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f Contents between Ju-Seo-Gwan-Gyeon and Gu-Jang-San-Sul

「주서관견(籌書管見)」과 「구장산술(九章算術)」의 내용 비교

  • Received : 2016.08.12
  • Accepted : 2016.09.16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Ju-Seo-Gwan-Gyeon is a mathematical book of Chosun dynasty in the early 18th century.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ompare the contents between Ju-Seo-Gwan-Gyeon and Gu-Jang-San-Sul. From this study, we are able to see the contents of Ju-Seo-Gwan-Gyeon that has been unknown in detail so far. In this comparative study, the following facts are found. First, many problems in Ju-Seo-Gwan-Gyeon are similar to the Gu-Jang-San-Sul on the contents and frame. Most of them are same type. But some of problems in Ju-Seo-Gwan-Gyeon have been developed. Second, there are distinct differences of description type. And Ju-Seo-Gwan-Gyeon was influenced by Gu-Jang-San-Sul but also other mathematical books. We expect that the results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mathematics history in Korea.

본 연구는 조선시대의 산학서인 "주서관견(籌書管見)"의 내용 구성 체계와 구장(九章)의 내용을 동양의 대표적 산학서인 "구장산술(九章算術)"과 비교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의 내용 분석을 통해 지금까지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던 "주서관견"의 내용체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당시의 산학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서관견"의 구장(九章)과 "구장산술"의 내용 및 형식을 비교한 결과 "주서관견"의 문제는 "구장산술"의 문제와 대부분 그 구성 및 형식이 유사하고 주어진 조건의 수치까지는 일치하지 않으나 동일한 유형의 문제가 많다. 또한 "주서관견"의 문제가 심화 되어 다루어지고 있으며 그 서술 형식에 있어서도 특징적인 차이점이 있었는데 이를 통해 "주서관견"은 "구장산술"과 다른 산학서들의 영향을 받아 저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내용 분석에 기초하여 "주서관견"에서 다루어지는 여러 문제들이 우리나라 수학사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욱 (2015). 2014년도 한국고전번역원 정책연구과제 최종보고서 (ITKC-2014-RE-02). 서울: 한국고전번역원.(Kim, Y. O. (2015). 2014 Report ITKC-2014-RE-02. Seoul: ITKC)
  2. 유인영 (2003). 九章算術의 原版과 英文飜譯版의 間隔. 한국수학사학회지, 16(4), 1-14.(Yu, I. Y. (2003). The Differences between the Origin and New Translated Nine Chapers. The Korean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16(4), 1-14.)
  3. 유희 (1998). 동양 최고의 수학서 구장산술(김혜경.윤주영 역). 파주: 서해문집.(Liu, H. (1998). The Nine Chapters(Kim, H. K. & Yun, J. Y., Trans.). Paju: booksea21.)
  4. 이종희 (2003). 구장산술에 포함된 증명의 유형과 역할. 한국수학사학회지. 16(2), 11-22.(Lee, J. H. (2003). The types and roles of ancient mathematical proof in the Gu-Jang-San-Sul. The Korean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17(2), 11-22.)
  5. 장혜원 (2002). 구장산술을 활용한 수학 교육-분수의 사칙 계산과 관련하여-. 한국수학사학회지, 15(2), 101-112.(Chang, H. W. (2002). The Mathematical Education throuh the Gu-Jang-San-Sul-five strategies for fractions related- The Korean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15(2), 101-112.)
  6. 장혜원 (2003). 조선시대 산학서 <구일집>의 내용 분석 및 교육적 활용 방안 탐구. 수학교육학연구, 13(4), 429-446.(Chang, H. W. (2003). Analysis on Gu-il-jip, the mathematical book of Chosun dynasty and its pedagogical application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3(4), 429-446.)
  7. 한국과학사학회 편 (1985). 주서관견.구일집, 서울: 여강출판사.(KHSS (Ed.) (1985). Ju-Seo-Gwan-Gyeon.Gu-il-jip, Seoul: Yeogang Press)
  8. 조태구 (2015). 국역주서관견(안나미 역). 서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원저 출판, 1718)(Joe, T. G. (2015). Ju-Seo-Gwan-Gyeon in Korean(Ahn, N. M, Trans.), Seoul: SejongKorea. (Original work published in 1718).)
  9. 차종천 (2003). 한간 산수서와 구장산술의 비교. 수학교육 논문집, 15, 273-280.(Cha, J. C. (2003). A Comparative Study of the San-Su-Seo and the Gu-Jang-San-Sul.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15, 273-280.)
  10. 한길준.서주연 (2004). 구장산술의 수학교육학적 가치에 대한 연구. 한국수학사학회지, 17(3), 61-72.(Han, G. J. & Seo, J. Y. (2004). A Study for the Value of the Nine Chapters on the Mathematical Art on Mathematics Educational Viewpoint. The Korean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17(3), 61-72.)
  11. 한미경 (2011). 조선시대 수학관계문헌 간행에 대한 분석. 서지학보, 38, 1-24.(Han, M. (2011). Analysis of Publication of Mathematics Related Literatures in Chosun Times, Koreabibloi, 38, 1-24.)
  12. 허민 (2005). 산학서의 직각 삼각형. 한국수학사학회지, 18(3), 25-38.(Hur, M. (2005). Right Triangles in Traditional Mathematics of China and Korea. The Korean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18(3), 25-38.)

Cited by

  1. An Investigation of the Height Measurement of Island Recorded in Mathematics Books of the Late Chosun Dynasty and its Pedagogical Applications vol.28, pp.1, 2016, https://doi.org/10.29275/jerm.2018.02.28.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