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xperimental Study on the Understanding of the Differential Concept Based on the Historical-Genetic Process Using a Technological Device

미분 개념의 이해에 관한 수업 사례 - 공학적 도구를 활용한 역사 발생적 과정을 토대로 -

  • Received : 2016.05.09
  • Accepted : 2016.05.30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In school mathematics,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a differentiation has been dealt with as a formula. Because of this reason, the learners' fundamental knowledge of the concept is insufficient, and furthermore the learners are familiar with solving routine, typical problems than doing non-routine, unfamiliar problems. Preceding studies have been more focused on dealing with the issues of learner's fallacy, textbook construction, teaching methodology rather than conducting the more concrete and efficient research through experiment-based lessons. Considering that most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such a way so far, this study was to create a lesson plan including teaching resources to guide the understanding of differential coefficients and derivatives. Particularly,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Historical Genetic Process Principle, this study was to accomplish the its goal while utilizing a technological device such as GeoGebra. The experiment-based lessons were done and analyzed with 68 first graders in S high school located in G city, using Posttest Only Control Group Design. The methods of the examination consisted of 'learning comprehens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using 'SPSS 21.0 Ver' to analyze students' post examination. Ultimately, this study was to suggest teaching methods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the definition of differentials.

미분에 관한 주요 문제점으로 미분 개념이 공식처럼 다루어져 기초적 지식이 결여되어 있으며, 정형화된 계산 및 활용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는 익숙하지만 비정형의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는 그렇지 못함이 지적되고 있다. 선행 연구들은 주로 학습자 오류, 교재 구성, 지도 방법 등에 관심을 두고 이의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데 중점을 두어 온 반면, 실험수업을 통한 양 질적 연구는 그다지 활발히 이뤄지지 않아 왔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우선 '이해'의 의미를 가늠하고 미분 개념을 이해한다는 것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고, 그 결과에 맞춰 역사 발생적 원리 및 공학적 도구를 활용하여 미분계수와 도함수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한 수업지도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 G광역시의 S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총 68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통제집단 설계를 적용하여 실험수업을 실시하였다. 이때, 검사 도구는 '학습이해도'와 '학습만족도' 영역으로 구성하였으며, 'SPSS 21.0 Ver'를 사용하여 사후검사 결과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미분 개념의 이해를 높이기 위한 몇몇 지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향임(2012). 수학적 모델링 과정에서 접선 개념의 재구성을 통한 미분계수의 재발명과 수학적 개념 변화. 학교수학, 14(4), 409-429.
  2. 강향임(2013). 발생적 모델링을 활용한 미적분 개념의 구성.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교육과학기술부(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8). 서울:교육과학기술부.
  4.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세종: 교육부.
  5. 김동엽(2001). 문제중심 수업과 지시적 수업이 학습자의 인식론적 신념에 따라 수업의 유의미성 지각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정희, 조완영(2006). 고등학교 학생들의 미적분 개념 이해 및 오류유형 분석. 과학교육연구논총, 22(1), 87-97.
  7. 김준송(2013). 융합인재교육(STEAM)과정을 적용한 수학수업이 영재학생의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창동 외 14인(2015). 미적분 I. 서울: (주)교학사.
  9. 마윤심(2010). 미분개념의 오류유형 분석 및 오개념 극복을 위한 GSP활용 수업의 효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성희(2011). 도움닫기를 활용한 수학교수학습이 학습만족도와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희진(2007). 학생들의 미분개념 오류유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조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오혜경(2008). 고등학교수학에서의 미적분단원의 오류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우정호, 민세영(2002). 역사발생적 수학 학습-지도 원리에 관한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논문, 12(3), 409-424.
  14. 우정호(2011). 수학 학습-지도 원리와 방법. 서울:서울대학교 출판부.
  15. 이상구, 장지은, 김경원, 박경은(2014). GeoGebra와 미분적분학 개념의 시각화. 수학교육 논문집, 28(4), 457-474.
  16. 이정곤(2012). GeoGebra 환경에서 정적분을 이용한 자연로그의 개념이미지 형성 학습 개선방안. 한국수학사학회지, 25(1), 71-88.
  17. 이종희(1999). 이해에 대한 수학교육적 고찰.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이현주, 류중현, 조완영(2015). 통합적 이해의 관점에서 본 고등학교 학생들의 미분계수 개념 이해 분석. 수학교육 논문집, 29(1), 131-155.
  19. 이호철(2005). 미분문제 해결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 임연휘, 표용수(2013). 대학 입학 예정자들의 함수 및 미분의 기초개념 이해에 대한 오류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2), 435-457.
  21. 임재훈, 박교식(2004). 학교 수학에서 접선 개념 교수 방안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4(2), 171-185.
  22. 전영배, 노은환, 최정숙, 김대의, 정의창, 정찬식, 김창수(2009). 미분 문제해결 과정에서의 오류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2(4), 545-562.
  23. 정가람(2013). GeoGebra를 활용한 구분구적법 지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정다희(2011). 도함수의 그래프 이해에서 발생하는 오류 및 오개념에 관한 연구: 고등학교 3학년 미분단원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정연준(2010). 미분계수의 역사적 발달 과정에 대한 고찰. 학교수학, 12(2), 239-257.
  26. 정자욱(2012). GeoGebra를 이용한 미적분수업의 질적 사례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지상호(2010). 선택과정 미분과 적분의 미분법 단원에 대한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이해실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최나영(2001) 미분개념에 대한 오류와 오개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홍선주(2013). 미분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학습경향 및 오류분석과 지도방안 연구 -고등학교 2학년 문과학생을 대상으로: 이과학생들과 비교하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Aleamoni, L. M. (1981). Student ratings of instruction. Handbook of teacher evaluation, 110, 145.
  31. Boyer, C. B. (1959). The History of Calculus of the Calculus and its Conceptual Development. 김경화(역)(2004). 미적분학사-그 개념의 발달. 서울: 교우사.
  32. Dunham, W. (2005). The calculus gallery: Masterpieces from Newton to Lebesgue. 권혜승(역)(2011). 미적분학 갤러리. 서울: 한승.
  33. Giambrone, T. M. (1983). A Philosophy Study of Epistemological nature of the Attainment of Understanding Mathematics. Doctoral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34. Nehari, M. & Bender, H. (1978). Meaningfulness of a learning experience: A measure for education outcomes in higher education. Higher Education, 7(1), 1-11. https://doi.org/10.1007/BF00129786
  35. Orton, A. (1983). Students' understanding of differentiatio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4(3), 235-250. https://doi.org/10.1007/BF00410540
  36. Sobral, D. T. (1992). Self-report visual scale of course appeal. Higher Education, 23(3), 321-329. https://doi.org/10.1007/BF00145020
  37. Tall, D. O. (1986). Building and testing a cognitive approach to the calculus using interactive computer graphic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arwick.
  38. Tall, D. & Vinner, S. (1981). Concept image and concept definition in mathematic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limits and continuity.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2(2), 151-169. https://doi.org/10.1007/BF00305619
  39. White, P. (1990). Is calculus in trouble. Australian Senior Mathematics Journal, 4(2), 105-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