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on Attitude toward Marriage of Undergraduate with Institutional Background

대학에 진학한 시설보호 청년의 결혼 태도 영향 요인

  • 정선욱 (덕성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이민정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
  • Received : 2016.06.02
  • Accepted : 2016.06.24
  • Published : 2016.09.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influencing factors on attitude toward marriage of undergraduate with institutional care background. Intimate romantic relationship is one of developmental tasks of emerging adulthood. And attitude towards marriage is connected with intimate, romantic relationship. This study has focus on attitude towards marriage out of marriage issues.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he survey on 214 undergraduates who have lived in institution for children over two years. The results of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y are favorably inclined towards marriage. Second, gender, financial conditions, ego-identity exercise a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 towards marriage. Subcategory of ego-identity that affects attitude towards marriage the most is self-receptiveness.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re discussed finally.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 진학한 시설보호 청년의 결혼 태도와 결혼 태도 영향요인을 발견하는 것이다. 대학에 진학한 시설보호 청년은 발달단계상 성인이행기에 있으며, 이 발달단계에서 중요한 발달과업 중의 하나는 친밀하고 낭만적인 관계 맺기, 결혼의 선택이다. 본 연구는 이들의 결혼 이슈를 결혼 태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전국의 양육시설과 자립생활관의 협조를 받아 총214명의 대학 진학 시설보호 청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연구 결과, 이들의 결혼에 대한 태도는 대체로 호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결혼을 외로움을 해소시켜주는 바람직하고 좋은 것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결혼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경제 수준, 자아정체감으로 나타났다. 자아정체감 하위3요소 가운데 자기 수용성, 즉 자신감과 자신을 신뢰하는 정도가 결혼 태도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설보호 청년의 자립 과정에서 결혼 이슈를 고려하는 것의 필요성과 의의, 결혼이 실질적인 자립 지원책으로 기능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사항 등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곽금주, 흔들리는 20대-청년기 생애설계심리학,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0.
  2. 이옥경, 박영신, 이현진, 김혜리, 정윤경, 김민희 공역, 생애발달 II,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9.
  3. W. Beyers and I. Seiffge-Krenke, "Does identity precede intimacy? Testing Erikson's theory on romantic development in emerging adults of the 21st century,"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Vol.25, No.3, pp.387-415, 2010. https://doi.org/10.1177/0743558410361370
  4. 정선욱, 시설보호 청년의 적응 - 대학에 진학한 시설보호 청년의 진로발달과 결혼태도, 서울: 집문당, 2014.
  5. https://www.fosterclub.com/sites/default/files/FosterCareYouth_4.pdf. pp.140-162, 1996.
  6. R. Saunders, D. Jacobvitz, M. Zaccagnino, L. M. Beverung, and N. Hazen, "Pathways to earned-security: the role of alternative support figures," Attachment & Human Development, Vol.13, No.4, pp.403-420, 2011. https://doi.org/10.1080/14616734.2011.584405
  7. 김미현, 대학생의 원 가족 심리적 특성과 성별이 결혼태도 및 자녀태도에 미치는 영향, 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8. 박정윤, 김예리, "미혼 성인자녀의 부모-자녀 간 유대감과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심 지각이 결혼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제48권, 제4호, pp.13-24, 2010. https://doi.org/10.6115/khea.2010.48.4.013
  9. 김진희, 원 가족 접촉에 따른 시설보호 아동의 행동문제 비교연구 : 서울시 소재 아동양육시설 아동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0. 강현아, 신혜령, 박은미, "시설 퇴소청소년의 성인전환 단계에 따른 자립 및 사회적응 현황," 한국아동복지학, p.30, pp.41-69, 2009.
  11. 강향숙, 알코올 중독자 아버지를 가진 미혼여성의 이성 관계 경험,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2. 김명성, 시설퇴소청소년의 자립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3. 권지성, 정선욱, "아동양육시설 퇴소생의 퇴소 후 생활 경험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61권, 제3호, pp.229-25, 2009.
  14. 이양숙, "육아시설 jdshsu의 부모 체험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30권, 제2호, pp.452-462, 2004.
  15. 김대원, 아동양육시설 퇴소 청소년의 자립초기 삶에 대한 질적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6. 배은숙, 강기정, "시설청소년의 가족 인식 및 건강가정 형성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 요구 - 시설청소년과 퇴소자 대상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제10권, 제2호, pp.107-125, 2006.
  17. I. K. Hanson, Emancipated foster care youths' romantic relationships as observed by social workers, Master of social work clinical research papers, St. Catherine University․University of St. Thomas, 2013.
  18. 노혜련, 장정순, 백은형, 시설아동의 심리사회적 실태와 상담욕구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단체협의회, 1997.
  19. M. Stein, "Young people aging out of care: The poverty of theory,"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p.28, pp.422-434, 2006. https://doi.org/10.1016/j.childyouth.2005.05.005
  20. 강기정, 배은숙, "시설보호청소년을 위한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부모교육연구, 제5권, 제1호, pp.23-42, 2008.
  21. 정선욱, 시설보호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22. J. A. Simpson and W. S. Rholes, "Attachment in adulthood," In J. A. Simpson, and W. W. Rholes(eds.), Attachment theory and close relationships, New York: Guilford Press, 1998.
  23. K. G. Rice, "Attachment in adolescnece: A narrative and meta-analytic review,"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Vol.19, No.5, pp.511-538, 1990. https://doi.org/10.1007/BF01537478
  24. 장휘숙, "애착의 전 생애 모델과 대물림: 전 생애 발달심리학적 조망에서 애착연구의 개관," 한국심리학회지, 제16권, 제1호, pp.80-97, 1997.
  25. 전효정, "유아기 부모와의 애착경험이 성인기 애착유형과 배우자 선택에 미치는 영향," 영유아보육연구, p.5, pp.21-34, 1999.
  26. 하은혜, 전정미, 유미숙, 이소희, 조유진, "고등학생의 이성관계의 질에 관한 설명모형,"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제11권, 제1호, pp.101-115, 2008.
  27. 민순옥,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과 부모에 대한 애착 및 이성 관계 태도가 결혼태도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28. 안소영, 가족기능과 대학생의 애착유형 및 결혼과 가족에 대한 태도,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29. M. Main, N. Kaplan, and J. Cassidy, "Security in Infancy, Childhood, and Adulthood: A Move to the Level of Representation," In I. Bretherton, and E. Waters(eds.) Growing points in attachment theory and research,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Vol.50, No.1/2, pp.66-104, 1985.
  30. 강진경, 아동기 어머니에 대한 애착 및 자율성 발달 유형과 성인기 사랑유형의 성차,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31. J. A. Feeney and P. Noller, "Attachment styles as a predictor of adult romantic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8, No.2, pp.281-291, 1990. https://doi.org/10.1037/0022-3514.58.2.281
  32. 박남숙,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수준이 이성교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 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7권, 제1호, pp.197-215, 2005.
  33. 한누리, 문혁준, "대학생이 지각하는 자아정체감과 부모의 부부관계가 결혼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제24권, 제2호, pp.205-218, 2015. https://doi.org/10.5934/kjhe.2015.24.2.205
  34. 양명숙, "예비 부모세대의 결혼관과 자녀관 그리고 성역할에 대한 연구 - 대전 지역의 남, 녀 대학생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제34권, 제2호, pp.167-181, 1996.
  35. 이삼식, "가치관의 변화가 결혼 및 출산 행태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제26권, 제2호, pp.95-140, 2006.
  36. 김건영, 대학생의 결혼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37. 홍은영, 미혼성인의 결혼의향 및 태도와 부모의 존의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사회학 석사학위논문, 2011.
  38. 백경숙, 김효숙, "대학생의 자아 존중 감, 성역할 태도와 가족기능이 결혼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회, 제18권, 제3호, pp.205-223, 2013.
  39. 김홍설, 이문진, 황선환, "직장여성의 결혼에 따른 여가제약과 여가협상,"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호, pp.242-251,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1.242
  40. 최수찬, 고수연, 이지연, 이희종, "직장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여성근로자들의 일-가정양립갈등과 생활만족 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8호, pp.293-303,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8.293
  41. 김정석, "미혼남녀의 결혼의향 분석," 한국인구학, 제29권, 제1호, pp.57-70, 2006.
  42. 김보경, 대학생들의 결혼과 출산에 대한 인식 및 태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43. 김예리, 가족생태이론에 기초한 미혼 남녀의 결혼관과 관련변인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44. 우희경, 시설보호아동의 행동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45. K. Bartholomew and L. M. Horowitz, "Attachment Styles among Young Adults: A Tests of a Four-category Mode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1, No.2, pp.226-244, 1991. https://doi.org/10.1037/0022-3514.61.2.226
  46. 박아청, "한국형 자아정체감 검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제5권, 제1호, 1996.
  47. 문승태,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변인과 심리적 변인간의 인과관계,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48. 조명실,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사회적 지지,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49. J. J. Arnett, "Emerging adulthood - A theory of development from the late teens through the twenties," American Psychologist, Vol.55, No.5, pp.469-480, 2000. https://doi.org/10.1037/0003-066X.55.5.469
  50. 김현, 홍영선, "대학생의 생식건강에 대한 태도, 결혼관 및 자녀관,"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지, 제14권, 제1호, pp.13-24, 2013.
  51. 유홍준, 현성민, "경제적 자원이 미혼 남녀의 결혼 연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 제33권, 제1호, pp.75-101, 2010.
  52. 저 출산 고령 사회 위원회, 제3차 저 출산 고령사회기본계획, 2015.
  53. 김순기, 기혼자녀가 지각하는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과 자아정체감이 결혼 후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54. 정선욱, "대학에 진학한 시설 퇴소 청년의 진로 준비행동 영향요인-사회적 지지와 자아정체감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46권, 제1호, pp.191-214, 2015.
  55. J. Thoburn, Child placement: Principles and Practice(2nd), Arena,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