃은 㕮咀하지 않는다 하였다. 炮附子는 1개를 8조각내는데, 炮附子 지름은 최대 3cm이므로12) 1조각은 콩알보다 크다. 따라서 大黃도 콩알보다는 크게 쪼개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7) 神農本草經集注 서문의 大黃 절단 크기

神農本草經集注 서문에서는 大黃을 細切하지 않고 水浸하여 두껑을 덮고 하루밤을 둔 뒤, 다른 약을 먼저 달여 목표치에 이르면, 여기에 大黃과 수침액을 넣고 가열하여 2~3沸하고 여과하여야 瀉下力이 강력하다고 하였다13).

8) 備急千金要方의 博棋子크기와 棋子크기

備急千金要方의 煉松脂方에서 博棋子크기는 가로 2寸, 세로 1寸이라 하였고, 羊脂煎에서 棋子크기는 方寸匕와 같다하였으나 두께에 관한 언급은 없다15). 方寸匕는 가로와 세로가 1寸인 정사각숟가락이고, 1寸은 2.32 cm로 알려져 있다.

9) 重修政和經史證類備用本草의 博棋子크기와 棋子크기

重修政和經史證類備用本草에서 砒黄 1錢과 麝香 0.5錢을 함께 갈고 이것의 일부를 기름먹인종이에 바른 뒤 가위로 이 종이를 棋子크기가 되게 자른다하였다13). 따라서 博棋子나 棋子크기의 두께는 엄격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 漢代 博棋子와 棋子 유물

漢代의 博棋子와 棋子 실물은 흑백 각각 6개가 1 set인 것인데, 현재의 바둑알과는 달리 직사각기둥이거나 정사각기둥이었다. 가로, 세로, 높이가 직사각기둥인 것은 각각 21 mm, 14 mm, 11 mm이고, 정사각기둥인 것은 각변이 14 mm 이었다16). 秦代의 것은 14 mm, 10 mm, 24 mm인 것과, 14 mm, 14 mm, 24 mm인 것과, 30 mm, 14 mm, 20 mm인 것과 25 mm, 12 mm, 17 mm인 것이었다17).

11) 煮一兩沸의 의미

傷寒論 柴胡加龍骨牡蠣湯에서는 大黃을 달여 1 - 2 沸하였다. 1 – 2 沸한 것은 大黃이외에 調胃承氣湯과 大承氣湯 그리고 大陷胸湯의 芒硝이고, 柴胡加芒硝湯과 桃核承氣湯에서는 芒硝를 微沸하였다. 小建中湯에서 膠飴와 炙甘草湯, 猪苓湯 그리고 黃連阿膠湯에서 阿膠는 녹였다. 神農本草經集注 서문에 의하면 芒硝, 膠飴 그리고 阿膠는 이미 추출된 것이므로 다른 약을 먼저 전탕하고 여과한 것에 잘 혼합하여 복용하였다13). 따라서 1 - 2 沸는 이미 추출한 것을 혼합하는데 초점이 있다. 半夏散及湯은 물 1 升을 먼저 달여 7 沸한 뒤 半夏散 2 方寸匙를 넣고 다시 3 沸하여 단번에 복용하므로 합계 10 沸하였다. 傷寒論 湯劑에서 탕액 1 회 복용량 최소치는 桔梗湯인데 0.5 升이므로, 半夏散及湯 탕액량도 0.5 升으로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약이 흡수하는 물량은 고려하지 않는다면 물 1 升을 달여 10 沸하면 0.5 升이 되어 1 沸는 0.05 升을 졸이는 것이다. 枳實梔子豉湯에서는 淸漿水 7 升을 먼저 끓여 4 升이 되면 여기에 香豉를 제외한 약을 넣고 달여 2 升이 되면 여기에 香豉를 넣고 5 – 6 沸하여 2 회 분복하였다. 그런데 梔子豉湯, 梔子甘草豉湯 그리고 梔子生薑豉湯은 香豉를 제외한 다른 약을 먼저 달여 2.5 升이 되면 여기에 香豉를 넣고 달여 1.5 升을 만들어 2회 분복하였으므로 枳實梔子豉湯의 탕액도 1.5 升으로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枳實梔子豉湯은 물 2 升을 달여 5 - 6 沸하여 1.5 升이 되고, 1 沸는 약 0.1 升을 졸이는 것이다. 이에따라 半夏散及湯과 枳實梔子豉湯에서 1 沸는 최소 0.05 升, 최대 0.1 升을 졸이는 것이다.

桂枝湯은 물 7 升으로 달여 3 升이 되면 3 회로 나누어 복용하고, 물이 끓고서부터 30 분이 소요된다4). 약이 흡수하는 물량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4 升이 줄어드는 데 30 분이 소요되므로 1 升이 줄어드는 데는 7.5 분이 소요되고 0.1 升이 줄어드는 데는 0.75 분이 소요되고 0.05 升이 줄어드는 데는 0.38 분이 소요된다. 따라서 柴胡加龍骨牡蠣湯에서 大黃 1 – 2 沸란 물 0.05 - 0.2 升을 졸이는 것이고, 물이 끓고서부터 0.38 - 1.5 분이 소요된다

12) 大黃 기원종

本草圖經에서는 大黃 꽃의 색깔을 靑赤色인 것과 黃色인 것으로 구분하였는데, 앞의 것의 식물명은 장엽대황 (掌葉大黃)이나 탕구트대황이고, 뒤의 것은 약용대황 (藥用大黃)이다. 약용대황 (藥用大黃)의 것은 일명 馬蹄大黃이라고 하고, 日華子本草에서는 馬蹄大黃은 품질이 좋지않다하였다. 그리고 비중에 따라 분류하면 장엽대황 (掌葉大黃)과 탕구트대황의 것은 重質大黃이라 하고, 약용대황 (藥用大黃)의 것은 輕質大黃이라 한다. 本草圖經의 그림에는 잎의 갈라짐이 1/2을 초과하지 않으므로 식물명은 장엽대황 (掌葉大黃)이다13). 따라서 傷寒論에서는 기원종으로 장엽대황 (掌葉大黃)이나 탕구트대황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13) 실측

枳實梔子豉湯에서 大黃 博棋子크기 5 - 6 개는 4 兩에 해당하고 1 兩은 6.5 g으로 추정되므로 26 g에 해당한다. 抵當湯에서 大黃 2 兩인 것을 6 조각낸다 하였으므로 枳實梔子豉湯의 博棋子크기 5 – 6 개를 6 개로 본다면 1 개는 4.3 g이다. 博棋子는 가로 1 寸, 세로 2 寸이고 1 寸은 2.32 cm이다. 이를 근거로 장엽대황 (掌葉大黃)의 근경을 실제로 절단하여 크기와 무게를 실측하였다. 大黃을 가로 2.32 cm, 세로 4.64 cm, 무게 26 g으로 절단하였더니 두께가 약 2.4 cm이었다. 博棋子크기 1 개는 이것을 6 등분한 것이므로 두께 약 0.4 cm이었다. 大黃 棋子크기의 가로와 두께는 博棋子크기의 것과 같고, 세로와 무게는 博棋子크기의 1/2 에 해당하였다.

 

Ⅲ. 고 찰

傷寒論 湯劑의 大黃은 절단크기에 따라 㕮咀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구분된다. 㕮咀란 콩알크기로 쪼개는 것으로 1 일 복용량은 6 兩, 4 兩 그리고 2 兩이다. 6 兩인 경우는 大陷胸湯이 유일하다. 4 兩인 경우는 調胃承氣湯, 大承氣湯, 小承氣湯 그리고 桃核承氣湯이다. 6 兩이나 4 兩인 경우는 모두 瀉下 또는 破瘀가 목적이고 小承氣湯을 제외하고는 芒硝와 함께 사용하였다. 어느 경우나 1 회 복용 후 설사하면 목적을 달성한 것이므로 더 이상 복용하지 않는다. 2 兩인 경우는 전탕하는 것과 끓인 물로 우러내는 것으로 세분된다. 전탕하는 것은 桂枝加大黃湯, 大柴胡湯 그리고 茵陳蒿湯이다. 끓인 물로 우러내는 것은 大黃黃連寫心湯 그리고 附子瀉心湯이다.

㕮咀하지 않는 처방은 柴胡加龍骨牡蠣湯과 抵當湯과 枳實梔子豉湯이다. 柴胡加龍骨牡蠣湯은 大黃 2 兩을 棋子크기로 절단하였다. 抵當湯은 大黃을 6 조각내었는데 복용량은 唐本과 康平本에는 2 兩이나, 宋本, 玉函經 그리고 注解傷寒論에서는 3 兩이다. 傷寒論에서 大黃 3 兩이 사용된 예는 없으므로 2 兩이 옳다고 추정할 수 있다. 柴胡加龍骨牡蠣湯과 抵當湯의 大黃 용량과 복용법을 조합하면 大黃 2 兩을 6 조각내었으며 1 조각은 棋子크기임을 알 수 있다. 枳實梔子豉湯에서는 食復에 宿食이 있을 경우 大黃을 가미하였다. 주요 판본에는 大黃을 博棋子크기로 5 - 6 개 넣는다고 하였고, 千金翼方의 元大德刊本에서도 博棋子 크기로 되어있다. 다만 千金翼方의 保元堂刊本에서는 棋子크기로 수록되어있다13). 外臺秘要에서는 棋子크기라고 하고서는 范汪救急集驗과 傷寒論에는 博棋子크기라 하였다고 주석달았다19). 따라서 枳實梔子豉湯의 大黃을 棋子크기로 쪼갠다고 한 판본은 千金翼方의 保元堂刊本뿐이므로 博棋子크기로 쪼개는 것으로 판단된다.

博棋子크기 5 – 6 개의 무게를 추정할 수 있는 실마리는 傷寒論에서 宿食이 있을 때 사용하는 처방의 大黃 복용량이다. 傷寒論 253 조와 269 조는 宿食이 있을 때 大承氣湯을 사용하였다. 253 조에는 宿食이외에 燥屎도 있다하였고, 傷寒論에서 燥屎가 있는 조문은 221, 228, 230, 250, 251, 253, 254 그리고 389 조인데, 389 조만 小承氣湯으로 치료하고 나머지는 大承氣湯으로 치료하였다. 金匱要略에서도 宿食이라 한 것은 10 - 21, 22, 23 그리고 24 조인데 10 - 24 조만 宿食이 上脘에 있어 吐해야 하므로 瓜蒂散으로 치료하였고, 나머지는 大承氣湯으로 치료하였다14). 大承氣湯이나 小承氣湯에는 大黃이 4 兩이다. 따라서 枳實梔子豉湯에서 宿食이 있을 때 사용한 大黃은 4 兩으로 추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柴胡加龍骨牡蠣湯과 抵當湯에서 大黃 2 兩을 棋子대로 쪼개면 6 조각이 되고, 枳實梔子豉湯에서는 大黃 4 兩을 博棋子크기로 쪼개어 6 개가 되므로 博棋子크기는 棋子크기의 2 배로 추정된다. 이는 大黃 1 일 복용량이 宿食이나 燥屎가 있을 때는 4 兩이고, 없을 때는 2 兩인 것과 일치한다.

金匱玉函經 方藥炮制에는 大黃을 크게 쪼갠다하였고, 神農本草經集注 서문에는 大黃을 잘게 쪼개지 않고 크게 쪼개어 물에 담그고 두껑을 덮은 뒤 하루밤을 둔 뒤 다른 약을 먼저 달이고 여기에 大黃침출액과 大黃을 넣고 2 - 3 沸한다 하였다. 따라서 일반약들은 㕮咀하여 콩알크기로 쪼개지만, 大黃은 콩알보다 크게 쪼개고 달이지 않고 水浸법을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備急千金要方에는 약재를 博棋子크기로 쪼개는 것과 棋子크기로 쪼개는 것이 구분되어있다. 이중 크기를 구체적으로 언급한 것은 松脂方과 羊脂煎이다. 松脂方에서는 博棋子크기를 가로 1 寸, 세로 2 寸이라 하였고, 羊脂煎에서는 棋子크기를 方寸匕와 같다하였다. 方寸匕는 가로 1 寸 세로 1 寸인 정사각숟가락으로 가루약를 떨어지지 않을 정도로 1 번 뜨는 양인데 부피로는 2 mL에 해당한다. 따라서 棋子크기란 가로 1 寸, 세로 1 寸에 해당한다. 다만 두께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실제 유물로 나온 博棋子와 棋子는 가로와 세로가 정확히 2 : 1 과 1 : 1 은 아니었고, 높이도 일정하지 않았다.

柴胡加龍骨牡蠣湯에서는 大黃을 1 - 2 沸 한다하였는데 1 沸하면 물이 얼마나 줄어드는 가는 半夏散及湯과 枳實梔子豉湯에서 추정이 가능하다. 半夏散及湯을 10 沸하면 물은 0.5 升이 줄어들므로 1 沸하면 물은 0.05 升이 줄어든다. 枳實梔子豉湯을 5 – 6 沸하면 물은 0.5 升이 줄어들므로 1 沸하면 물은 0.1 升이 줄어든다. 따라서 1 沸하면 물은 최소 0.05 升, 최대 0.1 升이 줄어든다. 桂枝湯에서 실측한 결과 약이 물을 흡수하는 것을 고려하지 않으면 물 4 升이 줄어드는데는 30분이 소요되므로4) 0.1 升이 줄어드는 데는 0.75분이 소요된다. 따라서 柴胡加龍骨牡蠣湯에서 大黃을 1 - 2 沸하는 것은 물 0.05 – 0.2승이 줄어드는 것이고, 소요시간은 끓고서부터 0.38 – 1.5분이다. 神農本草經集注 서문에서처럼 大黃은 크게 쪼개고 물에 담구어 하루밤 둔 뒤 다른 약을 달이고 여기에 大黃수침액과 大黃을 넣고 매우 잠깐 달여 혼합하게 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大黃의 기원종은 KP 11에 3종이 수록되어있다. 하지만 本草圖經에서 꽃의 색깔이 적록색인 것이 황색인 것보다 약효가 우수하다 하였으므로 기원종은 장엽대황 (掌葉大黃)이나 탕구트대황이고, 그림에서는 잎의 갈라진 정도가 1/2을 초과하지 않으므로 기원종은 掌葉大黃이다. 따라서 傷寒論의 大黃은 기원종이 장엽대황 (掌葉大黃)일 가능성이 가장 높고 탕구트대황일 가능성도 있다.

博棋子와 棋子크기의 大黃무게에 관한 연구에서 博棋子크기는 가로 2.32 cm, 세로 4.64 cm, 높이 1 cm이었고, 棋子크기는 가로 2.32 cm, 세로 2.32 cm, 높이 1 cm이었고, 무게는 각각 10.93 g과 5.47 g이었다. 하지만 備急千金要方과 千金翼方에서 博棋子크기와 棋子크기는 가로와 세로만 규정하였고 높이는 규정이 없으므로 높이를 1 cm로 해석하는 것은 근거가 부족하다. 뿐만아니라 傷寒論에서 약재의 1일 복용량으로 볼 때도 타당성이 떨어진다. 傷寒論에서 1일 복용량은 무게로는 1, 2, 3, 4, 5, 6, 8 그리고 16 兩 등 8가지가 있다. 1 兩은 6.5 g 으로 추정되고, 일반적으로 3 兩이 표준이지만 炙甘草나 甘草는 2 兩이 표준이다. 개수로 표기된 것에서 일반용량은 大棗 12개, 梔子 14개, 生附子 1개, 炮附子 1개 그리고 阿膠 3개인데 3 兩에 해당하고, 枳實 4개, 葱白 9개는 2 兩에 해당한다. 김은 傷寒論에서 枳實의 일반적인 1일 복용량은 金匱要略과 함께 고려하여 5개라고 추정하였다8). 하지만 傷寒論에서만 본다면 5개인 것은 大承氣湯, 4개인 것은 大柴胡湯과 梔子厚朴湯과 柴胡芍藥枳實甘草湯, 3개인 것은 枳實梔子豉湯과 小承氣湯이다. 柴胡芍藥枳實甘草湯은 주요 판본에서는 처방명이 回逆散으로, 복용량은 4 품목이 동량으로 수록되어있다. 그러나 소음병으로 四逆하는데 사용하면서도 柴胡, 芍藥, 枳實 등은 약성이 차다는 점과 回逆湯과는 처방내용이 완전히 다르다는 점 등으로 볼 때 모순이다. 桂林古本에는 回逆散과 柴胡芍藥枳實甘草湯이 수록되어있는데, 回逆散은 回逆湯의 처방 내용과 같고, 柴胡芍藥枳實甘草湯은 주요판본에서 回逆散이라 한 것과 구성이 같고 용량은 柴胡 8 兩, 芍藥 3 兩, 枳實 2 兩, 甘草炙 3 兩이고 去滓更煎하였으며 回逆散은 소음병에 柴胡芍藥枳實甘草湯은 소양병에 사용하였다18). 처방내용과 주치증을 고려하면 桂林古本이 옳다. 따라서 枳實의 일반적인 1일 복용량은 大柴胡湯과 梔子厚朴湯과 柴胡芍藥枳實甘草湯에서 4개이고 2 兩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傷寒論에서 1일 복용량 개수로 표기된 것이나 무게로 표기된 것이나 일반적으로 3 兩이고 때로는 2 兩이다. 부피로 표기된 것으로 는 石膏 鷄卵大 1 개는 16 兩이고 이는 傷寒論에서 1일 복용량으로는 최대치이다.

그리고 大黃 博棋子크기 1개를 10.93 g, 棋子크기 1개를 5.47 g으로 추정하면 6 개는 65.58 g과 32.79 g이고 傷寒論의 용량인 兩으로는 5 兩과 10 兩에 해당한다. 하지만 10 兩인 경우는 傷寒論에는 없고, 개수로 표기된 大棗, 梔子, 炮附子, 生附子, 阿膠가 3 兩, 枳實, 葱白이 2 兩인 것에 비해서도 지나치게 많다. 그리고 宿食이 있을 때 가미한 경우인 博棋子크기 6개가 10 兩이면 역시 宿食이나 燥屎가 있을 때 사용하는 大陷胸湯의 大黃 6 兩, 承氣湯의 大黃 4 兩보다도 많으므로 모순이다. 따라서 기존의 연구는 博棋子나 棋子크기의 大黃을 가로와 세로 그리고 높이를 추정하고 여기에 해당하는 것의 무게를 측정하였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가로와 세로 그리고 무게를 고정하고 여기에 해당하는 것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장엽대황 (掌葉大黃)의 것 무게 26 g, 가로 2.32 cm, 세로 4.64 cm인 것을 6 등분하면 1 조각 두께는 약 0.4 cm이었으며 무게는 약 4.4 g이었는데, 이는 博棋子크기에 해당 하였다. 棋子크기는 세로와 무게가 博棋子크기의 1/2 이었다. 기존연구에서 가로와 세로는 2.32 cm이고 두께는 1 cm인 것이 5.47 g이었으므로 이를 두께 0.4 cm로 환산하면 약 2.2 g이어서 두 결과는 일치하였다. 그리고 備急千金要方 羊脂煎에서 棋子大는 方寸匕와 같다 하였다. 棋子大는 가로 2.33 cm, 세로 2.33 cm, 두께 0.4 cm이므로 부피로는 2.17 mL이고, 方寸匕는 부피로는 2 mL이므로 棋子大와 方寸匕는 부피가 서로 일치하였다.

 

Ⅳ. 결 론

傷寒論 湯劑에서 大黃의 절단크기와 1일 복용량 그리고 추출방법 등을 傷寒論의 원문에 근거하여 추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상의 결과로 傷寒論에서 大黃 1일 복용량은 6 兩, 4 兩 그리고 2 兩이고, 博棋子와 棋子크기 6조각은 4 兩과 2 兩이고, 추출법은 전탕, 단시간 水浸 또는 장시간 水浸한 뒤 다른 湯液과 혼합하는 것이었다.

참고문헌

  1. Kim IR.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source of Jisil. Kor. J. Herbol. 2005 ; 20(4) : 113-9.
  2. Kim IR. A Research on the origin and Daily Dose of Gardeniae Fructus in Shanghanlun. Kor. J. Herbol. 2011 ; 26(4) : 155-61.
  3. Kim IR, Pak JH. Study on one Ryang of Gui Zhi-tang. Korean J. Orient Physiology & Pathology. 2002; 16(4):637-41.
  4. Kim IR, Sang HC. Study on one Seong of Shanhanlun. Kor. J. Herbol. 2003 ; 18(3) : 15-20.
  5. Kim IR. Daily Dose of Zizyphi Fructus in Treatise on Cold Damage. Kor. J. Herbol. 2013 ; 28(1) : 51-8. https://doi.org/10.6116/kjh.2013.28.1.51
  6. Kim IR. A Research on the origin and Daily Dose of Gardeniae Fructus in Shanghanlun. Kor. J. Herbol. 2011 ; 26(4) : 155-61.
  7. Kim IR. The Daily Dose of Aconiti Lateralis Radix Preparata and Aconiti Lateralis Radix in Treatise on Cold Damage Diseases. Kor. J. Herbol. 2015 ; 30(4) : 51-5. https://doi.org/10.6116/kjh.2015.30.4.51.
  8. Kim IR.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source of Jisil. Kor. J. Herbol. 2005 ; 20(4):113-9.
  9. Kim IR. The Origin and Daily Dose of Allii Fistulosi Bulbus in Treatise on Cold Damage Diseases. Kor. J. Herbol. 2014 ; 29(5) : 39-43. https://doi.org/10.6116/kjh.2014.29.5.39
  10. Jeon SH, Kim IR. Study on the Gypsium and Natril sulfus dose of 1 day and 1 time in Shanghanlun. Kor. J. Herbol. 2007 ; 22(4) : 45-50.
  11. The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The Korean Pharmacopoeia Eleventh Edition. Seoul : Shinilbooks. 2014 : 28.
  12. Lee SB. Shanghanlun Woodblock-printed Book complete collection. Beijing : XueYuan Printing Co. 2000:223, 313-6, 319, 322, 330, 333, 356.
  13. Tang SW. Classified Emergency Materia Medica. Beijing : 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1980 : 36, 125, 241.
  14. Zhang ZJ. Synopsis of Prescriptions of the Golden Chamber. Beijing : 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1983 : 336.
  15. Sun SM. Essential Prescriptions Worth a Thousand Gold for Emergencies. Beijing : 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1994 : 29, 192, 260, 284, 311, 486.
  16. Lyu M, Wang GG, Lee WH, Lee SH. Study on the Rhubarb as large as Badukal in Treatise on Cold Damage Diseases.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0 ; 51(4) : 374-6.
  17. Zhang YH. Study on Chin-Han periods Bo implements by the funeral miniature of Liu Bo players unearthed at a Han tomb in sanmenxia City. Cultural Relics of Central China. Cultural Relics of Central China. 2015 ; 40(5) : 91-4.
  18. Kim TS. JuheHangeolShanghanJabbyeongRon. Seoul : Eoseongdang. 2013 : 447,493.
  19. Wang T. Medical Secrets of an Official. Seoul : Bubinmunwhsa. 1999 : 124.

피인용 문헌

  1. 《상한론(傷寒論)》에서 환제의 크기와 복용방법 vol.36, pp.1, 2016, https://doi.org/10.6116/kjh.2021.36.1.51.
  2. 《상한론(傷寒論)》에서 환제의 크기와 복용방법 vol.36, pp.1, 2016, https://doi.org/10.6116/kjh.2021.36.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