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ifference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and Community Concerns' Perception on Gardening Program to Protect School Bullying

텃밭활동의 학교폭력 예방에 대한 중학생과 지역사회 주체의 인식차이

  • Gim, Gyung Mee (Urban Agriculture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
  • Jeong, Sun Jin (Urban Agriculture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
  • Lee, Sangmi (Urban Agriculture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
  • Jeong, Seon Hee (Urban Agriculture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 Received : 2016.08.15
  • Accepted : 2016.09.11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the usability of gardening program in a community for protection of school bullying at a middle school. The data collected from 640pers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ir parents, teachers, residents, NPO staffs for youth, active persons in urban agriculture and farming at 3communities during 2014.10.21.~2014.11.5. The degree on necessity of gardening program to protect school bullying were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t by age, garden experience, understanding and exchanging with youth and neighbors, keeping relationship or communication between school and family or residents. Most of parents, teachers prefer to increase the family counseling program by NPOs for protection of school bullying. On the contrary, concerns in urban agriculture and farming strengthened to cheer up gardening program for youth. In this study also, it was agreed that gardening program is useful for protection of school bullying and for stability of emotional safety for youth involving in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ese results, gardening program will be more contribution to communications and exchanges between school, student's family and their community persons as like neighbors, NPO staffs, concerns in urban agriculture and farming.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주, & 노충래. (2012). 청소년 자아개념에 대한 지역 효과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 23(4), 101-129.
  2. 강현주, & 신인순. (2015). 청소년 체험활동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지역사회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2(9), 25-48.
  3. 교육과학기술부, & 농림수산식품부. (2012). 농어촌 체험을 통한 인성교육 실천을 위하여 교과부와 농식품부가 함께 나서다. 교육과학기술부, 농림수산식품부 보도자료.
  4. 교육부. (2012). 학교폭력 근절 종합대책. 서울: 교육부.
  5. 교육부. (2014), 제3차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 기본계획 (2015-2019). 세종: 교육부.
  6. 교육부. (2015). 2015년 2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세종: 교육부.
  7. 김경미, 문지혜, 정순진, & 이상미. (2013). 한국 치유농업의 현황 및 특성 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20, 909-936.
  8. 김경식, 최성보, & 이현철. (2009). 사회적 자본과 학교적 응과의 관계-가족, 학교, 지역사회 내 사회적 자본을 중심으로. 교원교육 , 25(2), 60-83.
  9. 김대회, & 이채식. (2004).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지역 사회 생태적 접근. 농촌지도와 개발, 11(1), 161-174.
  10. 김덕희. (2006). 중학교 학생들의 고민 실태에 관한 연구- 원주지역 중학생을 중심으로. 상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김미원. (2014). 중학생의 학교폭력과 예방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 순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김세원. (2009). 지역사회 특성이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28, 101-134.
  13. 김영지, 방은령, 박정선, & 박경희. (2006). 지역사회 중심의 청소년 문제행동 대책. 한국청소년개발원 연구보고서 , 1-426.
  14. 김옥순, & 신인순. (2013). 세계시민교육 참여 청소년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 연계형 창의적 체험활동의 일례를 중심으로. 청소년문화포럼, 36(단일호), 8-28.
  15. 김진완. (2015). 지역이벤트 체험이 사회적 연결감과 지역사회 애착도,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김태준, 현영섭, 변종임, & 이덕현. (2010), 사회지출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3차년도) : 사회적 자본 효과 분석 및 체계적 지원방안.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 총서 10-25-03.
  17. 김혜원. (2013). 청소년 학교폭력: 이해${\cdot}$예방${\cdot}$개입을 위한 지침서. 서울: 학지사.
  18. 남선미. (2003).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원예치료적용.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농림축산식품부. (2013). 제1차 도시농업 육성 5개년 계획 (2013-2017). 세종: 농림축산식품부.
  20. 농림축산식품부. (2016a). 2016년도 도시농업육성 시행 계획 . 세종: 농림축산식품부.
  21. 농림축산식품부. (2016b). 텃밭정원으로 떠나는 꿈틀 여행 : 꿈틀 어린이 텃밭학교 189일의 기록. 세종: 농림축산식품부.
  22. 박경철, & 김성수. (2001). 지역사회 친밀도의 최근 연구와 관련변인 고찰. 농촌지도와 개발, 8, 201-208.
  23. 박성희, 김경수, 김기종, 남윤미, 이동갑, 이재용, & 장희화. (2013). 폭력 없는 평화로운 학교 만들기: 중학생을 위한 학교폭력 상담 . 서울: 학지사.
  24. 박승곤, 김수정, & 문성호. (2013).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에 대한 지역별 차이 분석. 청소년학연구, 20(4), 199-224.
  25. 박진규. (2005). 학교 폭력과 지역사회의 역할. 청소년학연구 , 12(4), 409-440.
  26. 박진희. (2016).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요인의 상호작용 효과 분석.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7. 박현진, & 양혜원. (2013). 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적응이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 15(1), 257-278.
  28. 박효정, & 이희현. (2013). 학교폭력 실태조사 현황 및 개선방안: 조사 참여율제고 및 결과 활용 방안을 중심으로 . 한국교육개발원 이슈페이퍼 CP, 02-3.
  29. 성은모, & 김균희. (2013). 청소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특성과 환경특성 간의 관계 분석. 한국청소년연구 , 24(4), 177-202.
  30. 손선옥, & 이봉주. (2015). 청소년기 사회적 관계의 영향 요인: 공격성과 우울의 매개효과 성별차이. 청소년학연구 , 22(10), 1-26.
  31. 송수정. (2014). 가족구조에 따른 아동 우울의 보호요인 탐색. 한국청소년연구 , 25(1), 107-127.
  32. 오병호, & 이상구. (2012). 지역사회에서 청소년 학교폭력의 예방과 대책에 관한 연구. 21세기사회복지연구, 9(2), 231-252.
  33. 오해섭. (2008). 지역사회 중심 청소년활동의 중요성과 청소년 역량강화 방안. 농촌지도와 개발, 15, 417-432.
  34. 윤준상, & 최창욱. (1998). 지역사회주민의 지역사회 친밀도와 관련 변인. 농촌지도와 개발, 5, 113-122.
  35. 이미나. (2013). 중학생의 학교폭력 실태 및 예방교육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정연순, 고재성, 강옥희, & 서정화. (2012). 지역사회 기반 중학생 직업체험 프로그램 개발. 직업교육연구, 31(1), 217-240.
  37. 최영애. (2008). 원예치료 실행에서 식물 양육에 대한 이론적 모델: 나선모델과 애착이론에 기반하여.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8. 최영창, 이채식, 이은영, & 김영애. (2013). 농심함양 프로그램 참여 청소년의 농업${\cdot}$농촌에 대한 인식조사연구. 한국농촌지도학회 , 20(1), 205-233.
  39. 최창욱, 김성수, 윤준상, & 박덕병. (1997). 지역사회친밀도에 관한 이론적 연구. 농촌지도와 개발, 4, 317-327.
  40. 한지연. (2007). 사회적지지, 학교참여(School Engagement)와 학교폭력과의 관계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함성기. (2015). 사회자본의 형성정도가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2. 홍나미, & 박재연. (2014). 학교폭력 피해청소년과 가족 대상 실천적 지원방안 연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 16(2), 81-107.
  43. 홍영란, 현영섭, & 김강호. (2009). 사회지출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2차년도): 사회적 자본 수준${\cdot}$정책분석 및 교육투자 효율화 방안. 경제${\cdot}$인문사회 연구회 협동연구 총서 09-27-03.
  44. 홍진영. (2013). 중학생의 환경적 변인과 학교폭력경험간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효과 : Bronfenbrenner의 생태학적 이론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5. Albayrak, S., Yildiz, A., & Erol, S. (2016). Assessing the effect of school bullying prevention programs on reducing bullying.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63, 1-9. https://doi.org/10.1016/j.childyouth.2016.02.005
  46. Altun, S. A., & Baker, O. E. (2010). School violence: a qualitative case study.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2(2), 3165-3169. https://doi.org/10.1016/j.sbspro.2010.03.483
  47. Contreras, D., Elacqua, G., Martinez, M., & Miranda, A. (2015). Income inequality or performance gap? A multilevel study of school violence in 52 countrie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57(5), 545-552. https://doi.org/10.1016/j.jadohealth.2015.08.002
  48. Dumitriu, C. (2013). School violence around the world: A social phenomenon.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92, 299-308.
  49. Fisher, K., & Kettl, P. (2003). Teachers' perceptions of school violence. Journal of Pediatric Health Care, 17(2), 79-83. https://doi.org/10.1016/S0891-5245(02)88320-1
  50. Guitart, D. A., Pickering, C. M., & Byrne, J. A. (2014). Color me healthy: Food diversity in school community gardens in two rapidly urbanising Australian cities. Health & place, 26, 110-117. https://doi.org/10.1016/j.healthplace.2013.12.014
  51. Hassink, J., & Van Dijk, M. (2006). Farming for Health: Green-care farming across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Vol. 13).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52. Hazzard, E. L., Moreno, E., Beall, D. L., & Zidenberg-Cherr, S. (2011). Best practices models for implementing, sustaining, and using instructional school gardens in California. Journal of Nutrition Education and Behavior, 43(5), 409-413. https://doi.org/10.1016/j.jneb.2011.05.005
  53. Hazzard, E. L., Moreno, E., Beall, D. L., & Zidenberg-Cherr, S. (2012). Factors contributing to a school's decision to apply for the california instructional school garden program. Journal of nutrition education and behavior, 44(4), 379-383. https://doi.org/10.1016/j.jneb.2011.08.001
  54. Jimenez-Barbero, J. A., Ruiz-Hernandez, J. A., Llor-Zaragoza, L., Perez-Garcia, M., & Llor-Esteban, B. (2016). Effectiveness of anti-bullying school programs: A meta-analysis.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61, 165-175. https://doi.org/10.1016/j.childyouth.2015.12.015
  55. Laaksoharju, T., Rappe, E., & Kaivola, T. (2012). Garden affordances for social learning, play, and for building nature-child relationship.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11(2), 195-203. https://doi.org/10.1016/j.ufug.2012.01.003
  56. Mertoglu, M. (2015). The Role of School Management in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82, 695-702. https://doi.org/10.1016/j.sbspro.2015.04.815
  57. Miller, S., Williams, J., Cutbush, S., Gibbs, D., Clinton-Sherrod, M., & Jones, S. (2015). Evaluation of the start strong initiative: preventing teen dating violence and promoting healthy relationship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56(2), S14-S19.
  58. Turkum, A. S. (2011). Social supports preferred by the teachers when facing school violence.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33(5), 644-650. https://doi.org/10.1016/j.childyouth.2010.1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