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청소년 문제행동 완화를 위한 도시농업 체험활동의 효과 분석

Analysis of Effect of Urban Agricultural Experience Activities to Alleviate Problem Behaviors of Adolescents

  • 정남식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 이용학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 강은지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 김용근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Jung, Nam-Sick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
  • Lee, Yong-Hak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
  • Kang, Eun-Jee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
  • Kim, Yong-Geun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 투고 : 2016.08.15
  • 심사 : 2016.09.17
  • 발행 : 2016.09.30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urban agricultural practice on the factors of adolescent problem behavior.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measuring quantitative research, urban agricultural practice improves 16.7% of self-worth, reduces 28.1% of depression, and improves 19.4% of sociality, the factors of adolescent problem behavior,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is confirmed in all lower measures. Second, as a result of measuring qualitative research, there are overwhelmingly many cases that most items change positively or are maintained in sentence completion test. Third, a positive change of mind in adolescent communication, cognitive and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participation is confirmed through observation of program participation behavior. It is significant for this study to confirm that urban agricultural experiential activity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factors of adolescent problem behavior, and to verify educational effects and social values of urban agricultural practice including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urban agricultural program to solve youth problem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기오. (2013). 텃밭 활동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 및 실태 조사.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김동환. (1992). 교육개혁 조치의 해석문제. 한국교육사학회 , 14(1), 262-279.
  3. 김영철. (2006).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사회적응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와 영향력분석.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김태곤. (2010). 도시농업의 다원적 기능과 비전.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5. 김현경. (1996). 아동의 학업성취도, 사회성에 따른 우울 수준과 유능감.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남궁희. (2014). 도시공원 내 텃밭 도입에 따른 공원의 공공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문장원. (2008). 문제행동을 호소하는 청소년을 위한 사목상담 연구. 수원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문지혜. (2011). 상자텃밭 활용 수업이 청소년들의 과학 흥미도, 사회성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 , 29(2), 111-112.
  9. 박경수. (1994). 靑少年 團體活動과 社會性 形成의 關係에 관한 硏究.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미자. (2016). 인지행동적 미술치료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박성근, & 정인과. (2002). 임상실제에서의 정신과적 면담 . 서울 : 하나의학사.
  12. 박세길. (2007). 우리 농업, 희망의 대안: 신자유주의를 넘어서는 지속 가능한 국민농업의 모색. 서울: 시대의 창.
  13. 서울특별시. (2013). 청소년 위기 실태조사. 서울: 서울특별시.
  14. 서울특별시. (2013). 서울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한 도시 농업 세미나. 서울: 서울특별시.
  15. 서울특별시 교육청. (2013). 서울특별시 중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 서울: 서울특별시교육청.
  16. 송병국, 오해섭, 이채식, & 주대진. (2002). 청소년의 야외활동 참여와 프로그램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지도학회지, 9(1), 121-130.
  17. 송정은. (2010). 중학생과 우울과 인터넷 중독간의 관계: 학교소속감의 매개효과.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손희연. (2011). 원예활동이 남자 중학생의 스트레스와 학업 동기에 미치는 영향. 대구카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안지성, 김정신, & 조희숙. (2011). 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텃밭 가꾸기 활동의 의미. 열린유아교육연구, 16(6), 327-361.
  20. 양야기, & 이정숙. (2009).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교폭력태도, 분노 및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18(4), 369-378.
  21. 오대민. (2006). 자연과의 만남으로 나와 세상을 치유하는 도시농업. 서울: 학지사.
  22. 이시형. (2010). 세르토닌하라!: 사람은 감정에 따라 움직이고 감정은 뇌에 따라 움직인다 . 서울: 중앙북스.
  23. 이인호. (2005). 집단미술치료가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이인환. (2012). 도시민의 도시농업 참여 만족도와 농촌체험관광 인식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이상훈. (2008). 중학생의 스포츠참가가 사회성발달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이한규. (2006) 문제청소년을 위한 내적치유교육에 관한 연구. 장로회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임영식. (2011). 청소년 도덕성 진단 검사도구 개발연구.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8. 임은애. (2010). 원예치료 효과 측정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9. 임정언. (2009) 동탄 도시농업공원 설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장동헌. (2008). 생태지향형 도시농업에 관한 연구 : 전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1. 정범모. (1971). 인성검사법 요강 . 서울: K.T.C.
  32. 조윤정. (2000). 남자청소년의 문제행동과 개인 및 가족 관련 변인.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조현진. (2009). 시설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을 위한 음악극 활동 사례연구: 문제행동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최보가, & 전귀연. (1993). 논문편: '자아존중감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 31(2), 41-45.
  35. 최영창, 박은식, & 이은영. (2007). 청소년 농촌체험관광의 서비스품질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농촌지도와 개발, 14(1), 149-170.
  36. 한태룡. (1998). 청소년의 스포츠 참가와 사회성 발달의 관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Wolverton B. C. (2008). How to Grow Fresh Air. London: Weidenfeld & Nicolson.
  38. De Lauwere, C. C. (2005). The Role of Agricultural Interpreneurship in Dutch Agriculture Today. Agricultural Economics, 33(1), 229-238. https://doi.org/10.1111/j.1574-0862.2005.00373.x
  39. Diane R., & Charles L. (1979). Green Nature/Human Nature. Chicago: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40. Faber T. A., & Kuo F. E. (2009).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s Concentrate better after Walk in the Park. Journal of Attention Disorder, 69(12), 1-8.
  41. Hassink, J. (2003). Combining Agricultural Production and Car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 New Role of Agriculture and Farm Animals. Fifth IFSA European Symposium, Florence: ARSIA.
  42. Hassink, J., & M. Van Dijk.. (2007). Farming fr Health: Green-care Farming across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Poceeding of the Frontis Workshop on Farming for Health, Proceedings of the Frontis Workshop on Farming for Health, Dordrecht: Wageningen.
  43. Lowson, L., & Marcia M. (1995). Putting Teens at the Center: Maximizing Public Utility of Urban Open Space through Youth Involvement in Planning and Employment. Children's Environment Journal, 12(2), 209-221.
  44. Rachel, & Stephen. (1989). The Experience of Nature: A Psychological Perspective. UK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5. Rural Network. (2011). Social/Care Farming Seminar.
  46. Sempik, J., & Aldridge, J. (2006). Care Farms and Care Gardens. Horticulture as Therapy in the UK Farming for Health, Bristol: Policy Press.
  47. Spinthall, & Collins. (1995). Adolescent Psychology: A developmental View. NY: McGraw-Hill.
  48. Ulrich, R. S. (1991). Effects of Health Facility Interior Design on Wellness: Theory and Scientific Risearch. Journal of Heath Care Design, 3(1), 97-109.
  49. Kovacs. (1981). Seepage Hydraulics, Amsterdam. NY: Elsevier Science Publishers.
  50. Krisberg, Schwattz, Fishman, Eiskovits, & Guttman. (1986). The Incareceration of Minority Youth. Minneapolis: Hubert.
  51. Tayloer A. F., & Kuo, F. E. (2008).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s Concentrate better after Walk in the Park. Journal of Attention Disorder, 12(5), 402-409. https://doi.org/10.1177/1087054708323000
  52. Tracy D. (2011). Urban Agriculture: Ideas and Designs for the New Food Revolution. BC Canada: New Society Publishers.

피인용 문헌

  1. Teachers’ Perception and Participation in Agricultural and Rural Programs for the Free Semester -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Teachers’ Place Experience and Sense of Place - vol.28, pp.1, 2018, https://doi.org/10.35149/jakpg.2018.28.1.004
  2. Exploring the Meaning of Youth Programs in New York City in the Light of Sustainable Competency vol.31, pp.4, 2016, https://doi.org/10.17965/kjee.2018.31.4.356
  3. 곤충을 이용한 치유농업의 심리치유효과 - 호랑나비 사례 - vol.26, pp.3, 2019, https://doi.org/10.12653/jecd.2019.26.3.0153
  4. The Effects of Agricultural Experience Program on Agricultural Literacy and Hand Function Improvement of Adolescents Living in Self-reliance Residence Hall vol.24, pp.3, 2016, https://doi.org/10.11628/ksppe.2021.24.3.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