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ing Industrial Function Combining Factors for Each Type in the 6th Industry Based on Decision Tree Analysis

의사결정나무분석법을 활용한 6차산업 유형별 산업적 기능결합 요인탐색

  • Kim, Jungtae (Faculty of Regional Development, Kongju National University)
  • 김정태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지역개발학부)
  • Received : 2016.08.10
  • Accepted : 2016.09.10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businesses influencing the choice of their type in the 6th industry and analyze how they work. This study analyzed data of 752 businesses certified as belonging to the 6th industry in 2015 through the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 (CART) algorithm in decision tree analysis.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the type of agricultural product processing, region, the type of service, and the production percentage in a province affected a choice of the type. The most important variable that impacted how businesses in the 6th industry chose their type was the type of agricultural product processing, and if a business produced simple agricultural products, it was likely to specialize into $1st^*2nd$ or $1st^*3rd$. Access to large consumption areas was a critical factor in the growth of 2nd and 3rd industrial functions. These findings would contribute to establishing a model to develop the 6th industry and empirically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access to large consumption areas for agricultural businesses and rural tourism.

Keywords

References

  1. 고성보. (2000). 제주도 지역농업의 현황과 발전전략, 제주비평, 1, 40-67.
  2. 권용덕. (2014). 농업의 6차 산업화와 추진과제. 경남발전 , 133, 57-70.
  3. 권혜숙, 도고야스시, & 안진근. (2015). 농수산물을 활용한 6차산업화 공적지원프로그램에 관한 연구(한국과 일본의 사례비교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34, 19-28.
  4. 김성훈, & 김용현. (2015). 한국의 대북한 농업개발지원의 6차 산업형 민관협력 모델 연구. 통일과 평화, 7(2), 110-157.
  5. 김성은, & 김선아. (2013). 의사결정나무 분석기법을 이용한 농촌거주 노인의 우울예측보형 구축. 한국간호과학회 , 43(3), 442-451.
  6. 김승규, 이항아, & 김태균. (2016). 경북지역 사과 6차 산업화를 위한 체험관광 잠재수요 추정. 관광연구, 31(2), 185-201.
  7. 김용렬, 허주녕, 이은경, & 오세익. (2011). 일본 농산어촌 6차 산업화 제도 안내.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8. 김종안, 김진희, 김가영, & 이소진. (2015). 농업${\cdot}$농촌자원 활용한 서비스산업 경영체의 비즈니스 모델 진단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 , 30(6), 387-409.
  9. 김지석. (2016). 농업 6차산업화 활성화를 위한 농지임대차제도 개선방안. 법과 정책연구 , 16(1), 191-208.
  10. 김태곤, & 허주녕. (2011). 커뮤니터 비즈니스 중장기 육성방안(1/3차연도): 농업의 6차산업화와 부가가치 창출 방안.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1. 김태곤, 허주녕, & 양찬영. (2013). 농업의 6차산업화 개념설정과 창업방법.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2. 농림축산식품부. (2015). 2015 6차산업 경진대회 우수사례집 . 세종: 농림축산식품부.
  13. 류선무, 김성기, 박영일, & 류희중. (2002). 농업의 6차 산업화와 경영의 다각화 방안. 농어촌관광연구 , 9(1), 1-21.
  14. 박성수. (2016). 성공적인 한국형 6차산업화의 정착을 위한 제언. 관광연구, 31(4), 427-434.
  15. 박시현. (2013). 농촌 6차산업화를 위한 농촌관광의 발전 방향 .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6. 박시현. (2015). 농촌관광의 6차산업화 비즈니스 모델. 농어촌관광연구 , 22(1), 1-17.
  17. 박종훈, 황재희, & 이성우. (2014). 농업의 6차산업화가 농가 및 농업법인의 농업 및 농외소득에 미치는 영향. 농촌계획 , 20(4), 193-208. https://doi.org/10.7851/ksrp.2014.20.4.193
  18. 반기민, & 우장명. (2013). 충청북도 증평군을 중심으로한 6차산업화 방안 연구. 지역정책연구, 24(1), 43-66.
  19. 배화수 등. (2004). 데이터마이닝: SAS Enterprise Miner를 이용한 . 서울: 교우사.
  20. 브릿지경제. (2015). 이치구의 돈 되는 이야기: 6차산업이 뜬다. (2015.12.21.일. http://www.viva100.com/main/ view.php?key=20151221010004831에서 발췌)
  21. 서동균, 최현호, 천동원, 이상덕, & 송용섭. (2015). 낙농 6차 산업화 사례와 과제 .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2. 서윤정, 박정운, 한상연, 황대용, & 양정현. (2013). 6차산업화 경영체 경영.기술수준 평가지표 개발. 벤처창업연구 , 8(4), 177-191.
  23. 신황호, 손호기, 우수곤, & 조록환. (2016). 마을중심 6차 산업화 활성화를 위한 유유누에마을 참뽕문화 축제개발 영향연구. 관광연구, 31(3), 337-355.
  24. 식품의양품안전청. (2011). 가공식품 분류지침. 청원군 :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기준과.
  25. 신효중, 김현노, 허국동, & 조민우. (2015). 강원도 6차산업화 가능성 분석. 농어촌관광연구 , 22(1), 19-49.
  26. 신효중, & 윤희정. (2013). 內生的 發展과 6次 産業. Paper presented at the pp. 28-44.
  27. 양정임, 이정희, & 황대용. (2014). 지역농업자원의 6차 산업 활성화 방안: 전문가 실증연구를 중심으로. 농촌계획 , 20(3), 111-120. https://doi.org/10.7851/ksrp.2014.20.3.111
  28. 우장명. (2013). 6차 산업화를 통한 충북 농업의 발전 방안 . 청주: 충북연구원.
  29. 우장명. (2015). 충북 농업의 6차산업화 육성방안. 청주: 충북연구원.
  30. 우장명, 최시영, & 민유선. (2016). 충북 6차산업화 제품의 가치사슬분석. 충북 Focus, 121, 1-22.
  31. 유선욱, & 류시영. (2015). 6차산업 활성화를 통한 농업${\cdot}$ 농촌의 가치 제고. 관광연구저널 , 29(12), 77-90.
  32. 유학열. (2013). 농업 6차산업화의 필요성과 활성화를 위한 과제. 국토 , 29-35.
  33. 유학열, & 이영옥. (2014). 창조농업 실현을 위한 6차산업화 .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4. 윤유식, 양정임, & 장양례. (2013). 연구논문 : 6차산업 농어촌관광마을 선택속성 세분시장에 따른 체험프로그램 선호도 및 행동의도 연구. 농촌지도와 개발, 20(3), 755-775.
  35. 이금동. (2015). 일본의 "농업의 6차산업화" 및 관련 정책에 관한 재고. 지역개발연구 , 47(2), 121-147.
  36. 이민수, & 최영찬. (2009). 머신러닝을 활용한 모돈의 생산성 예측모델, 농촌지도와 개발 , 16(4), 939-965.
  37. 이병오. (2014). 강원도 농업의 6차 산업화 전략. 강원 농업생명환경연구 , 26(1), 50-61.
  38. 이용범. (2004). 데이터 마이닝의 농업적 활용. 한국농업기계학회 , 29(1), 79-96.
  39. 임은영. (2015). 카오스와 프랙탈 이론을 적용한 환경디자인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 6(1), 39-47.
  40. 정양례. (2015). 6차산업화를 위한 로컬푸드 농가맛집 만족도 연구. 관광연구 , 29(6), 221-239.
  41. 정오락, 이재희, & 안정근. (2015). 6차산업화를 활용한 지방 중소도시 활성화 방안 연구. 주거환경 , 13(4), 255-266.
  42. 최종후, 한상태, 강현철, 김은석, 김미경, & 이성건. (2002). 데이터마이닝 예측 및 활용. 서울: 데이터솔루션.
  43. 최해용, 윤유식, & 박재덕. (2014). 6차 산업으로서 농촌 체험관광의 선택속성과 체험 프로그램 선호도가 농촌관광 행동의도 및 개발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저널 , 28(2), 185-198.
  44. 통계청. (2011). 농림어업조사. 대전: 통계청.
  45. 한국농업경제학회. (2014). 6차 산업화 관련 정책사업 추진실태 진단 및 정책 간 연계방안 연구 . 나주: 한국농촌 경제연구원.
  46. 한재환, & 김성훈. (2016). 농업의 6차 산업화에 대한 소비자 인식 분석. 지역사회연구, 24(2), 181-198.
  47. 호남지방통계청. (2014). 지난 20년간 (1993-2013년) 제주도 농업생산의 변화상.
  48. 황대용. (2014). 농촌자원을 활용한 농식품 6차산업화 실태조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14 추계학술대회발표논문, 147-147.
  49. 小林茂典, & 이병오. (2012). 일본의 6차 산업화 전개방향과 과제 .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50. Curran, J., & Storey, D. J. (1993). Small firms in urban and rural locations.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 Champaign's Academy for Entrepreneurial Leadership Historical Research Reference in Entrepreneurship.
  51. Johnson, J. D., & Rasker, R. (1995). The role of economic and quality of life values in rural business location. Journal of Rural Studies, 11(4), 405-416. https://doi.org/10.1016/0743-0167(95)00029-1
  52. Lowe, P., & Talbot, H. (2000). Policy for small business support in rural areas: A critical assessment of the proposals for the small business service. Regional Studies, 34(5), 479-487. https://doi.org/10.1080/00343400050058729
  53. Miller, N. J., & Besser, T. L. (2000). The importance of community values in small business strategy formation: Evidence from rural Iowa.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38(1), 68.
  54. Nakano, K. (2014). The Sixth Industrialization for Japanese Agricultural Development. The Ritsumeikan Economic Review, 63(3), 314-326.
  55. North, D., & Smallbone, D. (1996). Small business development in remote rural areas: the example of mature manufacturing firms in Northern England. Journal of Rural Studies, 12(2), 151-167. https://doi.org/10.1016/0743-0167(96)00009-5

Cited by

  1. 소규모 농산가공시설 배출수 처리시설 개선방안 vol.23, pp.4, 2016, https://doi.org/10.12653/jecd.2016.23.4.0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