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의 취업 눈높이 패널 분석

The Panel Analysis of Youth Employment Expectation

  • 투고 : 2016.04.14
  • 심사 : 2016.09.20
  • 발행 : 2016.09.30

초록

본 논문에서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작성한 "한국교육고용패널" 7~11차년도 원자료를 개인별 패널 자료로 재구축하여 청년층의 취업 눈높이 변화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청년층의 취업 눈높이를 노동경제학에서 전통적으로 다루어왔던 유보임금(reservation wage)과 취업 눈높이에 관한 15개 주관적 평가 문항에 요인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추출된 근무편의성 요인, 선망직장 요인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평균 유보임금은 남성의 경우가 여성의 경우보다 높았지만 취업 눈높이 15개 항목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여성이 남성의 경우보다 눈높이가 높았으며, 특히 여성은 근무편의성 요인을 중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현재 상태별로 취업 눈높이를 비교했을 때 동년배(cohort) 자료를 이용한 분석임에도 취업 중이거나 미취업 중일 때보다 재학 중인 경우에 유보임금이 높고 선망직장에 대한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hange of employment expectation using the wave 7-11 (2010-2014) of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KEEP). The three main variables are the reservation wage, which has been studied by labor economists for a long time, the convenient working environment factor, the desired job factor. Last two of which are extracted from the 15 survey questions about employment expectation using the factor analysis. Our estimates suggest that male have a higher reservation wage than female while female have a higher level of expectation overall. Women attach more importance to working environment especially. Also, university students have a higher reservation wage and set a higher value on the desired job than employees and job seekers.

키워드

참고문헌

  1. 류재술.류기철. 실업근로자의 성별 의중임금함수 추정. 노동경제논집 25권 2호 (2002. 6): 109-128.
  2. 민인식. KEEP 데이터를 활용한 패널 실증분석. 제10회 한국교육고용패널 학술대회 패널특강, (2015. 2): 1-49.
  3. 오호영.송창용.송경모. 청년층의 취업 눈높이 실태파악을 통한 진로정책 과제. 세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2.
  4. 이병희.윤윤규.김주영.정성미. 청년 비취업자의 눈높이 조정과정에 대한 연구. 세종: 한국노동연구원, 2009.
  5. 이성림. 미취업 여성의 미취업 원인에 관한 연구: 의중임금과 시장임금의 비교를 중심으로. 노동경제논집 27권 1호 (2004. 4): 135-164.
  6. 어수봉. 한국의 실업구조와 신인력정책. 세종: 한국노동연구원, 1994.
  7. Carrillo-Tudela, C. "An Equilibrium Search Model when Firms Observe Workers' Employment Status." International Economic Review 50 (2) (April 2009): 485-506. https://doi.org/10.1111/j.1468-2354.2009.00538.x
  8. Hogan, V. "Wage Aspirations and Unemployment Persistence."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51 (8) (November 2004): 1623-1643. https://doi.org/10.1016/j.jmoneco.2004.02.002
  9. Jones, S.R.G. "Reservation Wages and the Cost of Unemployment." Economica New Series 56 (222) (May 1989): 225-246. https://doi.org/10.2307/2554041
  10. Mortensen, Dale. "Job Search and Labor Market Analysis." In Handbook of Labor Economics. Vol. 2, edited by Orley C. Ashenfelter and Richard Layard, pp. 849-919. Amsterdam: Elsevier Science Publishers, 1986.
  11. Prasad, E.S. What Determines the Reservation Wages of Unemployed Workers? New Evidence on German Micro Data. (IZA discussion paper No. 694). Bonn, Germany: Institute for the Study of Labor (IZA), 2003.